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학원에서 초4 학생에게 얼굴을 긁힌 초2 아이의 얼굴.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초등학교 2학년 자녀가 학원 수업 도중 2살 많은 4학년 학생에게 연필로 얼굴을 긁혔다는 학부모 제보가 전해졌다.

피해 학생의 학부모 A씨는 지난 24일 밤 대전·세종지역 맘카페에 ‘학폭 관련 상담 조언 부탁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학원 수업 중 초등학교 4학년 형이 2학년 아이의 (얼굴을) 왼쪽 턱부터 이마까지 연필로 그어놨다”고 토로했다.

A씨가 첨부한 아이 얼굴 사진에는 이마 정중앙부터 오른쪽 눈과 볼을 지나 턱 밑까지 긁힌 상처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특히 상처가 눈 부위를 지난 것으로 보아 자칫 눈을 다칠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다.

A씨는 “처음엔 (아이가) 눈도 못 뜬다 했었다”면서 “아이의 얼굴이 이렇게 된 걸 보니 가슴이 무너지고 분통이 터진다. 어떻게 저렇게 긴 상처를 얼굴에 내놓을 수 있는지. 행여나 눈이라도 깊게 찔렸으면 어쩔 뻔했는지”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같은 학교 학생이 아니고, 학교가 아닌 학원에서 벌어진 사건이지만 학폭 상담 결과 학폭이 성립된다고 하더라”면서 “직장에 있던 중 연락받고 (아이와) 여기저기 병원 다니느라 경황이 없어 가해 학생 학부모와는 많은 얘기를 나누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어 “(가해자가) 아무리 아이라지만 상대편 학부모 측과 학원 쪽에서 대응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학폭 신고나 민사 소송도 하고 싶은 심정”이라며 “어떻게 진행하는 게 현명할지 조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댓글에는 상처가 심각하다며 놀라는 반응이 줄을 이었다. “아이가 얼마나 놀랐겠나. 얼굴에 흉 없이 낫고 마음의 상처도 잘 회복되길 바란다” “어떻게 초등학교 4학년이 자기보다 어린 아이한테 저런 짓을 할 수 있나” “사진만 봐도 화가 나는데 부모 입장이면 더할 것 같다” 등의 글이 줄줄이 달렸다.

강경하게 대응하라는 조언도 이어졌다. “가해 학생 학교 교장실로 직접 전화하시라. 부모끼리 대화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 “가해 학생 호되게 처벌받았으면 좋겠다” “학원 측에도 큰 책임이 있다. 할 수 있는 조치를 다 하시라” “경찰에 꼭 신고하시고 주변 아이들 진술서와 병원 진단서도 제출하시라” 등의 의견이 올랐다.

해당 사건이 언론 보도로 공론화되자 A씨는 26일 추가 글을 올려 “학폭 진행 관련해서 조언 얻고 싶어서 올린 글이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을지 몰랐고 오히려 걱정이 늘었다”면서 “지금도 돌아다닐 때 많은 분들이 ‘얼굴 왜 그러냐’고 한마디씩 걱정해주시고 어린 아이들은 놀라서 쳐다본다. 그 시선을 지켜보는 저도, 감당해야 할 아이도 많이 힘든 상태”라고 털어놨다.

이어 “(가해 학생 측에 어떤 조치를 할지) 아직 아무 결정도 못 내렸지만 일단 저와 아이의 마음을 추스르고 저희 아이에게 최선의 결정이 무엇일지 충분히 논의하고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다들 자기 일처럼 걱정해주시고 위로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학교 밖 폭력’도 학폭 해당

매년 교육부가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400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폭 피해 학생 중 ‘학교 밖 학교폭력’을 겪은 응답자는 2017년 전체의 26.7%에서 2021년 40.6%, 2022년 34.3%까지 늘었다.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폭력 행위를 학교폭력으로 규정한다. 학교 이외의 장소에서 벌어진 폭력도 학폭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학폭 신고는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를 통해 할 수 있으며 학교 홈페이지나 담임교사, 학교 전담 경찰관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학원 측의 관리소홀 책임을 묻기 위해선 학원 측에 민사소송을 해야 한다.

한편 경찰청의 청소년보호활동 플랫폼 ‘유스폴넷’에 따르면 2023년 경찰의 학교 폭력 검거자 수는 1만543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1만4432명 대비 7.0% 증가한 것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다. 검거 인원을 학년별로 나누면 중학생 5005명(32.4%)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기타(학교밖) 4915명(31.8%), 고등학생 3815명(24.7%), 초등학생 1703명(11.0%) 순이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77 주유소 기름값 8주 만에 오름세…당분간 상승 전망 랭크뉴스 2024.06.29
45176 미 유권자 49% "민주당, 바이든 대신 다른 후보 내세워야" 랭크뉴스 2024.06.29
45175 “尹 입장 밝혀라” vs “왜곡 발언 취소”… 김진표 회고록 공방 랭크뉴스 2024.06.29
45174 박세리父 위조 알고있었다…위기의 새만금, 봐주기 의혹까지 [이슈추적] 랭크뉴스 2024.06.29
45173 주말 전국 장맛비…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 ‘폭우’ 주의 랭크뉴스 2024.06.29
45172 “요새 누가 나이키 신어요”… 하루 만에 시총 32조 증발 랭크뉴스 2024.06.29
45171 박찬대 “민심 부글부글…인내심에도 한계가 있다” 랭크뉴스 2024.06.29
45170 日 새 지폐에 '韓 경제침탈' 주역… 최고액 '1만원권'에 등장 [지금 일본에선] 랭크뉴스 2024.06.29
45169 근육량 줄어드니 자꾸 '깜빡깜빡'…이유 있었다 [헬시타임] 랭크뉴스 2024.06.29
45168 [내일날씨] 곳곳 매우 강한 비…오후에 대부분 그치고 더워져 랭크뉴스 2024.06.29
45167 尹,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에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 랭크뉴스 2024.06.29
45166 “김건희가 잘못했다”는 택시기사 폭행한 60대 승객 벌금형 랭크뉴스 2024.06.29
45165 [단독] 김건희 여사 명품선물 접견 의혹 관련자 더 있다 랭크뉴스 2024.06.29
45164 [시승기] 정숙한 스포츠카 느낌의 SUV… 신형 GV70 랭크뉴스 2024.06.29
45163 尹 “오늘은 제2연평해전 승전 기념일… 평화는 말 아닌 힘으로 지키는 것” 랭크뉴스 2024.06.29
45162 “나는 이제 뭘 먹고 살아야 할까”… 16년 만에 ‘iM’으로 사명 변경하는 하이투자證의 고민 랭크뉴스 2024.06.29
45161 울고싶은 새만금…'박세리 부친' 위조사건에 테마파크는 자금난 [이슈추적] 랭크뉴스 2024.06.29
45160 '선크림' 없이 바깥 활동 오래 하면 기억력도 떨어진다고? 랭크뉴스 2024.06.29
45159 [젠더살롱] 가망 없는 세계에 맞선 밀양 할매들의 초고압 희망 전류 랭크뉴스 2024.06.29
45158 “의사 공급 억제로 더 많은 소득…과도한 ‘지대 추구’ 비판받아야” 랭크뉴스 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