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만 가구를 넘어섰다. 10년 만에 처음이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173가구로 전월 대비 7.7%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2만1480가구)은 전월 대비 15.2% 늘었다. 2014년 7월 이후 10년5개월 만에 최대다. 3년 전과 비교하면 3배 수준으로 늘었다.

악성 미분양 중 80%(1만7229가구)는 지방에 있다. 대구와 경북에서만 전월 대비 1700가구 넘게 늘며 증가 폭을 키웠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251가구로 전월 대비 10.6% 증가했다.

최근 국민의힘 등 정치권에서 비수도권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한시적으로 완화해 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필요성, 타당성, 실효성, 정책의 일관성 등 점검해야 하는 사항이 많다”면서도 “신중히 고려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지난해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약 266만2000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월세 거래는 57.6%를 차지했는데 전년 대비 2.7%포인트 증가했다. 서울 주택 임대차 거래(82만 건) 중 월세 비율은 60.3%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서울 지역 월세 비중은 2021년 44.3%, 2022년 53.3%, 2023년 56.2%로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서울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 월세 거래 비율은 69%에 달한다. ‘전세 사기’ 여파, 1인 가구 증가, 높아진 대출 문턱, 주식·코인 등 젊은층의 금융자산 투자 선호 등이 ‘월세 시대’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34 “의원 맞나요” “정확히 맞다”… 尹주장 정면 반박한 곽종근 랭크뉴스 2025.02.06
43433 ‘대설주의보’ 수도권 퇴근길 비상…내일 오전까지 최대 10㎝ 쌓인다 랭크뉴스 2025.02.06
43432 前수방사령관 "나 같은 군인이 대통령에 반기 들면 그게 쿠데타" 랭크뉴스 2025.02.06
43431 8개월 전 “삼전 시총의 5배”… 이번엔 “파보니 경제성 없다” 랭크뉴스 2025.02.06
43430 “자수서 왜 냈나요” 김형두 재판관, 곽종근 전 사령관에 묻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6
43429 박종준 "정부 요인, 대부분 비화폰 지급"‥최상목·한덕수 "나도 있어" 랭크뉴스 2025.02.06
43428 [단독] 이복현 매운맛에… 우리銀 대출 사고 징계 수위 높인다 랭크뉴스 2025.02.06
43427 이재명 “진보는 진보, 보수는 보수 정책만 써야 한다는데 동의 안 해 ” 랭크뉴스 2025.02.06
43426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 랭크뉴스 2025.02.06
43425 검찰, ‘부당합병 무죄’ 이재용 사건 상고심의위 심의 요청 랭크뉴스 2025.02.06
43424 [2보]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랭크뉴스 2025.02.06
43423 정부, 대왕고래 시추 1회만에 실패 인정 "경제성 확보 어렵다" 랭크뉴스 2025.02.06
43422 尹 "홍장원·곽종근 공작으로 탄핵공작 시작" 랭크뉴스 2025.02.06
43421 금연 더 늘어날까…담배 성분 공개 의무화, 흡연 피해 소송도 '영향권' 랭크뉴스 2025.02.06
43420 윤 대통령, 시간 더 주라며 ‘툭툭’…김현태 발언 뭐였기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6
43419 [속보] 피치,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랭크뉴스 2025.02.06
43418 [단독] 졸지에 ‘사슴 고추 테러범’ 된 한국 청년…日서 퍼지는 ‘혐한’ 가짜뉴스 랭크뉴스 2025.02.06
43417 중부에 대설특보…도로 미끄럼 사고 유의 랭크뉴스 2025.02.06
43416 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내란·탄핵 공작 시작"‥음모론 제기 랭크뉴스 2025.02.06
43415 시작부터 의문 가득했던 '대왕고래'...尹이 부풀린 기대감은 거품으로 끝났다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