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 최현규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서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빼내라고 지시했다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주장을 반박했다.
곽 전 사령관은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해 “대통령이 저한테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앞서 김 전 장관은 지난달 23일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 측이 ‘요원을 빼내라고 한 것을 의원을 빼내라고 한 것으로 둔갑한 것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답한 바 있다.
이에 곽 전 사령관은 “당시 시점에는 요원들이 본관에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재차 ‘본관에는 국회의원이나 보좌진 외 별도의 타깃 대상물이 없었다는 것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윤석열 피고인이 헌재에서 계엄 해제 결의 후에 다치는 사람이 없도록 철수하라고 직접 사령관들에게 지시했다는데 그런 지시를 한 사실이 있느냐’는 추 의원의 질의에 곽 전 사령관은 “지시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곽 전 사령관은 “제가 먼저 철수하겠다고 말하자 김 전 장관이 ‘조금만 더 버텼으면 좋았을걸’이라고 말했다”며 “비상계엄 상황이 발생하기 전이나 중간에도 누구로부터 ‘질서를 유지하라’ ‘시민을 보호하라’ ‘경고용이다’라는 말을 들은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