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에는 이' 식 전례와 달리 이번엔 전방위 보복
"다양한 옵션으로 미국 괴롭힐 수 있다" 메시지
갈등 확대는 피하려 파괴적 수준 대응은 자제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경비병들이 오성홍기를 향해 경례를 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대한 중국의 대응은 "중국을 때리면 미국도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로 압축
된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보복 관세는 물론 미국 기업 제재, 광물 수출 통제 등 가용한 대응 수단을 총망라했다는 점에서 "중국도 미국을 괴롭힐 준비가 충분히 돼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뜻이다. 다만 갈등의 지나친 확대를 예방하기 위해 일단은 '제한적 수준'의 반격을 가하는 것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트럼프발(發) 무역 전쟁'을 예견한 듯, 중국은 '맞불 관세'만이 아니라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보복 카드를 미리 준비해 둔 것으로 보인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일(현지시간)
중국이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인 구글·엔비디아에 이어 인텔을 겨냥해서도 제재를 고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국 10% 추가 관세' 행정명령이 이날 발효한 직후,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은 구글의 반(反)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인텔 제재 검토'는 중국에서 사업 중인 다른 미국 기업도 얼마든지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다. 중국은 △석탄·액화천연가스(LNG) 15% 추가 관세 부과 △원유, 농기계, 픽업트럭 등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텅스텐 등 4개 핵심 광물의 수출 통제 등 대미국 제재 카드도 꺼낸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미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중국은 그간 미국의 대중 제재 국면마다 관세에는 관세로, 반도체 수출 통제에는 광물 통제로 각각 대응해 왔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맞불 작전
이었다. 그러나 이번 대응은 다르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압박이 '중국산 수입품 10% 추가 관세'에 그친 반면, 중국의 보복 태세는 전방위적이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연구소 부회장은 "중국이 미국에 '향후 취할 수 있는 반격 조치는 많다'는 암묵적 경고를 보낸 것"이라고 짚었다. '미중 무역 전쟁 2라운드에 대비해 중국도 만반의 준비를 해 뒀다'는 게 이번 상응 조치에 담긴 메시지라는 뜻이다.

중국이 전면전에 나선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반스 프리처드 중국경제 담당 연구원은 영국 BBC방송에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비해 중국의 대응은 온건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인 중국산 수입품은 4,500억 달러 규모인 반면, 중국이 겨눈 미국산 제품은 연간 약 200억 달러에 불과하다는 이유다.

게다가 중국이 제재 대상으로 거론한 구글의 검색 서비스는 애당초 중국 내에서 차단돼 있는 상태다. 애플리케이션·게임 분야에서 중국 기업과 협력 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큰 주목을 끌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구글 매출 중에서 중국 시장 비율은 1% 수준에 그친다. 추화페이 상하이 퉁지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에 "중국의 대응 조치는 차후의 다양한 협상 지렛대를 보여 준 것"이라고 말했다. 갈등 수위의 급격한 상승을 피하기 위해 미국을 실질적으로 타격할 '진짜 보복 카드'는 남겨 뒀다는 얘기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4 '부정선거' 주장 황교안, 尹 내란사건 형사재판 변호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2.05
47563 [속보]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 랭크뉴스 2025.02.05
47562 정연욱 “李 대표 위헌법률심판 제청 비겁” 랭크뉴스 2025.02.05
47561 “끌어내라, 대통령 지시받았다” 곽종근 내일 헌재 ‘증인 신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5
47560 "싹 잡아들여" 통화 전말 공개‥'체포' 메모도 랭크뉴스 2025.02.05
47559 김용현부터 홍장원까지…탄핵심판 증인 신문 하이라이트[뉴스토랑] 랭크뉴스 2025.02.05
47558 [1보]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 랭크뉴스 2025.02.05
47557 [단독] 계엄 직후 조지호·이상민과 5번 통화 박현수, 치안정감 승진... "尹 옥중인사" 랭크뉴스 2025.02.05
47556 서부지법 침입·생중계한 유튜버 구속영장 검찰서 기각 랭크뉴스 2025.02.05
47555 "학교 가야 하나요 말아야 하나요"…의대 25학번의 딜레마 랭크뉴스 2025.02.05
47554 가자지구 휴양지 만들겠다는 트럼프…북한 해안에도 관심 랭크뉴스 2025.02.05
47553 [단독] “성희롱 피해, 부친 도박”…사생활 정보가 군 내부망에 랭크뉴스 2025.02.05
47552 '내란 블랙박스'된 비화폰‥"'계엄 3인방'도 비화폰 받아" 랭크뉴스 2025.02.05
47551 “비밀연애” “머리 들면 날아간다”···조기대선 말 못하는 친윤계의 딜레마 랭크뉴스 2025.02.05
47550 [단독] 특전사, 계엄 9개월 전부터 국회 등 중요 시설 헬기 착륙 장소 점검 랭크뉴스 2025.02.05
47549 우원식 의장, 中 서열 3위 자오러지 만나…“대한민국 불안정하지 않다” 강조 랭크뉴스 2025.02.05
47548 [단독]여인형 11월 작성 메모에 “이석기, 최재영” 랭크뉴스 2025.02.05
47547 필리핀 하원,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탄핵안 통과 랭크뉴스 2025.02.05
47546 부정선거 음모론 주도한 황교안, 윤석열 내란죄 형사재판 변호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2.05
47545 질곡의 현대사 거친 ‘불쌈꾼 백기완’···억만금 줘도 안판다던 그림은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