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불황 속 질주 다이소·올리브영, 유통 시장 재편 주도
‘초가성비’ 다이소, 생활용품 넘어 뷰티·식품까지 확장
K뷰티 대장 올리브영, 美 진출… 글로벌 뷰티 강자 꿈꾼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와 케이(K)뷰티 강자 CJ올리브영이 불황 속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유통 시장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과거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주도하던 유통 시장이 가성비 소비 트렌드와 K뷰티 열풍 영향으로 재편되는 모양새다.

그래픽=정서희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다이소와 올리브영의 지난해 연매출이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 가성비와 K뷰티 제품을 내세워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한국 쇼핑 명소로 떠올랐다. 대형쇼핑몰 등 유통채널에서도 모객효과가 큰 이들을 앵커 테넌트(주요 입점업체)로 보고 모시기에 나섰다.

다이소 원주무실점./아성다이소 제공

‘박리다매’로 승부 보는 다이소… 기존 유통 강자들 위협
다이소 운영사인 아성다이소는 2019년 매출 2조원을 넘어선 후 4년 만에 3조원의 벽을 뚫었다. 연도별 매출액을 보면 2019년 2조2362억원, 2020년 2조4216억원, 2021년 2조 6048억원, 2022년 2조 9458억원, 2023년 3조 4605억원이다. 2024년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같은 성장은 다이소가 기존 균일가 생활용품 시장을 넘어 뷰티, 의류, 식품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힌 덕이다. 소비자들의 다이소에 대한 인식도 단순 가성비에서 생활 플랫폼으로 바뀌고 있다. 뷰티가 대표적이다. 다이소의 뷰티 상품군의 매출은 지난해 1~11월 누적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50% 증가했다. 다이소에 입점한 뷰티 브랜드만 49개에 이른다. 저렴하게 K뷰티를 경험할 수 있어 1020 세대가 특히 선호한다.

다이소는 균일가를 기반으로 ‘박리다매’ 정책을 펼친다. 불황 속에서 다이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이유다. 모든 제품을 500원,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등 6가지 가격에 판매한다. 균일가에 제조원가를 맞추고, 대량 매입한다. 마케팅 비용도 최소화한다. 마진이 적지만, 많이 팔아 이를 상쇄하는 구조다. 기존 마트나 백화점 등 유통채널과는 여기에서 차이가 난다.

가공식품을 놓고 보면, 다른 채널과의 차이가 확연해진다. 다이소는 햇반이나 라면 등 식품도 대량 매입해 판매한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6950원에 판매되는 ‘햇반 큰공기 3개입’이 다이소에서는 5000원에 판매된다.

점포 수도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1361개에서 2023년 1519개로 늘었다. 지난해엔 대형 매장들을 출점하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이소 관계자는 “다이소 강점은 박리다매지만, 일정 수준의 품질이 보장된 것”이라며 “매월 수 백개의 신상품이 나온다. 고객들에게 많은 신상품이 새로운 재미를 주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됐다”고 했다.

/올리브영 제공

K뷰티 대표주자 올리브영… 美 진출, 글로벌 뷰티 강자 꿈꾼다
K뷰티 대표 주자 올리브영도 지난해 연매출 4조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일각에선 5조원에 육박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올리브영 성장세도 폭발적이다. 2021년 연매출 2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2년 만인 2023년 3조원을 넘겼다.

올리브영은 국내 신진 뷰티 브랜드의 대표적인 유통 창구로 자리 잡으며 K뷰티 붐을 주도했다. 빠르게 변하는 K뷰티 트렌드를 즉각 반영해 MZ 세대(1980~2000년대 출생자) 소비자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해외 소비자들에게도 올리브영에서 뜨는 브랜드가 K뷰티 대표 브랜드라는 인식이 형성돼 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대표 쇼핑 명소다.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 입국자 수는 600만명 수준으로 추산된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400만명 규모다. 작년 상반기에는 방한 관광객 10명 중 7명이 올리브영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 관광 상권인 서울 명동 내 6개 지점의 외국인 매출은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올리브영은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옴니채널 구축의 대표적 성공 사례다. 올리브영은 2017년 온라인몰을 열고 이듬해 당일 배송 ‘오늘드림’을 시행했다. 인기 제품 등을 온라인 주문 후 매장에서 픽업할 수 있는 ‘오늘드림 픽업’도 인기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전체 매출의 30%가량이 온라인에서 나온다.

올리브영은 미국 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알렸다. 미국 현지 오프라인 매장 1호점 개점을 추진한다. K뷰티 인기를 발판 삼아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경기 불황이 지속될수록 소비자들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은 제품을 찾게 된다”며 “다이소는 빠른 확장 속도를 바탕으로 기존 대형 유통 채널과 경쟁할 만큼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올리브영 역시 K뷰티 시장을 선도하며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08 [속보] 김현태 "국회 투입 부대원들, 자괴감 느끼며 방어만 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7 [단독] “1조 이재명, 2조 조국 검거”… ‘홍장원 메모’ 방첩사 간부들도 진술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6 김용현, 검찰 출석 전 '노상원 비화폰'으로 검찰총장과 통화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5 최상목 “계엄을 무시하기로 해서 대통령 쪽지 바로 안봤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4 ‘직원 메신저 무단열람’ 의혹 강형욱 부부, 무혐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3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파주시 홍보대사 해촉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2 ‘국회 봉쇄’ 혐의 조지호 “계엄군 지원 오해...오히려 범죄 시도 막아”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1 [속보] 경찰, 오늘 오전부터 ‘딥시크’ 차단…“생성형 AI 사용 유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800 [속보] 보건복지부·경찰청도 '딥시크' 접속 차단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9 ‘尹 파면’ 55% vs ‘尹 복귀’ 40% [NBS 전국조사]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8 707단장 "국회 봉쇄 지시받았다…'150명 넘으면 안된다' 들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7 [단독] "죽음 두렵지 않은 자 오라"…'이재명 암살단' 경찰 칼뺐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6 [속보] 김현태 "곽종근 '150명 넘으면 안된다' 사정하듯 얘기"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5 [Why] 골칫덩이 된 백화점·마트... 팔고 싶어도 매각 쉽지 않은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4 "치과에서 진료받다가"‥전주서 60대 여성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3 [속보] “파나마, 미국 정부 소유 선박에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2 [속보] 김현태 "국회 출동 때 실탄 탄약통에 보관해서 가져가"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1 현대로템, 작년 영업익 4566억원… 전년 비比 117.4%↑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90 트럼프 “여성 스포츠는 여성만” 트랜스젠더의 여성 스포츠 출전 금지 서명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89 “대통령 탄핵하면 헌재 두들겨 부숴 없애야” 인권위 상임위원이 한 말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