메뉴 건너뛰기

6일 환경부, 여가부, 경찰청 등 줄줄이 금지
민간 은행과 증권사도 "전면 금지"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정부 부처부터 민간 회사까지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6일 환경부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찰청이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을 전면 차단하고 나섰다. 주요 수사 정보를 다루는 경찰청도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경찰청은 이날 공지를 통해 "딥시크 AI 사용 시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오전 7시부터 보안상 안전성 확인 시까지 딥시크 AI 도메인에 대한 경찰청 업무용 PC의 접근을 차단 조치했다"고 알렸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등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뒤로 외교·국방·산업부 등 안보·경제부처를 넘어 사회부처까지 확산하는 모양새다.

금융권에서는 정부 부처 뿐 아니라 민간 업체들도 딥시크 금지에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고 이어 국책은행들도 딥시크 사용을 막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정부 요청도 내려지기 전인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선제적으로 차단했다. IBK기업은행도 내·외부망에서 딥시크 이용을 금지했다. 한국산업은행 역시 딥시크 이용이 불가하다.

민간 금융사인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은 내·외부망에서 딥시크 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했다. 토스·토스뱅크와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역시 이용이 불가하다. 카드사에서는 국민카드가, 증권사 중에서는 한화투자증권, IBK투자증권, IM증권, 토스증권 등이 딥시크 접속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국가기밀 취급 등 보안사항이 많지 않은 기관에서는 전면적인 접속 차단보다는 딥시크 사용에 유의를 당부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교육부는 딥시크 차단 조치를 할 경우 일선 학교 현장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차단은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외교부, 산자부처럼 보안 사항이 많은 부처가 아닌 데다가 만약에 차단 조치를 하면 학교 포함 여부 등 어느 범위까지 할지 고려할 사항이 많아서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노동부도 이날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시 국가안보 보안 사항을 준수해주길 바란다'는 공지를 본청과 소속 산하기관, 위원회에 발송했다. 접속 차단 여부는 추후 검토해 결정할 방침이다. 행안부도 소속 공무원 등에게 사용 시 유의를 당부하고 있으나, 접속 차단은 아직 고려치 않고 있다.

딥시크 전면 금지는 정보통신(IT)업계에서 먼저 시작됐다.

카카오는 최근 내부 구성원에게 "사내 업무 목적으로 딥시크 사용을 지양한다"라고 공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 AI 사내 활용 정책에 따라 정보 보안과 윤리 등 AI 안정성에 완전한 검증이 되지 않아 우려되는 지점이 있다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카카오의 이같은 조치는 오픈AI와 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도 사실상 사용금지를 권고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챗GPT 이용이 활성화되던)2023년 당시에 사내 AI 활용 가이드라인이 내려온 바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AI 서비스는 사용을 지양하도록 권장한다"라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도 사내망에서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공지를 띄우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공지에서는 딥시크의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직원 개인 PC를 이용해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다고 권고됐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39 충주 규모 3.1 지진에 유감신고 23건…피해 접수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3638 “트럼프 관세 피할 방법 없나요”… 삼성·LG, 북미 TV 사업 운명은 랭크뉴스 2025.02.07
43637 [단독] 내 딥페이크 사진 퍼뜨린 초등학교 동창, '목사방' 일당이었다 랭크뉴스 2025.02.07
43636 韓 전방위 차단에 '딥시크 수혜주' 줄줄이 급락 랭크뉴스 2025.02.07
43635 [현장] "GPU·데이터 몰아주면 한국에서도 딥시크 10개 나온다" 랭크뉴스 2025.02.07
43634 전국 곳곳 눈…아침 -10도 이하 강추위 계속 랭크뉴스 2025.02.07
43633 전국 곳곳 눈…아침 -10도 이하 강추위 이어져 랭크뉴스 2025.02.07
43632 충북 충주서 규모 3.1 지진…근처 지역까지 강한 진동 랭크뉴스 2025.02.07
43631 한국인에게 스프레이 뿌리고 침 '퉤'…호주 10대들이 버스에서 벌인 일 랭크뉴스 2025.02.07
43630 충북 충주서 규모 3.1 지진‥신고 잇따라 랭크뉴스 2025.02.07
43629 “엔비디아 H100의 60% 성능”… 딥시크 충격에 드러난 화웨이 반도체 굴기 랭크뉴스 2025.02.07
43628 [속보] 아마존 실적 예상 상회에도 시간외서 3% 급락 랭크뉴스 2025.02.07
43627 그리스 산토리니섬 비상사태 선포…약 2주간 지진 6천건 랭크뉴스 2025.02.07
43626 한 사람의 관심이 34만명의 관심으로…“승일아, 해냈다” 랭크뉴스 2025.02.07
43625 트럼프 “이, 전쟁 끝나면 미국에 가자 넘길 것” 파병엔 거리 둬 랭크뉴스 2025.02.07
43624 서로 다른 이름의 8개 위조여권... 불에 타 숨진 이 여성은 누구인가 랭크뉴스 2025.02.07
43623 기습 폭설·한파에 곳곳 빙판길‥이 시각 광화문 랭크뉴스 2025.02.07
43622 "한방울도 큰일"…독성 모르는데 버젓이 팔리는 기호식품 랭크뉴스 2025.02.07
43621 트럼프 며느리 라라… 보수 매체 마이크 잡는다 랭크뉴스 2025.02.07
43620 LA 산불 한 달 만에 전기회사 "작은 화재와 관련 가능성" 인정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