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서울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다섯 번째 변론에 출석해 기다리고 있다. 이준헌 기자


군 수뇌부 잇단 진술에 “왜곡” “오염”

선관위 군 투입 “점검 차원”

이진우 주장 신빙성 폄훼

홍장원엔 ‘야당 결탁’ 주장


12·3 비상계엄 당시 지시를 이행한 군 지휘부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 측의 책임 떠넘기기와 폄훼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는 계엄 수행 전반의 책임을 떠넘기고,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진술은 “왜곡됐다”고 주장했다.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을 향해선 야당과 결탁했다고 공격했다. 자신에게 충성한 부하들을 사실상 ‘거짓말쟁이’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5일 입장문을 내고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사실 왜곡과 오염된 진술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과 달리 윤 대통령 측은 전날 변론에서 검찰 공소장에 기술된 윤 대통령 지시에 관한 관계자들의 진술을 제대로 반박하지 못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변론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 병력 투입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는 여 전 사령관 증인신문 이후 “선관위에 (군을) 보내라고 한 것은 내가 김용현 장관에게 이야기한 것”이라며 투입 지시를 인정했다. 다만 “선관위 전산시스템이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가동되고 있나 확인을 위한 스크린 차원이었다”고 말했다. 자신의 지시는 단순한 ‘점검’ 차원이었고 그 밖의 일은 부하들이 ‘오버’한 것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여론조사 꽃’에도 가지 말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누구에게 언제 군 병력을 보내지 말라고 지시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검찰의 윤 대통령 공소장에는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당시 서울청장을 불러 계엄 계획을 밝힌 뒤, 김 전 장관이 국회와 여론조사 꽃 등 계엄군 출동 장소가 적힌 문서를 건넨 상황이 담겨 있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직후인 지난해 12월4일 오전 1시9분까지 군 병력이 “여론조사 꽃 건물 앞을 점거한 채 외부인들의 출입을 통제했다”는 내용도 있다.

증인들에 대한 폄훼는 헌재 심판정 밖에서도 이뤄졌다. 윤갑근 변호사는 변론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전 사령관 부관의 진술이 수사기록에 많이 있는데 부관은 앞좌석, 사령관은 뒷좌석에 있어서 생생하게 들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국회의원을) 끌어내니 뭐 이런 진술들과 관련해 수방사령관은 (국회) 안에 들어가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 등 군 관계자 진술의 신빙성이 낮다는 취지였다.

홍 전 차장에 대한 공격은 더 거칠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직후 자신이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간첩 수사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부터 내란 몰이, 이런 모든 프로세스는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지난해) 12월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한테 넘어가면서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의 진술이 조작, 오염됐고 배후에는 민주당이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홍 전 차장은 변론이 끝난 뒤 “제가 굳이 왜 거짓말을 하겠느냐”며 반박했다. 그는 “제가 수백억원 정도의 대북 공작금을 유용했다는 얘기를 주요 언론과 제가 자주 보는 보수 유튜버들까지 하니까 상당히 마음의 상처를 받고 있다”면서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윤 대통령이 ‘좌표’를 찍고 보수 언론과 유튜버가 공격하고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앞선 4차 변론에서도 증인으로 출석한 김 전 장관을 직접 신문하면서 포고령을 포함해 비상입법기구 문건도 김 전 장관의 책임으로 돌렸다.

법조계에선 탄핵심판에서 증인신문이 줄줄이 예정된 상황에서 실체적 진실이 밝혀지기는커녕 윤 대통령 측의 궤변만 계속 나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54 2살 아이에 불닭소스·소주 먹였다…목숨까지 앗은 '악마 부모' 랭크뉴스 2025.02.06
43453 尹 발뺌 따라하나... 군경 지휘부 첫 재판서 모두 내란죄 부인 랭크뉴스 2025.02.06
43452 '징역 42년' 조주빈, 또다른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5년형 추가 랭크뉴스 2025.02.06
43451 "北미사일, 우크라 전쟁 실전 거치며 정확도 대폭 향상" 랭크뉴스 2025.02.06
43450 “매운 소스·술까지 먹여”···부모 학대로 숨진 2세 딸 온몸에 멍·골절 랭크뉴스 2025.02.06
43449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정치 불확실 실질 영향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06
43448 '조기 대선' 준비 나선 민주당…이재명·비명 가르는 ‘3대 쟁점’은 랭크뉴스 2025.02.06
43447 尹 발뺌에 동조하나... 군경 지휘부 첫 재판서 모두 내란죄 부인 랭크뉴스 2025.02.06
43446 윤석열은 ‘예산삭감’으로 국정마비 됐다는데…경제수석 “저는 보고 안 했다” 랭크뉴스 2025.02.06
43445 한글로 '하늘' 적힌 쿠르스크의 나무…"나무 아래 북한군 시신" 랭크뉴스 2025.02.06
43444 김용현측 "국회 봉쇄 아닌 확보…검찰 소설·검사의 상상력" 랭크뉴스 2025.02.06
43443 김용, 항소심도 징역 5년… “재판 뭘 한 거냐” 고성 랭크뉴스 2025.02.06
43442 세계 놀라게 한 딥시크에 숨겨진 위험…민관 '전방위 차단'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6
43441 '병력 투입 적법' 주장한 수방사령관 "대통령에 반기 들면 그게 쿠데타" 랭크뉴스 2025.02.06
43440 윤석열이 벌인 ‘대왕고래’ 실패…산업부 “경제성 없다” 랭크뉴스 2025.02.06
43439 "삼성 시총 5배" 대왕고래 띄웠던 산업부의 '8개월 미스터리' 랭크뉴스 2025.02.06
43438 곽종근 "국회 철수는 내 판단, 지시받지 않아"‥尹 주장과 배치 랭크뉴스 2025.02.06
43437 이재명 위증교사 혐의 2심 내달 첫 재판…무죄 선고 후 100일만 랭크뉴스 2025.02.06
43436 김용 2심서 '구글 타임라인' 반전 실패…낮은 증명력에 발목 랭크뉴스 2025.02.06
43435 불붙은 ‘개헌론’… 셈법 고심하는 대권 잠룡들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