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레이디 가가가 지난 2일 제67회 그래미 시상식 레드카펫에서 인사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국내 방송채널 ‘엠넷’이 미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그래미 어워즈’를 생중계하면서 팝스타 레이디 가가의 수상 소감에서 성소수자 지지 표현을 한국어로 통역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레이디 가가는 지난 2일(미국 현지시간) 그래미 시상식에서 다른 팝스타 브루노 마스와 함께 최우수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레이디 가가는 소감에서 “오늘 밤 이 말을 하고 싶다. 트랜스젠더들은 투명인간이 아니다. 그들은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며 “퀴어 커뮤니티도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 음악은 사랑이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남성과 여성 두 성별만을 인정하겠다고 한 데 대한 비판으로 해석됐다. 레이디 가가의 발언에 동료 가수들을 비롯해 객석의 관중은 기립박수를 보냈다.

이 시상식을 국내에 독점 생중계한 엠넷은 이 발언을 온전히 통역하지 않았다. 동시통역자는 방송에서 “다양성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포용하고 음악의 가치를 말한 것 같습니다”라고만 전달했다.

시청자들은 성소수자를 다루지 않는 국내 대중매체의 문제가 반복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해설이 왜 이러냐. 국내 방송국들은 아직도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라거나 “이런 중요한 이야기를 띄엄띄엄 통역하는 중계가 답답하다”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동시통역이 미흡했다면 이후 해설에서도 레이디 가가 발언 취지를 전할 수 있었을텐데 엠넷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는 성소수자를 가시화하지 않으려는 한국 미디어의 고질적 폐습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호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활동가는 “예전부터 해외 시상식에서 시상자나 수상자들이 성소수자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뭉뚱그려 통역하던 일의 연장선상”이라며 “이번 발언은 트럼프가 두 개 성별만 인정한다고 하는 등 반동적 시도가 있는 상황에서 나온 목소리”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만큼 (해설진이) 공적 목소리를 정확하게 통역하고 이러한 지지 발언이 어떤 의미인지 풍부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국내 방송드라마·무대 등에서 이른바 ‘성소수자 지우기’가 반복됐다. SBS는 2021년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방영하며 동성 간 키스 장면을 편집했다. SBS는 “15세 이상 시청가를 고려해 편집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프레디 머큐리의 성소수자로서의 존재성을 지웠다는 비판을 받았다.

서울시는 2021년 연말 보신각 온라인 타종식 무대 방송을 송출하며 성소수자를 언급한 가사를 삭제해 지적받았다. 당시 댄스팀 라치카는 성소수자와 연대하는 메시지를 담은 레이디 가가의 ‘본 디스 웨이’에 맞춰 춤을 췄다. 이때 ‘동성애자, 이성애자, 양성애자든 상관없어’ ‘레즈비언, 트랜스젠더의 삶도 난 맞는 길로 가고 있어’ 등의 가사가 삭제됐다.

SBS는 왜 동성 간 키스신을 삭제했을까SBS가 설 특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동성 간 키스 장면을 편집해, 성소수자로서 프레디 머큐리의 삶을 조명한 영화의 본령을 왜곡하고 사회적으로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는 모욕을 가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SBS 측은 “지상파에서 15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하는 설 특선 영화라는 점을 고려한 편집일 뿐 다른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SBS는 지난...https://www.khan.co.kr/article/202102142041015

서울시 타종행사 공연 중 ‘성소수자 가사’만 삭제 논란새해를 앞둔 지난달 31일 서울시가 주최한 ‘보신각, 제야의 종’ 온라인 타종식 축하 무대에서 성소수자를 언급한 가사 내용이 삭제돼 논란이 일고 있다. 공연은 오후 11시40분부터 서울시 유튜브·페이스북은 물론 tbs교통방송, 지상파·케이블 방송사를 통해 송출됐다. 두 번째 순서로 소개된 댄스팀 라치카(사진)는 팝 스타 레이디 가가의 대표곡 ‘본 디스...https://www.khan.co.kr/article/20220103211502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98 [속보] 尹 “호수 위 달 그림자 쫓는 느낌…일어나지 않은 일 물어” 랭크뉴스 2025.02.04
46997 전한길 유튜브 '폭탄 테러' 댓글 작성자 자수‥"장난으로 올렸다" 랭크뉴스 2025.02.04
46996 尹 "호수 위 달그림자 쫓는 느낌…실제 일어나지 않은 일 물어" 랭크뉴스 2025.02.04
46995 尹 '옥중 정치' 비판에 "접견 거의 안 할 것"... 與 눈치보기는 여전 랭크뉴스 2025.02.04
46994 “관세 좀 낮춰주세요” 재계 사절단 미국 방문 랭크뉴스 2025.02.04
46993 곽종근 “의원 말고 빼낼 ‘요원’ 없었다, 경고용이란 말 못 들어” 랭크뉴스 2025.02.04
46992 [속보] 윤 대통령 "계엄 당시 군 열 몇 명 정도가 국회에 겨우 진입" 랭크뉴스 2025.02.04
46991 ‘부정선거 의혹’ 장동혁 논스톱 8분 질의에 김용빈 한 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6990 "채 해병 죽인 사람 당신 아니야!" "싸가지? 선 넘네?" 국조특위에서 맞붙은 두 의원 [엠빅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6989 한동훈, 보수 원로에 이어 유인태 만나 "12·3 계엄 때 대통령 말 바꿔‥내가 경솔했다" 랭크뉴스 2025.02.04
46988 [속보]윤석열 “호수 위에 떠있는 달그림자 쫓는 느낌”…내란 행위 실체 없다 주장 랭크뉴스 2025.02.04
46987 곽종근 前특전사령관 “의원 아닌 요원? 빼낼 요원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04
46986 [속보] 이진우 "비상계엄 적법하다고 생각" 랭크뉴스 2025.02.04
46985 尹측 "이념·소신 버리고 양심 따라 판단하라" 헌재에 당부 랭크뉴스 2025.02.04
46984 ‘내란 피의자’ 윤석열, 법원에 ‘구속 취소’ 청구 랭크뉴스 2025.02.04
46983 무속인 비단 아씨 “김용현 생년월일 가져온 노상원” [영상] 랭크뉴스 2025.02.04
46982 오프라인까지 번지는 극우 ‘좌표 찍기’···일자리 찾아와 “탄핵 찬성 누구냐” 랭크뉴스 2025.02.04
46981 [비즈톡톡] 日선 생중계로 ‘딥 리서치’ 발표, 韓선 비공개 행사… 샘 올트먼의 노림수? 의도된 차별? 랭크뉴스 2025.02.04
46980 낙동강 주민 코에 ‘녹조 독소’…환경부 민관 합동조사 하겠다지만 랭크뉴스 2025.02.04
46979 미, 대중 추가관세 10% 공식 발효…中, 원유·LNG 등에 맞불 관세 랭크뉴스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