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증외상 전문의 11년 간 배출
고대구로병원 전문의 수련센터
예산 삭감에 이달 말 운영 종료
"외상 전문의 배출 힘들어질 것"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중증외상센터’의 한 장면. 사진 제공=넷플릭스

[서울경제]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주인공 백강혁 같은 외상전문의를 육성해오던 국내 유일의 수련센터가 11년 만에 문을 닫는다. 외상 치료에 특화된 의사를 길러내는 수련 과정이 사라지면 이 분야의 전문가를 길러내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고된 업무 탓에 가뜩이나 의사들로부터 인기가 없는 중증외상전문의 명맥이 끊길까 우려된다.

고려대의료원 산하 안암·구로병원은 지난 2021년 서울시가 운영하는 중증외상 최종치료센터로 선정됐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 제공=고려대의료원


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고대구로병원은 이달 28일 중증외상전문의 수련센터 운영을 중단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중증외상을 치료하는 의사를 전문적으로 육성하는 기관이다. 국내에서 이런 역할을 하는 센터는 이곳이 유일하다. 중증외상전문의를 육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면서 2014년 3월 보건복지부가 서울지역 외상전문의 집중 육성 수련병원으로 지정했다. 지난 11년간 정부 지원으로 운영되면서 20여 명의 외상전문의를 배출했다.



고대구로병원 중증외상전문의 수련센터가 문을 닫게된 이유는 그동안 정부가 지원해왔던 연간 9억 원의 예산이 올해 지급되지 않게 됐기 때문이다. 복지부의 2025년도 예산이 국회 제출안보다 약 1655억 원 줄어든 125조 5000억 원으로 책정되면서 이 사업비가 전액 삭감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주예산이 깎이면서 한해 9억 원씩 지급되던 사업 운영비도 전액 삭감됐다"며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올해는 사업 운영이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중증외상 전문의는 생명이 경각에 달린 환자들이 119 구급대 등에 의해 권역외상센터로 응급 수송되면 제일 먼저 달려오는 의사들이다. 2011년 소말리아 해적을 퇴치하는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을 치료해 ‘현실판 백강혁’으로 통하는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당시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짧은 시간에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치료를 해야하는 만큼 전문성이 어느 분야 보다 중요하다. 정부가 인적자원이 풍부한 서울에 외상전문의 집중수련병원을 지정하고 권역외상센터에 준하는 국고운영비 등을 지원해 왔던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하지만 국내 유일의 중증외상전문의 육성센터가 운영을 중단하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중증외상 전문의 수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올해는 물론, 내후년에도 사업 재개가 가능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전문의 취득 후 중증외상전문의수련센터에서 수련을 받은 의료진들은 현재 각 병원에서 활약을 하고 있다. 아주대병원, 가천대길병원 ,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안동병원 등 전국 외상센터에서 다발성 골절·출혈 등 일반 응급실에서의 처치 범위를 벗어나는 외상 환자들을 살려내고 있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외상센터는 말 그대로 주변 병원이나 일반 응급실이 받지 못하는 환자는 받는 최후의 보루”라며 "의료 공백 장기화로 응급의료체계가 무너질 위기에 놓이면서 현장 의료진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신규 인력 배출에도 구멍이 생긴다면 중증외상 환자가 갈 곳이 사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외상 분야는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 인력, 시스템 등 다방면에서 병원 차원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며 “국민 생명을 구하기 위해 수준 높은 외상전문의를 길러내는 기관이 연간 9억 원의 예산이 없어 문을 닫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84 “폭력적인 범죄자? 우리한테 다 맡겨”…미국과 '대리 수용' 합의한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2.05
47283 "너는 외로운 아이가 아니었다" 41년 전 입양 간 동생 찾는 누나가 쓴 편지 랭크뉴스 2025.02.05
47282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랭크뉴스 2025.02.05
47281 이젠 '구속 취소' 청구까지‥재판부엔 '훈수' 랭크뉴스 2025.02.05
47280 [속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 만에 2%대 랭크뉴스 2025.02.05
47279 임대주택 산다는 게 자랑이 될 수 있을까… LH의 리모델링 도전 랭크뉴스 2025.02.05
47278 [단독] 야생동물 20마리 이상 사육·판매 시 허가제 검토 중···문턱 높이나 랭크뉴스 2025.02.05
47277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7276 [2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7275 양문석 "국힘 지지자 '이재명 체포조'모집, 조건은 무술 유단자" 랭크뉴스 2025.02.05
47274 "지금 개헌 안하면 다음 대통령도 똑같은 일 당할 것" [강찬호의 뉴스메이커] 랭크뉴스 2025.02.05
47273 미·중 기술 패권 또다른 전장…차세대 통신 리더 ‘오픈랜’[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2.05
47272 10년 후 택시 1만 대가 하늘에 뜬다…성큼 다가온 UAM 시대 승자는? [베인의 위닝 전략] 랭크뉴스 2025.02.05
47271 국회까지 나온 무속인‥"군인들 배신 여부 물어" 랭크뉴스 2025.02.05
47270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vs 어피니티, 13년 전 백기사 왜 악연이 됐나 랭크뉴스 2025.02.05
47269 트럼프, 팔레스타인 이주 방안 고수… "가자는 철거 지역" 랭크뉴스 2025.02.05
47268 한미약품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로수젯’ 판매 순풍 랭크뉴스 2025.02.05
47267 1월 외환보유액 4110억달러…‘환율 방어’ 등에 46억달러 감소 랭크뉴스 2025.02.05
47266 "트럼프, 加·멕에 전면관세 직전 비서실장은 '車는 예외' 언급" 랭크뉴스 2025.02.05
47265 배현진, 故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문화 있다"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