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 이후 국민 불안 해소 명분
‘신 3김’ 이어 김두관·김영록도 가세
李, 정략적 의도 등 우려 반응 자제
조기 대선 땐 합종연횡 가능성 관측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탄핵 정국 이후를 대비한 개헌 추진에 앞장서 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여권에 이어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까지 일제히 개헌 필요성에 힘을 실으며 이 대표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때 개헌을 고리로 한 후보들 간 합종연횡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이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는 현시점에서의 개헌론 분출에 정략적 의도가 큰 것으로 보고 거리를 두고 있다. 자칫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슈를 희석하고 정국 혼란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도 표한다.

김 전 지사는 4일 “내란 세력에 대한 단죄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파면으로 끝나선 안 된다”며 “이번 탄핵의 종착지는 이 땅에 그런 내란과 계엄이 다시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개헌’이 돼야 한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이어 “내란 이후는 불법적 계엄을 어떻게 원천적으로 방지할 것인지가 더 시급한 과제가 됐다. 거기에 더해 대통령의 권력을 어떻게 분산시키고,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강화할 것인지도 함께 정해야 한다”며 “그 제도 위에 새 정부가 출범해야 누가 다음 대통령이 되더라도 국민이 불안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개헌에 신중한 이 대표의 고뇌를 모르진 않는다. 그러나 정치권은 책임 있게 탄핵 그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며 “이 대표께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개헌 추진에 앞장서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개헌은 최근 비명계 인사들이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이슈다. 김 전 지사와 함께 이른바 ‘신(新) 3김’으로 불리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지사도 한목소리로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김 전 총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하는 걸 이번에 분명히 해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지사도 신년 기자간담회 등에서 “‘87년 체제’는 효용과 시효를 다했다”며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을 출범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 비명계 인사인 김두관 전 의원과 김영록 전남지사도 개헌론 대열에 합류한 상태다.

국민의힘은 더 나아가 국회 차원의 ‘개헌 특별위원회’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동시에 정치권 원로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여당 내 별도의 개헌특위도 가동할 방침이다. 전직 국회의장과 국무총리, 당대표 등으로 구성된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 모임’ 역시 정치권을 향해 개헌 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대표 측은 개헌론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대표는 지난달 23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은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라며 관련 언급을 삼갔다. 한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는 “이 대표도 개헌 의지는 있지만 현재 개헌을 주장하는 이들의 진정성을 믿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 현실적으로 합의에 이르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33 탄핵 지지자 신상 털고 직장 찾아 위협…극우 ‘좌표 찍기’ 기승 랭크뉴스 2025.02.05
47232 오늘도 북극발 한파…체감온도 더 낮아 랭크뉴스 2025.02.05
47231 [1보] 뉴욕증시, 무역전쟁 우려에도 상승 마감…나스닥 1.4%↑ 랭크뉴스 2025.02.05
47230 지난해 '나홀로 사장님' 6년 만에 감소…코로나19 때보다 악화 랭크뉴스 2025.02.05
47229 윤 "계엄 관계없는 간첩 얘기한 걸 갖고" 홍 "간첩 얘기한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2.05
47228 경력자만 뽑으면 사회초년생은 어쩌나… 랭크뉴스 2025.02.05
47227 수하물 부쳤더니 도난…배터리 외, 기내 꼭 휴대해야 될 물건은 랭크뉴스 2025.02.05
47226 드라마 잘 나가는데…‘국내 유일’ 외상전문의 수련센터, 이달말 운영 종료 랭크뉴스 2025.02.05
47225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서두르지 않아…적절한 때에 하겠다" 랭크뉴스 2025.02.05
47224 골프황제 우즈 "어머니 없었다면 나의 성취는 불가능했을 것" 랭크뉴스 2025.02.05
47223 [속보] 트럼프 "이란이 나 암살하면 전멸시키라 지시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22 놀라운 '전환'위복…유튜브도 원래 데이팅 회사였다 랭크뉴스 2025.02.05
47221 '잃어버린 퍼즐' 찾듯, 손정의는 삼성 문 열었다…3인 AI회동 전말 랭크뉴스 2025.02.05
47220 12·3 계엄선포 그날 밤, 尹∙홍장원 '10시53분 전화'의 진실 랭크뉴스 2025.02.05
47219 박찬욱 "'JSA' 25년 지나도 감흥…50주년 땐 옛날 얘기됐으면" 랭크뉴스 2025.02.05
47218 美전문가 "러 파병 북한군 사상자, 파견 병력의 최대 50% 추정" 랭크뉴스 2025.02.05
47217 이재용·최태원·정신아·김창한...'오픈AI' 올트먼, 서울서 반나절 만에 다 만났다[한국 뒤흔드는 딥시크 폭풍] 랭크뉴스 2025.02.05
47216 '페이팔 마피아' 창업 팔란티어 주가 23%↑…첫 100달러 돌파 랭크뉴스 2025.02.05
47215 훔친 차로 무면허 운전·경유 차에 휘발유…'간 큰' 10대들의 일탈 랭크뉴스 2025.02.05
47214 딥시크 여파…트럼프-이시바 첫 정상회담에 AI 협력도 의제로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