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産銀에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자금난 배터리·바이오 등에 지원
트럼프 직격탄 배터리업계 숨통
기금은 펀드 조성 간접투자 검토
반도체 외 산업에 우선 배정키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서울경제]

정부가 34조 원의 대규모 기금을 조성해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 산업을 지원한다. 최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기차 의무화 폐지 선언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배터리 업계의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 기금은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2배 이상 규모로 조성해 저리 대출과 지분 투자 등 다양한 지원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기금 신설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관련 법률 개정안을 3월 국회와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규모를 밝히지 않았지만 이미 가동 중인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규모가 17조 원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34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배터리 3사 영업이익 폭락…소재기업까지 덩달아 실적 악화





정부가 조성 계획을 밝힌 34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트럼프발 관세 폭탄으로 휘청이고 있는 국내 배터리 업계에 ‘가뭄의 단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업계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으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지만 그동안 정부 차원의 금융 지원이 미진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정부가 이번 기금 지원 대상으로 배터리를 콕 집어 언급한 것도 이런 점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과 GM이 미국 오하이오주에 건설한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의 1공장 전경.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반도체 불황에도 자동차와 함께 국내 산업을 이끌었던 배터리 산업은 최근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한때 영업이익이 조(兆) 단위에 달했던 배터리 3사는 전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 둔화에 지난해 영업이익이 수천억 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국내 1위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373220)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5754억 원으로 전년(2조 1632억 원) 대비 9분의 1 수준으로 줄었고 삼성SDI(006400)는 3633억 원으로 같은 기간 76.5% 급감했다. 아직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SK온은 연간 영업손실이 1조 1000억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적 한파는 배터리 3사에 부품을 공급하는 소재사들에도 몰아치고 있다.에코프로비엠(247540)은 2023년 2952억 원 흑자에서 지난해 416억 원 적자가 예상된다. 2023년 2조 5292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LG화학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9168억 원으로 64%나 급감했다.



전기차 의무화 폐지 선언한 트럼프…IRA 보조금 폐지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식 뒤 워싱턴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행사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지지자들에게 들어 보이고 있다. AFP 연합뉴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전기차에 비우호적인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맞닥뜨려야 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사에서 “전기차 의무화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50%를 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한 행정명령을 폐기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연기관차의 판매를 제한하는 주(州) 정부 배출 규제를 적절한 경우 없애야 한다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 같은 정책 변화는 배터리 업체에 더 치명적이다. 완성차 업체는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판매 정책을 가져갈 수 있지만 배터리 업체는 완성차에 대한 공급 의존도가 높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배터리 업계에 주는 생산투자세액공제(AMPC)를 줄이거나 폐지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를 본격화할 경우 캐나다에 투자한 배터리 회사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캐즘·관세 이중고' 배터리 한숨 돌려…시중은행도 공동 출자



정부는 산업은행에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신설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이번 기금을 저리의 대출 또는 지분 투자 형식으로 지원할 경우 배터리 기업들의 자금 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시중은행이 참여하는 별도의 펀드를 조성해 간접투자하는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펀드는 산업은행이 일정 규모의 자금을 펀드에 먼저 출자해 마중물 역할을 하면 시중은행이 뒤따라 돈을 투입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펀드에 시중은행이 참여하면 산은이 독자적으로 투자할 때보다 더 많은 자금을 동원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당국이 펀드 방식의 투자를 검토하는 것은 은행의 투자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기업 등에 직접 투자할 경우 투자금의 4배를 장부상 위험가중자산으로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정책금융기관인 산은이 펀드에 일정 규모의 자금을 대는 경우 실제 투자 금액만큼만 위험가중자산을 인식하면 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71 우클릭 이재명, 도로 좌클릭…민주당 "주52시간 예외 빼고 처리" 랭크뉴스 2025.02.06
43470 곽종근 "尹, 끌어내란 건 의원"…尹 "의원이라 안해, 탄핵 공작" 랭크뉴스 2025.02.06
43469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성장률은 1.7%로 전망 랭크뉴스 2025.02.06
43468 [아시안게임] 모습 드러낸 북한, 인상 쓰며 "치워라 바쁘니까" 랭크뉴스 2025.02.06
43467 대왕고래 대신 오징어·명태…해외투자 유치에 동력 좌우되나 랭크뉴스 2025.02.06
43466 설날 강남 ‘죽음의 사거리’서 잠든 배달라이더를 아시나요···그 곁에 시민들이 섰다 랭크뉴스 2025.02.06
43465 옥택연 결혼설 부추긴 佛 사진 업체… “유명인인지 몰랐다” 사과 랭크뉴스 2025.02.06
43464 尹, 탄핵 심판 중간에 자리 비워... "굳이 있을 필요 없다 판단" 랭크뉴스 2025.02.06
43463 "어쩐지 월요일보다 더 피곤하더라" 직장인 3명 중 1명은 '수요병'…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6
43462 곽종근 “尹 끌어내라 지시 대상은 ‘요원’ 아닌 의원”…尹 “공작” 랭크뉴스 2025.02.06
43461 빚내 시추한 석유공사...대왕고래 무산에 추가 시추 '불투명' 랭크뉴스 2025.02.06
43460 '직원 메신저 무단열람' 강형욱 부부, 혐의 벗었다…경찰, 불송치 결정 랭크뉴스 2025.02.06
43459 계엄‧탄핵에도 국가 신용 지켰다…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 랭크뉴스 2025.02.06
43458 이재명 “진보는 진보 정책만 써야 한다는 데 동의 안해” 랭크뉴스 2025.02.06
43457 ‘대왕고래’ 실패···예산 복구 외쳤던 국민의힘 ‘머쓱’ 랭크뉴스 2025.02.06
43456 중부지방에 대설 특보…최대 20cm 더 내려 랭크뉴스 2025.02.06
43455 서희원 유해 안은 구준엽 "아내 놀란다"…몰려든 취재진에 한 부탁 랭크뉴스 2025.02.06
43454 2살 아이에 불닭소스·소주 먹였다…목숨까지 앗은 '악마 부모' 랭크뉴스 2025.02.06
43453 尹 발뺌 따라하나... 군경 지휘부 첫 재판서 모두 내란죄 부인 랭크뉴스 2025.02.06
43452 '징역 42년' 조주빈, 또다른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5년형 추가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