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카카오,"딥시크 사내 업무 목적 이용 금지"
개인정보 유출 막고 동맹 강화 '일석 이조'
오픈AI, 딥시크에 대항할 진영 구축 한창
샘 올트먼(오른쪽) 오픈AI CEO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열린 ‘카카오 AI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카카오

[서울경제]

오픈AI의 손을 맞잡은 카카오(035720)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사용을 금지했다. 오픈AI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는 딥시크를 배제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도 차단하고 오픈AI와의 동맹도 강화하려는 ‘일석 이조’ 효과를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내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딥시크가 AI 모델의 학습을 위해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뿐만 아니라 키보드 패턴, 오디오 등의 개인정보까지 수집하자 내부 기밀 유출 방지 등 대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동시에 카카오가 오픈AI와 동맹전선을 구축한 것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카카오는 오픈AI와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한다. 이달 4일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카카오 AI 미디어데이’ 행사에 참여해 “장기적 관점에서 카카오를 좋아하고, AI 비전을 공유한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독주하던 AI 시장에 딥시크가 등장하며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에서 카카오가 오픈AI의 편에 서는 모습”이라며 “카카오가 오픈AI의 ‘챗GPT’ 등을 새 AI 서비스 ‘카나나’에 붙이는 시도를 하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의 AI 패권 경쟁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각 진영 간 동맹 대전도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오픈AI는 소프트뱅크와 5000억 달러(약 720조 원) 규모로 초대형 AI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중국에 대항할 수 있는 전선 구축에 나섰다. 실제로 한국을 찾은 올트먼 CEO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 그룹 회장을 만나 오픈AI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업계에서는 삼성과 SK를 주축으로 ‘한미일 AI 동맹’이 성사될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 하에 인해전술로 반격에 나선 모습이다. 우선 중국 정부가 14억 명에 달하는 자국 인구의 개인정보를 중국 기업들이 AI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 가운데 연구개발(R&D) 비용 지원, 세제 혜택 등의 공격적인 정책도 펼치고 있다. 이에 알리바바, 텐센트, 딥시크 등 중국 AI 기업들은 한데 뭉쳐 미국에 반격할 수 있는 무기를 가다듬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206 이재명의 '재판 지연' 내로남불... 尹은 법꾸라지, 나는 권리행사 랭크뉴스 2025.02.06
43205 임종석 "이재명, 정권교체 완수 위해 사즉생의 각오 가져달라" 랭크뉴스 2025.02.06
43204 전한길 무료변론 하겠다는 김용원 “탄핵하면 헌재 부숴 없애야” 랭크뉴스 2025.02.06
43203 문신男들 웃통 벗고 다닥다닥…'철로 만든 지옥' 트럼프에 보낸 딜 랭크뉴스 2025.02.06
43202 지진 공포에 텅 빈 산토리니섬…“2주째 지진으로 주민 3분의 2 떠나” 랭크뉴스 2025.02.06
43201 대만 최대 폭력조직 '죽련방' 두목 사망…장례식 1만명 몰릴 듯 랭크뉴스 2025.02.06
43200 아파트서 내던진 마라탕…배달 영수증에 딱 걸렸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06
43199 당분간 아침 -10도 추위 지속...오늘은 강풍에 전국 눈 랭크뉴스 2025.02.06
43198 국제법 학자들 "트럼프 가자 구상에 충격…전쟁범죄 해당" 비판 랭크뉴스 2025.02.06
43197 유명인 토크쇼라더니 ‘상조상품’ 가입 유도… 주부 대상 편법 모객 ‘횡행’ 랭크뉴스 2025.02.06
43196 [속보] 尹 탄핵 심판 출석...오전 10시부터 ‘하루 종일’ 심리 랭크뉴스 2025.02.06
43195 직장인 70% “올해 이직할 것”···이직 이유 1위는 ‘더 많은 급여’ 랭크뉴스 2025.02.06
43194 트럼프 '가자 구상'에 각국 비판 쇄도… "국제법 위반" 랭크뉴스 2025.02.06
43193 [속보]윤 대통령, 헌재 도착…6차 변론기일 “끌어내라” 증언 곽종근 출석 랭크뉴스 2025.02.06
43192 모든 게 무너진 후, 소소는 '열무와 알타리'를 그렸다 랭크뉴스 2025.02.06
43191 패망 위기 한국에 홀연히 온 귀인…  80일 만에 전세 뒤집은 한국전 최고영웅 [명장] 랭크뉴스 2025.02.06
43190 경찰관들 빤히 보고도…만취 운전자의 무모한 도주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06
43189 세월호 변호사에 80년대생까지…尹변호인단 규모 확 커졌다 랭크뉴스 2025.02.06
43188 시리아 철군 현실화하나… "미 국방부, 전원 철수 계획 마련 중" 랭크뉴스 2025.02.06
43187 유시민 "野 비명계 주자 망하는 길로, 김경수 지도자 행세 말라"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