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마트·홈플 등 138곳에 입점 후 매출 최대 73% 증가
임대매장 늘려 고정 수익 확보도
마트는 신선식품군에 집중하고
다이소는 알짜 매장 확보 '윈윈'

[서울경제]

대형마트들이 쿠팡에 밀린 비식품 매장을 줄인 자리에 다이소 등 임대 매장으로 채우면서 점포별로 매출이 최대 73%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대형마트 입장에서는 신선식품에 집중하면서 임대 수익을 늘릴 수 있고 다이소 역시 주요 입지에 대규모 점포를 낼 수 있어 당분간 대형마트와 다이소의 협업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5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리뉴얼 후 재개장한 이마트 목동점은 설 연휴 일주일(24~30일)간 매출이 전년 설연휴보다 7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방문 고객수 역시 35% 늘었다. 특히 신규 입점한 다이소를 비롯한 임대 매장 매출은 123% 성장했다. 실제 연휴 기간 이마트 목동점 다이소 매장에는 가족 단위로 방문해 쇼핑하는 고객들이 많았다. 주변에 다이소 가두점이 두 곳이나 있는데도 이마트 목동점이 다이소를 유치하는 등 쇼핑몰 형태로 바뀌면서 모객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대형마트 3사 중 다이소를 가장 많이 입점시킨 롯데마트 역시 ‘다이소 효과’를 누리고 있다. 롯데마트는 기존에 입점했던 다이소 점포를 리뉴얼해 김해점과 서대전점을 각각 2644㎡(800평)으로 키웠다. 두 점포의 올해 1월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20%, 고객수는 15% 이상 성장했다. 2016년부터 다이소와 ‘한 지붕 두 가족’을 하고 있는 홈플러스 역시 다이소 유치에 따른 매출 증가 효과가 있다고 보고 올해 지속적으로 다이소 입점을 늘릴 계획이다.

대형마트 업계는 다이소를 비롯해 탑텐, 키즈카페, 식음료 매장 등 임대 점포를 늘리는 쇼핑몰 형태로 바꾸고 있다. 그 과정에서 특약매입에 따라 수수료율이 높은 직영 매장은 대폭 줄이고 다이소처럼 고정 임대료에 매출 연동 수수료를 받는 임대 매장을 크게 늘리고 있다. 대형마트 3사 점포 총 391곳 중 다이소가 입점한 점포는 138곳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대형마트 3사의 직영매장이 받는 특약매입(마트가 직매입하되 재고 반품 가능) 수수료율은 20.4~26%에 달하지만 임대을 매장에서 받는 수수료는 14.5~19.4%로 낮다. 그러나 임대을 계약은 낮은 고정 임대료로 최소 수익이 보장되고 매출이 오를 수록 수수료율이 오르기 때문에 전체 수익에는 더 도움이 된다는 게 대형마트의 설명이다.

한 대형마트 고위 관계자는 “대형마트 면정의 절반을 차지하던 비식품 매장을 전부 없애도 매출은 90% 이상 유지된다”면서 “시뮬레이션 결과 임대료가 매출과 연동되는 다이소 등을 입점시키면 전체 매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마트 직영 매장 비중이 70~80%에 달했던 죽전점·월계점·연수점은 직영매장을 30%이하로 줄이고 나머지를 임대 매장으로 채우면서 현재 매출 1~3위를 휩쓸고 있다.

다만 고물가 기조에 ‘불황형 소비’로 성장하고 있는 다이소 효과에 언제까지나 의존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다이소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다이소 측에서 요구하는 입점 위치, 구체적인 수수료율 등 계약 조건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아예 고정 수수료만 내는 임대갑 계약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53 尹 발뺌 따라하나... 군경 지휘부 첫 재판서 모두 내란죄 부인 랭크뉴스 2025.02.06
43452 '징역 42년' 조주빈, 또다른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5년형 추가 랭크뉴스 2025.02.06
43451 "北미사일, 우크라 전쟁 실전 거치며 정확도 대폭 향상" 랭크뉴스 2025.02.06
43450 “매운 소스·술까지 먹여”···부모 학대로 숨진 2세 딸 온몸에 멍·골절 랭크뉴스 2025.02.06
43449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정치 불확실 실질 영향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06
43448 '조기 대선' 준비 나선 민주당…이재명·비명 가르는 ‘3대 쟁점’은 랭크뉴스 2025.02.06
43447 尹 발뺌에 동조하나... 군경 지휘부 첫 재판서 모두 내란죄 부인 랭크뉴스 2025.02.06
43446 윤석열은 ‘예산삭감’으로 국정마비 됐다는데…경제수석 “저는 보고 안 했다” 랭크뉴스 2025.02.06
43445 한글로 '하늘' 적힌 쿠르스크의 나무…"나무 아래 북한군 시신" 랭크뉴스 2025.02.06
43444 김용현측 "국회 봉쇄 아닌 확보…검찰 소설·검사의 상상력" 랭크뉴스 2025.02.06
43443 김용, 항소심도 징역 5년… “재판 뭘 한 거냐” 고성 랭크뉴스 2025.02.06
43442 세계 놀라게 한 딥시크에 숨겨진 위험…민관 '전방위 차단'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6
43441 '병력 투입 적법' 주장한 수방사령관 "대통령에 반기 들면 그게 쿠데타" 랭크뉴스 2025.02.06
43440 윤석열이 벌인 ‘대왕고래’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랭크뉴스 2025.02.06
43439 "삼성 시총 5배" 대왕고래 띄웠던 산업부의 '8개월 미스터리' 랭크뉴스 2025.02.06
43438 곽종근 "국회 철수는 내 판단, 지시받지 않아"‥尹 주장과 배치 랭크뉴스 2025.02.06
43437 이재명 위증교사 혐의 2심 내달 첫 재판…무죄 선고 후 100일만 랭크뉴스 2025.02.06
43436 김용 2심서 '구글 타임라인' 반전 실패…낮은 증명력에 발목 랭크뉴스 2025.02.06
43435 불붙은 ‘개헌론’… 셈법 고심하는 대권 잠룡들 랭크뉴스 2025.02.06
43434 “의원 맞나요” “정확히 맞다”… 尹주장 정면 반박한 곽종근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