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일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마치고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일 조기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해 “전혀 검토하거나 생각한 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최근 여론조사에서 자신의 지지율이 상승세인 것과 관련해서 “국민들이 답답하니 그렇게 응답을 하는 것 같다”고 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고 있고 대통령에 대한 계엄 수사도 계속하고 있다. 현재는 조기 대선 요인의 가능성을 단정할 수 없다”며 이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민이 답답하니까 그렇게 응답하는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제가 한 게 아무것도 없다. 기자간담회를 한 것도 아니고 기고문을 쓴 것도 없고 발언한 것도 고용노동부 장관으로서 통상의 일을 한 것 외에는 없지 않냐”라고 말했다.
최근 김 장관은 차기 지도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이어 2위를 기록한 결과가 잇달아 나오면서 여권의 잠룡으로 거론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돼야 하는지 묻는 말에는 “당연히 그렇게 생각한다”며 “우리나라 대통령이 계속 다 탄핵되고 불행한 역사를 계속 겪어 나가는 것은 국민 누구도 원하지 않을 거라 본다”고 답했다.
탄핵소추안이 인용되면 대선 출마를 선언할 수도 있는지를 묻자 “지금 그런 말을 하면 대통령과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제 자신의 양심에도 맞지 않는 그런 발언이 된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을 면회하러 가는 여당 의원들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면회하는 것이 내란 동조가 되느냐”며 “우리 대통령은 아직까지 1심 판결도 안 하지 않나. 기소만 됐다 뿐이지 유죄로 추정해 면회도 가지 않아야 된다는 이런 이야기는 너무나 비인간적이고 가혹한 말씀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김 장관은 지난달 11일 열린 ‘12·3 비상계엄 사태’ 국회 긴급 현안 질문 당시 서영교 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사과 요구를 유일하게 거부한 국무위원이다. 그는 이에 대해 “국무총리를 발언대로 모셔다가 질의하는 건 국회의원의 권리”라면서 “국무위원 전원이 일어서 무조건 사과하라고 절을 강요하는 건 국회의원의 권한을 넘는, 금도를 넘는 직권남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