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언 배경엔 ‘분쟁 역사 무지·개발업자 DNA·팽창주의’ 분석
미 언론 “가자 부동산 가치, 사위 쿠슈너 발언에 착안 가능성”
이스라엘·하마스 간 휴전 합의 2단계 이행 여부 불확실해져
미·이스라엘 정상회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의 백악관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내놓은 미국의 가자지구 장기간 소유·관리·개발 및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방안은 그간 미국이 견지해온 중동 정책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팔레스타인 문제 해법과도 완전히 상반되는 내용이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매드맨’(미치광이) 협상 전략이 반영된 구상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팔레스타인은 물론 주변 아랍 국가들의 반발을 초래해 중동 지역의 긴장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뒤 개최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다른 지역에 재정착시켜야 한다면서 “미국은 가자지구를 장악해 이를 가지고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할 일에 대해선 “모든 위험한 불발탄과 무기의 해체를 책임지고, 부지를 평탄하게 하고, 파괴된 건물을 철거하고, 지역주민에게 일자리와 주거를 무한정으로 공급하는 경제 발전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필요시 미군 병력 투입까지도 시사했다. 2023년 10월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전쟁이 발발한 이후 이스라엘군의 계속된 공습으로 초토화된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강제로 제3국으로 내보낸 뒤, 미국이 사실상 ‘점령’한 상태에서 재건을 명목으로 한 개발 사업을 벌이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가자지구의 개발 잠재력이 엄청나다면서 지중해 유명 휴양지에 빗대어 “중동의 리비에라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또한 미국의 가자지구 ‘장기 소유’가 “중동 지역 전체에 엄청난 안정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나와 이야기를 나눈 모든 사람이 이 구상을 좋아했다”고도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팔레스타인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것이자 미국과 국제사회가 형식적으로나마 견지해온 ‘두 국가 해법’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다.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는 미국·이스라엘도 비준한 제네바협약 위반이다. ‘인종청소’에 가까운 행위가 될 수도 있다.

당장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이주 대상국으로 지목된 요르단과 이집트 등도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실현 가능성도 높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민 이주 비용과 관련해서도 “나는 내지 않는다”며 인접국에 전가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 불안정한 중동 정세가 더욱 요동칠 수 있다. 다음주 백악관을 방문하는 요르단 국왕 압둘라 2세에게 이 방안을 수용하도록 압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폭탄 발언 배경을 놓고는 가자지구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기원에 대한 무지함과 함께 부동산 개발업자로서의 관심,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 확보 주장 등에서 드러나는 팽창주의 색채가 반영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그는 미국이 어떤 법적 권한으로 가자지구를 장악하려는 것인지 묻자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은 채 “여러 달 동안 매우 긴밀히 연구하고 모든 다른 각도에서 봤다”면서 이전부터 준비해왔음을 강조했다. 역시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도 이런 구상에 관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 재러드 쿠슈너(장녀 이방카의 배우자)가 “가자지구 해안가 부동산은 매우 가치 있을 수 있다”고 한 발언에 착안한 것일 수 있다고 전했다.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 임기 말 극적으로 타결됐던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 2단계로의 이행 여부도 불확실해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우리는 일을 끝내야 한다”면서 하마스 섬멸 작전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72 딥시크 등장에 흔들리는 엔비디아 AI 패권… 삼성전자·SK하이닉스, 생존 위한 ‘플랜B’는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71 부하 ‘거짓말쟁이’ 만드는 윤석열 궤변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70 의대 25학번 딜레마 "조용히 다니고 싶지만… 선후배 관계 고려 휴학 동참해야죠"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9 위험한 사람들이 아닙니다…위험에 처한 사람들입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8 산토리니섬 지진 2주째…강진 공포에 주민 3분의 2 대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7 [단독] '이재용 무죄' 재판부 "미리 정한 결론이 합리적이면 부정회계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6 신한, SK·롯데 등 대기업 대출 3조 늘렸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5 의협 "수급추계위 전문성·독립성 중요"…정원 논의 물꼬 틀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4 "배터리 일병을 구하라"… 첨단산업 지원 기금 34조원 조성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3 올리브영 유일한 대항마…화장품 사러 '이곳' 간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2 금 한돈에 60만원…트럼프 "관세" 외치자, 하루만에 5% 뛰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1 구글, '비용효율' AI모델 플래시라이트 출시…中 딥시크 겨냥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60 [영상]"F1 경기장인 줄"…심야 도로에서 '폭풍 드리프트'한 간 큰 20대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9 중국, 美 '트럼프 관세조치'에 WTO 분쟁절차 개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8 최상목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배터리·바이오에 34조 투입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7 저출생에 2년간 98억 내놓았다…이중근 “나비효과 되길”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6 "태어날 때부터 찢어지는 고통"…다리절단에 피부암까지, '이 병'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5 남미 좌파대부 브라질 룰라 "트럼프, 허세 좀 그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4 이재명 ‘주52시간 예외’ 양보 제안…재계는 대답 안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53 프랑스 바이루 정부 불신임안 부결…예산안 처리 청신호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