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어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윤석열 대통령은, 각각 심판정에서의 태도와 말하는 내용 모두에서 극명한 차이를 나타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긴박했던 계엄 선포 직후 국정원 1차장에게 전화를 걸어 놓고도 윤 대통령은, 그저 격려차원으로 걸었을 뿐 계엄 관련 통화는 아니었다는 궁색해보이는 얘길 했는데요.

이와 달리 홍 전 차장은, 대통령 측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 한 건 간첩이었다는데 왜 다른 말을 하느냐, 공작금 유용 의혹이 있는 것 아니냐 같은 공격을 받고도 흔들림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대통령의 지시를 거의 토씨까지 기억하고 있다며 정면 반박했는데요.

구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과 관련한 통화가 아니었다고 했습니다.

격려차 한 거라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어제)]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제가 격려 차원에서…"

윤 대통령측은 또 방첩사를 도우라고 한 건 맞지만, 싹 다 잡아들이라는 건 간첩이라고 했습니다.

[김계리/윤 대통령 측 변호사 -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방첩사를 도와서 정보가 있으면 정보를 주고 간첩들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했다는데 증인의 말과 다른데 어떤가요? <대통령님이 누구한테 하신 말씀이십니까?> 증인에게요. <저한테요?>"

윤 대통령측은 일부 극우 유튜버들의 주장을 법정에 가져와 홍 전 차장을 공격했습니다.

[김계리/윤 대통령 측 변호사 -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공작금 유용 의혹으로 박선원 의원에게 약점 잡힌 것 아닌가요? <아 잘 얘기해주셨습니다. 지금 항간에 제가 대북 공작금 떼어먹었다고 난리인데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윤 대통령이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건 밤 10시 53분.

비상계엄 선포 직후였습니다.

윤 대통령은 밤 10시 27분 계엄을 선포한 뒤 접견실로 돌아와 10시 40분쯤 국무위원들에게 조치 사항을 지시했습니다.

이때 최상목 문건도 건네졌습니다.

윤 대통령 주장대로라면 계엄 선포 20여분 뒤 홍 전 차장에게 격려차 전화했다는 겁니다.

비슷한 시각, 경찰이 중앙선관위로 출동했고, 국회의원 출입도 통제되기 시작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한참 비상계엄 관련된 국무회의가 진행 중이고 지금 수방사, 특전사가 막 난리를 치는데, 옛날에 해외 한 번 나갔다 왔던 1차장한테 격려차 전화하신다? 그 시간에? 이상입니다."

홍 전 차장은 사실을 얘기하는 게 이렇게 힘든 거구나 느꼈다고 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
"지금 일어나고 있는 모든 상황이 다 상식적이지 않은 상황이 아닙니까? 대통령께서도 그날 보니까 뭐 여러군데다 전화 많이 하셨더구만요. 저는 처음으로 대통령의 전화를 받은 거잖아요. 아무래도 밑에 사람이 있으니 정말 오랜만에 전화한 부분의 내용이니까 거의 토씨까지 기억하지 않을까요?"

증인석에 들어서자마자 윤 대통령을 향해 허리 숙여 인사한 홍 전 차장.

윤 대통령은 인사를 받지 않고 고개를 돌렸습니다.

MBC뉴스 구나연입니다.

영상편집 :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45 물가, 5개월만에 다시 2%대로…고환율·고유가 충격파 랭크뉴스 2025.02.06
47644 한미 안보실장 첫 통화…"조만간 美 워싱턴에서 만나자" 랭크뉴스 2025.02.06
47643 신원식, 왈츠 미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최상목-트럼프 통화는 아직 랭크뉴스 2025.02.06
47642 외환보유액, 1월 말 4110억달러…4년7개월 만에 최저치 랭크뉴스 2025.02.06
47641 '다이빙 성지' 필리핀 보홀, 고래상어 관광 막았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6
47640 진술로 본 ‘정치인 체포 지시 의혹’ 랭크뉴스 2025.02.06
47639 [단독] ‘국내 2위’ 로펌서 새나간 공개매수…수십억 원까지 꿀꺽 랭크뉴스 2025.02.06
47638 정부·민간기업, ‘딥시크’ 이용 잇단 제한…“민감 정보 유출 우려” 랭크뉴스 2025.02.06
47637 트럼프 가자 구상에 각국 비판 쇄도…"말도 안 되는 소리"(종합) 랭크뉴스 2025.02.06
47636 [사설] 법원 난동 피의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사법테러 부추기나 랭크뉴스 2025.02.06
47635 카카오 “딥시크 쓰지 마”…커지는 중국 AI 견제 랭크뉴스 2025.02.06
47634 강남역 1억 ‘간접흡연 방지시설’ 만들었지만… 행인은 콜록콜록 랭크뉴스 2025.02.06
47633 알리·테무, 압도적 물량 공세… 유통 내수시장 주도권 내주나 랭크뉴스 2025.02.06
47632 12살 아들 ‘전치 6주’ 학폭 당했는데…교육청 "가해 학생 강제 전학 못 보내" 랭크뉴스 2025.02.06
47631 트럼프 눈치보기?…"베이조스 펀드, 기후 조직 지원 중단" 랭크뉴스 2025.02.06
47630 트럼프·딥시크 충격에…정부, 34조원 이상 첨단산업기금 조성한다 랭크뉴스 2025.02.06
47629 한덕수 측, 탄핵심판서 “계엄 국무회의 위법···신속 결정 필요” 랭크뉴스 2025.02.06
47628 결국 구치소 청문회 안 나온 윤·김용현…야당 “무례한 증인들…고발 조치할 것” 랭크뉴스 2025.02.06
47627 이재명 ‘위헌심판 제청 신청’ 두고 공방…증인은 3명만 채택 랭크뉴스 2025.02.06
47626 ‘트럼프 무풍지대’ 전선업계 실적 신바람 타고 전력질주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