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에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을 지켜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미국으로부터 받는 군사 지원의 대가로 희토류를 요구한 데 대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화답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종전을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직접 회담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 발언과 관련해 자신이 이미 지난해 9월에 제안했던 내용이라며 우크라이나는 동맹국의 투자에 열려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기업들이 이 분야를 개발하기를 원한다”며 “우리는 영토 사수에 도움을 주고, 무기와 제재 패키지로 적을 격퇴하는 동맹국들과 함께 이 모든 자원을 개발할 수 있다는 사실에 열려 있으며, 이는 완전히 정당한 일”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측이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특사인 키스 켈로그와 접촉했으며, 방문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마이클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이 통화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직접 회담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을 방문해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 신분이던 트럼프 대통령에게 러시아와의 전쟁 종식을 위한 ‘승리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그는 희토류 개발이 이 ‘승리 계획’에서 중요한 경제적 요소였다며 “당시 나는 미국 기업들의 투자를 환영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우리는 수백억달러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는 엄청난 희토류를 가지고 있고 난 희토류를 담보로 원한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는 그럴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유럽 국가들보다 더 많은 금액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했는데, 아무것도 되돌려받지 못했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 합의할 것이라는 의향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날 유튜브에 공개된 영국 언론인 피어스 모건과의 인터뷰 영상에서 ‘푸틴 대통령과 협상 테이블에 앉는다면 어떤 느낌이 들 것 같냐’는 질문에 “만약 그것이 우크라이나 시민에게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라면 우리는 분명히 이 방식을 시도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네 참여자”와 함께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참여자’가 누구일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종전 회담을 한다면 우크라이나·유럽연합(EU)·미국·러시아가 참여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난 그(푸틴)에게 친절하지 않을 것이다. 난 그를 적으로 여긴다. 솔직히 말해 그 역시 나를 적으로 여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러시아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집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주 자국 국영방송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와 협상에 나설 수 있지만 차기 정부와 할 일”이라고 언급했다. 푸틴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난해 임기가 만료됐는데도 계엄령을 근거로 선거를 치르지 않고 정권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불법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우크라 군사 지원 대가로 희토류 원해”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미국으로부터 받는 군사 지원의 대가로 희토류를 제공하길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그들이 매우 가치가 있는 희토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는 수백억달러를 (...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40649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105 남미 좌파대부 브라질 룰라 "트럼프, 허세 좀 그만" 랭크뉴스 2025.02.06
43104 이재명 ‘주52시간 예외’ 양보 제안…재계는 대답 안 했다 랭크뉴스 2025.02.06
43103 프랑스 바이루 정부 불신임안 부결…예산안 처리 청신호 랭크뉴스 2025.02.06
43102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트럼프가 힌트 준 '제2 엔비디아' 랭크뉴스 2025.02.06
43101 러-벨라루스, '재래무기 위협받으면 핵무기로 대응 가능' 조약 랭크뉴스 2025.02.06
43100 "바지 내리고 초인종 눌러"…정체 알고 보니 '배달 라이더' 랭크뉴스 2025.02.06
43099 생면부지 여성 골목 끌고 가 '사커킥'…40대, 2심도 징역 25년 랭크뉴스 2025.02.06
43098 美 나스닥 하락 출발… 엔비디아, ‘딥시크 충격’ 떨치고 3% 상승 랭크뉴스 2025.02.06
43097 혼다·닛산 통합 무산되나…조건 놓고 ‘파열음’ 랭크뉴스 2025.02.06
43096 美민주 의원, '가자지구 장악' 발언에 트럼프 탄핵 추진 주장 랭크뉴스 2025.02.06
43095 물가, 5개월만에 다시 2%대로…고환율·고유가 충격파 랭크뉴스 2025.02.06
43094 한미 안보실장 첫 통화…"조만간 美 워싱턴에서 만나자" 랭크뉴스 2025.02.06
43093 신원식, 왈츠 미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최상목-트럼프 통화는 아직 랭크뉴스 2025.02.06
43092 외환보유액, 1월 말 4110억달러…4년7개월 만에 최저치 랭크뉴스 2025.02.06
43091 '다이빙 성지' 필리핀 보홀, 고래상어 관광 막았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6
43090 진술로 본 ‘정치인 체포 지시 의혹’ 랭크뉴스 2025.02.06
43089 [단독] ‘국내 2위’ 로펌서 새나간 공개매수…수십억 원까지 꿀꺽 랭크뉴스 2025.02.06
43088 정부·민간기업, ‘딥시크’ 이용 잇단 제한…“민감 정보 유출 우려” 랭크뉴스 2025.02.06
43087 트럼프 가자 구상에 각국 비판 쇄도…"말도 안 되는 소리"(종합) 랭크뉴스 2025.02.06
43086 [사설] 법원 난동 피의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사법테러 부추기나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