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딥시크. [사진 딥시크 웹사이트 캡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딥시크를 둘러싸고 데이터 보안 우려가 불거지자 우리 정부가 ‘딥시크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부 기관·기업에선 딥시크 접속을 금지하고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 부처와 17개 지방자치단체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고 5일 밝혔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공직 내부 정부를 AI에 올리는 행동을 유의해달라는 내용이 담겼다는 것이 행안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개발자 조비(32)씨가 로컬PC에서 가동한 딥시크 프로그램. [중앙포토]
행안부의 공문에는 딥시크가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 공문을 받은 일부 부처는 딥시크 접속 제한에 나섰다. 정부세종청사 일부 컴퓨터는 외부 접속이 가능하지만 딥시크에는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국방부는 5일 부처 인터넷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민감한 산업·에너지·통신 정보를 다루는 만큼 자체 판단을 통해 차단했다”며 “별도 지침이 있기 전까지는 딥시크 차단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도 “딥시크에 대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접속 차단을 조치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행안부의 권고 사항을 전 직원에게 주지시킨 후 딥시크 접속 차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외교부도 “구체적인 보안 조치는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반적인 보안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정부가 긴밀하게 움직이는 건 아직 시장에서 충분히 검증을 거치지 않은 중국산 AI 프로그램에 기밀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다만 정부는 딥시크를 타깃으로 했다기보다는 기술적 우려가 불거지는 생성형 AI 전반의 상황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번 공문에 ‘딥시크’라는 단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며 “생성형 AI 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한다는 의미도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한국인공지능협회 주최 '딥시크 쇼크 대응과 AI 발전 전략 긴급 간담회' [뉴스1]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 공기업도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라는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고, 한전KPS도 유사한 지침을 사내에 공지했다.

민간 기업도 비슷한 분위기다. 카카오는 최근 사내에 ‘업무 목적으로 딥시크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고, LG유플러스도 5일 사내망을 통해 ‘업무용으로 딥시크를 활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며 ‘개인 PC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다’는 내용의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했다.

한편 행안부 산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절차·처리·보관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아직 딥시크 본사 측으로부터 회신을 받지 못했다”며 “통상 기업에 유사한 질의서를 발송한 경우 회신을 받는데 평균 1~2주 정도 걸리기 때문에 당분간 회신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374 [속보] 윤 대통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탄핵 공작 시작…의도 다분” 랭크뉴스 2025.02.06
43373 [속보] 김빠진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결론... 정부 "가스 포화도 매우 낮아" 랭크뉴스 2025.02.06
43372 [속보] 尹 "홍장원·곽종근 공작으로 탄핵공작 시작" 랭크뉴스 2025.02.06
43371 '대왕고래' 석유구조 양호하나 경제성 부족…사업동력 약화하나 랭크뉴스 2025.02.06
43370 2살 딸에 불닭소스·소주 먹인 30대 부부…아이는 결국 숨져 랭크뉴스 2025.02.06
43369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尹이 도끼 언급은 안 했다”...尹, 곽 발언 중 피식 웃기도 랭크뉴스 2025.02.06
43368 전한길도 발 빼는데‥김용원 "헌재 부숴 없애야" 망언 랭크뉴스 2025.02.06
43367 [속보] 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탄핵 공작 시작…의도 다분해" 랭크뉴스 2025.02.06
43366 [속보] 곽종근 "尹이 국회 문 부수고 끄집어내라고 말했다" 랭크뉴스 2025.02.06
43365 [단독] 계엄 전 윤석열과 회동 이진우 ‘한동훈 당 게시판 조작’ 검색 랭크뉴스 2025.02.06
43364 尹이 자신한 '대왕고래' 결국 무산…산업부 "경제성 없다" 랭크뉴스 2025.02.06
43363 [속보] 윤석열 "이진우·조지호·곽종근 등에 현장안전 확인하려 전화" 랭크뉴스 2025.02.06
43362 [속보]곽종근 “윤석열·김용현에게서 철수지시 받은 적 없다···내 판단으로 철수” 랭크뉴스 2025.02.06
43361 임금체불 2조원 넘겼는데도 노동부는 김문수 활동 ‘자화자찬’ 랭크뉴스 2025.02.06
43360 [속보] 곽종근 “윤석열, 정확히 ‘의원’ 끌어내라 지시…의결정족수 언급” 랭크뉴스 2025.02.06
43359 민주 “연금 수령 나이 65세로… 정년 연장 논의 시작하자” 랭크뉴스 2025.02.06
43358 [단독] 예산 늘렸지만 슈퍼컴퓨터 6호기 입찰 또 불발…“단독 응찰로 재공고” 랭크뉴스 2025.02.06
43357 상습폭행에 불닭볶음소스·소주까지…숨진 2살아이 학대 전모 랭크뉴스 2025.02.06
43356 최상목 "윤 대통령 부른 뒤 참고 쪽지 받아"‥윤석열 진술 반박 랭크뉴스 2025.02.06
43355 “재판관 파면 탄원하자” 윤석열 지지자들 격앙…헌재 앞 긴장감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