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안팎에서 "인종 청소 범죄" 비판
사우디 "이스라엘과 수교 못해" 반발
하마스 "점령 허용 않겠다" 대응 시사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4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군 병력을 동원해서라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점령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언에 아랍 세계가 들끓고 있다. 미국이 아랍권 반대를 무시하고 '팔레스타인 추방'을 밀어붙일 경우 중동에서 또다시 '피의 전쟁'에 휘말릴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다.

"트럼프가 미쳤다"

친팔레스타인 시위대가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정상회담이 열린 워싱턴 백악관 앞에서 가자 전쟁 종식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 후 '가자지구 점령 구상'을 내놓자 미국 사회 곳곳에서 날 선 비판이 쏟아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인종 청소 범죄에 해당한다"며 맹비난했고, 공화당에서도 "지역구 유권자들이 좋아하지 않을 제안(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백악관 앞에서는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특히 미군 파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이 미국의 트라우마를 자극해 더 큰 반발을 불렀다. 2001년 9·11테러 이후 20년간 약 17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상처가 아물지도 않았는데 미국을 또다시 중동 갈등의 수렁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민주당)은 "미군 수천 명이 학살되는 전쟁이 수십 년간 이어질 것"이라며 "트럼프가 완전히 미쳤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국제사회도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미국 동맹국인 호주 정부는 이날 "'두 국가 해법'(이스라엘·팔레스타인 국가 병존)을 지지한다"고 밝혔고, 중국 외교부도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이 통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냈다. 튀르키예 외무부도 "용납할 수 없는 문제"라고 일갈했다.

미국 중동 평화 구상도 물거품

도널드 트럼프(앞줄 왼쪽)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살만(오른쪽)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기였던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오사카=로이터 연합뉴스


당사자인 아랍 국가들은 더더욱 분노했다. 압델 라티프 알카누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대변인은 5일 성명에서 "미국의 인종차별적인 입장은 우리를 몰아내고 대의를 없애라는 이스라엘 극우 측 입장과 일치한다"고 비판했다. 마무스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도 "가자지구를 점령하고 팔레스타인인을 조국에서 쫓아내겠다는 요구를 강력히 거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도 5일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이주나 영토 병합 등 권리 침해를 무조건 반대한다"고 못 박았다. "팔레스타인 독립 없이는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는 경고도 빠뜨리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2017~2021년) 때부터 중동 긴장 완화를 위해 공들였던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정상화' 구상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도 오는 11일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팔레스타인 이주 반대 입장을 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 정세는 격하게 요동치고 있다. 당장 가자전쟁 휴전 협상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달 19일부터 6주간 지속되는 1단계 휴전 만료(내달 2일)를 약 한 달 앞둔 이날부터 2단계 휴전 논의를 시작했는데, 갑작스럽게 협상 조건 자체가 뒤흔들렸기 때문이다. 하마스는 "미국이 가자지구를 지배하겠다는 계획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59 중국, 美 '트럼프 관세조치'에 WTO 분쟁절차 개시 랭크뉴스 2025.02.06
47658 최상목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배터리·바이오에 34조 투입 랭크뉴스 2025.02.06
47657 저출생에 2년간 98억 내놓았다…이중근 “나비효과 되길” 랭크뉴스 2025.02.06
47656 "태어날 때부터 찢어지는 고통"…다리절단에 피부암까지, '이 병' 뭐길래? 랭크뉴스 2025.02.06
47655 남미 좌파대부 브라질 룰라 "트럼프, 허세 좀 그만" 랭크뉴스 2025.02.06
47654 이재명 ‘주52시간 예외’ 양보 제안…재계는 대답 안 했다 랭크뉴스 2025.02.06
47653 프랑스 바이루 정부 불신임안 부결…예산안 처리 청신호 랭크뉴스 2025.02.06
47652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트럼프가 힌트 준 '제2 엔비디아' 랭크뉴스 2025.02.06
47651 러-벨라루스, '재래무기 위협받으면 핵무기로 대응 가능' 조약 랭크뉴스 2025.02.06
47650 "바지 내리고 초인종 눌러"…정체 알고 보니 '배달 라이더' 랭크뉴스 2025.02.06
47649 생면부지 여성 골목 끌고 가 '사커킥'…40대, 2심도 징역 25년 랭크뉴스 2025.02.06
47648 美 나스닥 하락 출발… 엔비디아, ‘딥시크 충격’ 떨치고 3% 상승 랭크뉴스 2025.02.06
47647 혼다·닛산 통합 무산되나…조건 놓고 ‘파열음’ 랭크뉴스 2025.02.06
47646 美민주 의원, '가자지구 장악' 발언에 트럼프 탄핵 추진 주장 랭크뉴스 2025.02.06
47645 물가, 5개월만에 다시 2%대로…고환율·고유가 충격파 랭크뉴스 2025.02.06
47644 한미 안보실장 첫 통화…"조만간 美 워싱턴에서 만나자" 랭크뉴스 2025.02.06
47643 신원식, 왈츠 미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최상목-트럼프 통화는 아직 랭크뉴스 2025.02.06
47642 외환보유액, 1월 말 4110억달러…4년7개월 만에 최저치 랭크뉴스 2025.02.06
47641 '다이빙 성지' 필리핀 보홀, 고래상어 관광 막았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6
47640 진술로 본 ‘정치인 체포 지시 의혹’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