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상 치며 발언…홍장원 "그 시간에 격려차 전화하나" 반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 진술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5차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진술하고 있다. 2025.2.4 [헌법재판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황윤기 이도흔 이민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전화한 것은 계엄과 무관하다고 탄핵심판에서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4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첫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두번째 전화는 비상계엄을 위한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온 것을 보고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는 것을 안 뒤 계엄 선포 대국민담화를 하고서 오후 11시가 다 되어서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두번째 전화에 대해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해야겠다고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홍 전 차장은 전화로 윤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도와달라는 요청과 함께 구체적인 명단을 들었고, 이를 메모지에 받아적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계엄이 선포되면 방첩사가 사실상 국정원의 우위에 있다"며 "담당인 (국정원) 2차장도 아닌 1차장한테 계엄 사안과 관련한 무슨 부탁을 한다는 게, 만약에 할 거면 방첩사령관은 국정원장한테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탄핵부터 내란 몰이, 이런 모든 프로세스가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12월 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한테 넘어가면서 시작된 것"이라며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도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증인신문 이후 기자들과 만나 "조태용 원장이 얘기하는 것과 똑같다. (윤 대통령이) 처음부터 그렇게 생각하신 걸까"라며 "한창 비상계엄 관련된 국무회의가 진행 중이고 수방사(수도방위사령부), 특전사(특수전사령부)가 막 난리를 치는데 예전에 해외 한번 나갔다 왔던 1차장한테 격려차 전화를 하신다, 그 시간에?"라고 반문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의 전화를 3일 오후 10시 53분에 받았다고 주장한다. 이때는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가 종료된 10시22분에서 30분 정도 지난 때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지난 4차 변론과 달리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증인신문 내내 주로 눈을 감거나 증인을 쳐다보며 증언을 청취했다.

홍 전 차장의 발언에 반박할 때는 다소 흥분한 듯 양손을 크게 휘젓거나 책상을 내려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의 증인신문 때 배진한 변호사가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에 관해 질문하는 도중 옆에 있던 송진호 변호사에게 귓속말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송 변호사는 윤 대통령의 말을 듣고 배 변호사의 질문을 제지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08 故오요안나 입연 배현진…“이지메, MBC 나쁜 사내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207 검찰, 황운하·송철호 2심 무죄에 "수긍 어려워, 상고 예정" 랭크뉴스 2025.02.05
47206 루비오 "엘살바도르, 美범죄자 수용 제안…트럼프가 결정할 것" 랭크뉴스 2025.02.05
47205 트럼프표 ‘스타게이트’ 잰걸음…올트먼, 서울서 최태원·이재용 만나 랭크뉴스 2025.02.05
47204 딥시크, ‘제번스의 역설’처럼 고성능 칩 수요 늘릴까 [유레카] 랭크뉴스 2025.02.05
47203 베일 싸인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동명이인 사진이 잘못 퍼져 랭크뉴스 2025.02.05
47202 윤석열 “내가 선관위 군 투입 지시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01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랭크뉴스 2025.02.05
47200 서초·강남 평당 1억, 도봉·강북 3000만… 짙어지는 양극화 랭크뉴스 2025.02.05
47199 트럼프 구조조정 정책 추진…"美 연방공무원 2만명 자발 퇴직" 랭크뉴스 2025.02.05
47198 "보조배터리, 기내에 들고 타고 되나요?" 질문에…파일럿 출신 교수 꺼낸 말 랭크뉴스 2025.02.05
47197 7년간 뭘 했길래…'188만원→305만원' 국민연금 마법의 비결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랭크뉴스 2025.02.05
47196 80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번아웃' 병원 치료 랭크뉴스 2025.02.05
47195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랭크뉴스 2025.02.05
47194 카카오, 오픈AI와 손잡았다…‘AI 서비스 대중화’ 첫걸음 랭크뉴스 2025.02.05
47193 美백악관 “트럼프-시진핑 통화 조율 중…곧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2.05
47192 서부지법 사태 특임전도사 구속영장 신청…'녹색 점퍼남'은 구속 랭크뉴스 2025.02.05
47191 김경수, 이재명에 개헌 압박 “대통령 권력 줄여, 계엄 막아야” 랭크뉴스 2025.02.05
47190 트럼프 "자폐아 20년새 급증"…장관 후보의 문제 주장에 힘실어 랭크뉴스 2025.02.05
47189 '차털이'로 훔친 신용카드 들고…아이폰 등 379만원 긁은 20대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