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경상수지가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123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해 동월 기준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도 990억달러 흑자로 역대 2위를 기록하며 호조를 보였다. 다만, 고강도 관세정책과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하는 ‘트럼프 리스크’와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이 가시화되며 올해 경상수지는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경상수지는 123억7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 5월 이후 2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12월 기준으론 역대 최대, 월별 기준으로는 역대 3위에 해당하는 흑자 규모다.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에 힘입어 연간 누적 경상수지도 대규모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돼 지난 2015년(1051억2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2위 흑자를 기록했다. 328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던 전년과 비교하면 흑자 규모가 3배 넘게 불어났고 한국은행의 연간 예상치(900억달러)도 90억달러 상회했다.

수입보다 수출이 큰 폭으로 는 것이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었다. 지난달 서비스수지는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약 21억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상품수지는 수출(633억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6.6% 증가하고 수입(528억7000만달러)은 4.2% 증가하면서 104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증가율만 보면 지난 11월(1.3%)에 비해 5.3%포인트 확대됐고, 지난해 연간 상품수지는 1001억3000만달러로 전년(376억6000만달러)보다 624억7000만달러나 늘었다.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품목의 수출 증가세가 이어진 영향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품목 중에선 지난달 정보통신기기(37.0%)·반도체(30.6%) 수출이 크게 늘었고, 국가별로는 동남아(15.4%)·EU(15.2%)·중국(8.6%)·일본(6.1%)·미국(5.5%) 대상 수출이 늘어났다. 연간으로 봐도 전년 대비 반도체 수출은 42.8%, 정보통신기기는 17.4% 늘면서 경상수지 흑자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역대급’ 성과를 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경상수지는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범용 반도체 업황이 여전히 살아나지 않고 있는 데다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 불확실성,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등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트럼프 1기 당시 한국이 대미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대응책으로 미국에서 에너지 수입을 많이 늘렸고, 미국의 통상압력이 커지면 에너지 수입을 늘릴 가능성이 있어 경상수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IT의 경기상황과,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중국이 밀어내기 수출을 늘리는 것도 우리나라 수출에 영향을 줄 것 같다”고 밝혔다.

한은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약진으로 미국이 대중 반도체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커진 것도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신 국장은 “AI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에서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를 강화하면 대중 수출의 절반 이상을 관여하는 국내 반도체 수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걱정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81 이 ‘요원’ 끌어내!? [한겨레 그림판] 랭크뉴스 2025.02.06
43480 “대통령이 저한테 물어보셨다고요?”…곽종근 전 사령관 ‘휘둥그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6
43479 “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지자체도 ‘딥시크’ 접속 차단 랭크뉴스 2025.02.06
43478 트럼프 "여성 스포츠는 여성만의 것"… 트랜스젠더 출전 금지 행정명령 랭크뉴스 2025.02.06
43477 "끌어내라 대상은 의원‥철수 지시도 없어" 랭크뉴스 2025.02.06
43476 [아시안게임]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성지훈, 키르기스스탄 꺾고 PO행(종합) 랭크뉴스 2025.02.06
43475 대왕고래 실패에도…경제수석 “최고 유전보다 성공률 높다” 랭크뉴스 2025.02.06
43474 尹, 메모 전달하며 탄핵심판 지휘하더니… "홍장원·곽종근이 공작" 랭크뉴스 2025.02.06
43473 "괜히 바꿨나"…불황에 잘 팔리던 차 '눈물의 할인',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6
43472 “미국 정부 자주 셧다운, 군 동원은 안 하잖나?”…경제수석 답변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6
43471 우클릭 이재명, 도로 좌클릭…민주당 "주52시간 예외 빼고 처리" 랭크뉴스 2025.02.06
43470 곽종근 "尹, 끌어내란 건 의원"…尹 "의원이라 안해, 탄핵 공작" 랭크뉴스 2025.02.06
43469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성장률은 1.7%로 전망 랭크뉴스 2025.02.06
43468 [아시안게임] 모습 드러낸 북한, 인상 쓰며 "치워라 바쁘니까" 랭크뉴스 2025.02.06
43467 대왕고래 대신 오징어·명태…해외투자 유치에 동력 좌우되나 랭크뉴스 2025.02.06
43466 설날 강남 ‘죽음의 사거리’서 잠든 배달라이더를 아시나요···그 곁에 시민들이 섰다 랭크뉴스 2025.02.06
43465 옥택연 결혼설 부추긴 佛 사진 업체… “유명인인지 몰랐다” 사과 랭크뉴스 2025.02.06
43464 尹, 탄핵 심판 중간에 자리 비워... "굳이 있을 필요 없다 판단" 랭크뉴스 2025.02.06
43463 "어쩐지 월요일보다 더 피곤하더라" 직장인 3명 중 1명은 '수요병'…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6
43462 곽종근 “尹 끌어내라 지시 대상은 ‘요원’ 아닌 의원”…尹 “공작”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