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대경 대통령 경호처 지원본부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비화폰 관리와 관련한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의 추궁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전날인 지난해 12월2일, 내란을 모의·실행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지급된 경호처 ‘비화폰’(도청과 음성녹음이 불가능한 전화기)의 반납장소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집무실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노 전 사령관에게 지급된 비화폰의 불출 확인서에는 김 차장의 하급자인 비서관 이름이 적혀 있다고 한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에 출연해 “김성훈 차장의 비서관이 (노상원에게 준 비화폰을) 불출했는데, 불출 확인서에 그 기록이 온전히 남아 있다”며 “또 반납할 때 (비화폰을) 반납받은 장소가 경호차장실”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전날 국회 내란특위 2차 청문회에서 김 차장이 노 전 사령관에게 경호처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가 존재한다고 말한 것이다.

윤 의원은 이날 “노상원이 비화폰을 계엄 직후 기계상의 문제로 반납하는데, 황당하게 또다시 비화폰을 (경호처가 노상원에게) 준다”며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이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직전에 비화폰을 반납하는데, 저는 이 비화폰을 계엄 이후에 준 이유는 증거인멸(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전날 윤 의원은 12월 2일 경호처 비화폰이 노 전 사령관에게 지급되고, 12월7일 반납됐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중간에 비화폰을 반납하고 다시 받은 사실을 추가로 공개한 것이다. 계엄 이후 비화폰이 노 전 사령관에게 다시 지급된 이유는 증거인멸을 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이다.

윤 의원은 “(계엄) 핵심인물인 특수전사령관, 방첩사령관, 수방사령관에게 (경호처가) 비화폰을 2022년∼2023년에 다 준다”며 “그런데 2024년 4월에 이 세 명이 (비화폰을) 다 반납을 한다. 그런데 다시 2024년 4월 말경 비화폰을 또 나눠준다”고 말했다. 그는 “그즈음에 김용현이 이 세 명을 불러서 일종의 도원결의를 한다. 그 직후에 다시 비화폰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4월부터 비상계엄을 염두에 두고 경호처 비화폰을 이들에게 지급했다는 의혹이다. 김용현 전 장관의 공소장을 보면, 김 전 장관은 지난해 4월 중순경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경호처장 공관에서 이 세 명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하면서 ‘사회적으로 노동계, 언론계, 이런 반국가세력들 때문에 나라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고 나온다.

민주당은 경호처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막고 있는 김 차장에 대해 검찰이 구속영장 신청을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성훈 차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에 대해 검찰이 두 번이나 거부했다”며 “검찰의 내란수사 방해행위에 대해 엄중 경고한다”고 했다. 이어 “김성훈 차장은 내란수괴 윤석열 체포를 물리력을 동원해 방해한 현행범이자 12·3 내란에도 직접 관여한 의혹을 사고 있고 지금도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노골적으로 막아서고 있다”며 “검찰이 구속영장 신청을 가로막는 행위는 매우 비상식적이고 내란수사를 축소 은폐하려는 고의적 행동이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96 학생부 ‘복붙’하고 해외여행간 교사, 1년 만에 징계할까 [취재후] 랭크뉴스 2025.02.05
47395 [속보]박현수 행안부 경찰국장, 치안정감 승진…대통령실·총리실 파견자도 승진 랭크뉴스 2025.02.05
47394 역공 나선 최윤범 "영풍 거버넌스 문제 심각…집중투표제 도입" 랭크뉴스 2025.02.05
47393 “아무 일도 안 일어났다” 발언에 정청래 ‘재판장님!’ 하더니…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5
47392 김경수 "차기 정부 출범 전 계엄방지 원포인트 개헌 필요" 랭크뉴스 2025.02.05
47391 김용현 "애국전사"…'서부지법 난동' 구속 30여명에 영치금 랭크뉴스 2025.02.05
47390 한은 총재, 청문회 나와 “환율 상승분 70원 중 30원은 계엄 영향”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5
47389 “중국산에 밀렸다” 日 파나소닉 TV사업 철수 검토 랭크뉴스 2025.02.05
47388 [단독] 170억 빌려 쓰고 “돈 못 갚는다” 파산 신청하는 강남 아파트 랭크뉴스 2025.02.05
47387 “정치 성향 다르면 연애·결혼 안 해” 58%…“술자리도 싫어” 33% 랭크뉴스 2025.02.05
47386 트럼프 ‘구조조정’ 공세에 연방공무원 2만명 퇴직 신청…USAID는 ‘강제 휴직’ 통보 랭크뉴스 2025.02.05
47385 ‘파오차이 찌개 먹었어요’ 쓴 中 출신 아이돌…서경덕 “정말 잘못한 일” 랭크뉴스 2025.02.05
47384 부영의 ‘자녀 1명당 1억’ 출산 장려금, 지난해 28억 지급 랭크뉴스 2025.02.05
47383 내란 혐의 국조특위 구치소 현장 조사…여야, ‘윤석열·이재명’ 공방 랭크뉴스 2025.02.05
47382 전한길 “아내가 집 나가려고 해… 2030 제자 위해 희생” 랭크뉴스 2025.02.05
47381 배현진, 故 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사내 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380 [정책 인사이트] 아이 낳고 85% 산후조리원 이용… 평균 12.6일 머물며 286만원 랭크뉴스 2025.02.05
47379 이재명, 尹 향해 “내란사태 희화화 정신차리길… 나라 망할 뻔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8 김용현, ‘서부지법 난동’ 구속 30여명에 영치금…“애국청년” 랭크뉴스 2025.02.05
47377 10억치 마약 전국 풀렸다… 집단투약 온상 된 ‘外 전용’ 업소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