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사무처가 지난 4일, 내란죄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의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을 공개했다. 사진은 해당 영상 화면 갈무리. 국회사무처 제공
육군 특수전사령부가 내란 9개월 전인 지난해 3월에 이미 국회에 헬기를 투입할 장소를 점검한 사실이 드러났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5일 특전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특전사는 지난해 3월부터 서울 지역의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헬기 착륙 가능 지점을 조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했다. 이들은 공항, 변전소, 주요 방송사 등 국가 주요시설을 조사 대상에 포함했는데, 특히 국회에 헬기를 투입할 장소를 집중적으로 점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전사는 이와 관련해 “서울지역 국가중요시설에 대해 복합적인 테러나 도발 상황 발생 시 국가지정 대테러부대가 반응시간 단축을 위해 헬기 착륙가능지역을 분석하라”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지시로 당시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존 군 작전지도에는 이미 헬기 이·착륙장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어 추가적인 점검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특전사가 국회 본청 뒤편 운동장에 헬기를 착륙시키고 707특임단 병력 197명을 공중으로 침투시킨 정황과 맞물리며, 내란 세력이 계엄을 훨씬 이전부터 준비하고 있었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정황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전사가 계엄을 사전에 준비한 정황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달 17일 조국혁신당 전북도당은 △계엄선포 5개월 전인 지난해 7월에 1공수부대가 국회설계도를 요구한 사실 △계엄 1개월 전 수도방위사령부가 국회 전기공급을 점검한 사실 △7공수여단의 교도소 점검 사실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