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토부, 작년 12월 주택 통계 발표
전국 미분양 주택 7만163가구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 5개월 연속 감소
전월세는 14% 넘게 증가해

작년 4월 서울 시내의 한 미분양 아파트 분양 사무소 앞에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뉴스1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지난해 말 2만가구를 넘어섰다. 악성 미분양 주택이 2만가구를 웃돈 것은 2014년 7월 이후 10년여 만이다. 악성 미분양의 80%가 비수도권에 몰렸다.

5일 국토교통부가 공표한 지난해 12월 기준 주택 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148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15.2% 증가한 수준이다. 악성 미분양 주택이 2만가구 이상으로 늘어난 것은 2014년 7월(2만428가구) 이후 10년 5개월 만이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방 쏠림 현상을 보였다. 비수도권의 지난해 12월 악성 미분양 주택은 1만7229로 전월 대비 1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지역의 악성 미분양 주택은 4251가구로 10.6% 늘었다. 서울의 경우 악성 미분양 주택이 5.0% 증가한 633가구로 집계됐다.

전국 미분양 주택 역시 4개월 만에 다시 7만가구를 웃돌았다. 작년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173가구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7.7%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지방에 5만3176가구의 미분양 주택이 몰렸다.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1만6997가구였다.

2024년 12월 기준 미분양 주택수 그래프. /국토교통부 제공

주택 규모별로는 85㎡ 초과 미분양이 1만348가구로 전월 대비 13.5% 증가했다. 85㎡ 이하는 5만9825가구로 전월보다 6.8% 늘어났다.

서울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 ‘한파’…전월세 거래는 반등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3656건으로 전월 대비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지난해 7월 9618건까지 증가한 이후 정부의 대출 규제가 시작한 8월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서울 지역의 전반적인 주택 거래는 둔화되는 양상이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빌라,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체 서울의 주택 거래는 6444건으로 전월보다 5.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는 4만5921건으로 전월 대비 6.5%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2만235건의 거래가 이뤄지며 전월보다 7.1% 거래량이 줄었다. 비수도권 주택 매매 거래는 전월 대비 6.0% 감소한 2만5686건을 기록했다.

주택 매매 거래량이 줄어든 반면, 전월세 거래는 증가했다. 12월 전월세 거래량은 21만7971건으로 전월 대비 14.0% 증가했다.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이 모두 전월세 거래가 활발한 모습이었다. 수도권의 전월세 거래는 14만3494건으로 전월 대비 12.5% 늘었다. 지방 역시 7만4477건의 전월세 거래가 이뤄지면서 전월보다 거래가 17.0% 증가했다.

전세보다는 보증부월세·반전세 등 월세 증가 폭이 컸다. 12월 전세 거래량은 8만6032건으로 전월 대비 7.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월세 거래량은 13만1939건으로 전월 대비 18.6% 증가, 전년동월 대비 12.6% 증가하였다.

작년 주택 인허가 2010년 이후 최대치…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증가
2024년 12월 주택건설실적.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12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15만5123가구로 2010년 12월(15만7000가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작년 한 해로는 공급 여건이 위축되면서 인허가 실적이 42만7244가구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공공 주택 인허가 실적은 지난해 12만9047가구로 2023년보다 65.7% 급증했지만, 같은 기간 민간 주택 인허가 실적인 29만9197가구로 14.7%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비아파트 인허가는 감소한 반면, 아파트 인허가는 증가했다. 작년 아파트 인허가는 39만923가구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의 경우 인허가 실적이 전년 대비 15% 늘어난 21만2776가구를 기록했다. 비아파트의 인허가 실적은 3만7321가구로 27% 줄었다.

착공 실적은 12월 6만5437가구를 기록했다. 작년 전체 실적은 30만5331가구로 전년 대비 26.1% 증가했다. 주택 수요가 큰 아파트를 중심으로 수도권과 지방 모두 크게 증가했다. 작년 공공주택 착공은 5만5670가구로 전년 대비 218% 급증했다. 민간 주택 착공 역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적보증 확대 등의 영향으로 11.1% 증가한 24만9661가구를 기록했다.

작년 12월 분양 실적은 1만9322가구로, 지난해 전체 실적은 23만1048가구로 집계됐다. 2023년 분양 실적(19만2425가구)과 비교해 20.1%나 늘어났다. 상대적으로 지방에서 분양 물량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분양 물량은 10만1702가구로 전년보다 29.7% 늘어났다. 수도권은 12만9346가구로 13.5% 증가했다.

준공 실적은 작년 12월 4만592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준공 실적은 44만9835가구로 전년(43만6055가구) 대비 3.2% 증가했다. 이 중 아파트 준공 실적은 10% 이상 증가해 40만7534가구를 기록한 반면 비아파트는 감소했다. 비아파트의 준공 실적은 4만2301가구로 전년보다 35.6% 급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32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소유해 경제 발전시킬 것” 랭크뉴스 2025.02.05
47331 "자기 보수야? 그럼 우리 헤어져"···10명 중 6명은 "정치성향 다르면 연애·결혼 안돼" 랭크뉴스 2025.02.05
47330 경찰, 어제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계엄 국무회의 상황 조사 랭크뉴스 2025.02.05
47329 [속보] 崔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규모 랭크뉴스 2025.02.05
47328 [속보] 최상목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랭크뉴스 2025.02.05
47327 [속보] 최상목 대행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원 규모” 랭크뉴스 2025.02.05
47326 올해 전기차 갈아탈까…아이오닉5 구매자, 1000만원 아낀다 랭크뉴스 2025.02.05
47325 "부끄럽고 자괴감 든다"…전한길 때린 일타강사 강민성 랭크뉴스 2025.02.05
47324 트럼프 "美, 가자지구 점령·소유할 것"…네타냐후 "역사 바꿀 결단" 랭크뉴스 2025.02.05
47323 [속보] 경찰, 한덕수 국무총리 2차 피의자 조사…‘비상계엄’ 국무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2.05
47322 [속보] 경찰, 어제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계엄 국무회의 관련 조사 랭크뉴스 2025.02.05
47321 이재명 “국힘은 여당 아닌 산당… 산 위 출몰해 사람들 괴롭혀” 랭크뉴스 2025.02.05
47320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7년 만에 이사회 의장 복귀…"AI 사업 드라이브" 랭크뉴스 2025.02.05
47319 젤렌스키 “자원 개발 열려있어”···트럼프 ‘희토류 딜’ 순항 랭크뉴스 2025.02.05
47318 "신상공개 안돼"…234명 성착취 조직 총책 '목사' 집행정지 신청 랭크뉴스 2025.02.05
47317 [속보] 사우디, '가자주민 강제이주' 트럼프 계획에 반대 표명 랭크뉴스 2025.02.05
47316 지적장애 딸 10년 성폭행한 '악마 아빠'…가족에 고소당하자 결국 랭크뉴스 2025.02.05
47315 “한국판 디즈니 키운다” K콘텐츠 펀드 6000억원 조성 랭크뉴스 2025.02.05
47314 [속보] 경찰, 어제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계엄 국무회의 조사 랭크뉴스 2025.02.05
47313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장악…경제 발전시킬 것”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