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TV 방송 화면 캡처


30~34세 미혼율이 최근 20년 새 3배 이상 뛴 것으로 조사됐다. MZ세대 사이에서는 아이만 안 낳는 것이 아니라 결혼도 안 하는 것이 뉴노멀이 됐다.

통계청이 27일 내놓은 ‘KOSTAT 통계 플러스 여름호’에 수록된 ‘우리나라 청년의 모습은 어떻게 변했을까’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결혼 적령기인 30~34세 미혼율은 56.3%다. 이 지표는 2000년 18.7%였는데 20년 만에 약 3배나 높아진 것이다. 청년(19~34세) 전체로 놓고 보면 남성 미혼율은 같은 기간 62.4%에서 86.1%로, 여성은 47.2%에서 76.8%로 껑충 뛰었다.

이처럼 저출산에 비혼이 이어지면서 현재 추세대로라면 오는 2050년 청년 인구 비중은 11%(521만명)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기준 청년 인구 비중은 이미 20.4%(1021만명)까지 하락한 상황이다. 베이비붐 세대(1946~1965년생)가 청년이었던 1990년 이 비중은 31.9%(1385만명)였는데 30년 뒤 3분의 2로, 60년 뒤에는 3분의 1로 급감하는 모습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저출산 영향으로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청년 세대 인구 비중이 대폭 감소했다. 이런 현상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청년 인구 비중은 향후 더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5년 이후 청년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에 진학하며 수도권으로 거처를 옮긴 뒤 취업과 결혼을 하며 정착한 것으로 풀이된다. 2020년 기준 중부권(83.1%)과 영남권(75.9%), 호남권(74.5%) 청년의 수도권 이주 비율이 높다. 1인 가구 비율은 20.1%로 20년 전(6.6%)에 비해 3배 이상 높아졌다. 청년 세대의 절반 이상(55.3%)은 부모와 동거하고 있다.

경제 활동 비율을 보면 청년 남성은 2000년 66%에서 2020년 63.9%로 2.1% 포인트 하락했다. 여성은 같은 기간 42.3%에서 61.1%로 18.8% 포인트 상승했다. 대학 이상 졸업자 비중을 봐도 양상은 비슷하다. 2000년 남성의 32.4%, 여성의 32.8%가 대졸 이상이었는데 2020년 현재는 남성 47.8%, 여성 58.4%로 여성 비중이 더 많이 늘었다. 성별 전체로는 2020년 기준 청년의 53%가 대졸 이상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