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력·인건비 운용 자율성 확대 
책임 강화... 평가 주기 2년으로
기관 간 공동 출입증 도입 추진
"상대적 박탈감 키울라" 우려도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 생태계 역동성 및 지식 유동성 활성화 추진방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운영 자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인건비를 기관 사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게 되고, 기술료로 벌어들인 돈으로 파격 대우를 제공해 국내외 석학을 영입할 수도 있게 된다. 인재 선발과 운영에도 자율성이 커지는데, 그만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평가는 2년에 한 번으로 촘촘해진다.

기술료 수입으로 인건비 증액 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1회 운영위원회를 거쳐 '과학기술계 출연연 기술개발(R&D) 생태계 역동성 및 지식 유동성 활성화 추진 방안'을 확정했다. 지난 1월 출연연 공공기관 지정 해제의 후속조치로, 빠르고 폭넓은 기술환경 변화 속에 출연연이 추격형 체계를 장기 연구와 목표 변경 등 유연성이 용인되는 선도형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출연연 운영의 자율성이 커진다. 우선 기관 역량 안에서 인건비 집행이 유연해진다. 총 인건비 인상률 기준 내에서 연초에 정해진 인건비 집행계획(실행인건비)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증액할 수 있다. 또 기술료 수입을 인건비로 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확보된 인건비는 인재 영입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비공모 특별채용을 허용한다. 이때 영입된 인재의 임기는 3년 이내로, 연장할 수 있으나 업무 실적이 저조하면 면직이 가능하다.

인력 운용에도 속도가 붙는다. 발빠른 충원을 위해 자체 정원을 운영하고, 자체 심사로 기간제 직원을 뽑을 수 있게 된다. 이 외에 기관장 재량으로 출연금 연구 사업에서 연중 세부 과제 간 예산 조정도 가능해진다.

늘어난 자율성 만큼 책임도 커진다. 현재 출연연은 기관장(주기 3년)과 연구사업(6년) 평가를 받고 있는데, 2026년부터 이를 합쳐 2년마다 통합 점검을 실시한다. 우수 기관은 다음 점검을 유예해 점검 주기가 최대 4년이 될 수 있다. 기관별 임무에 맞는 장기·고난도 연구, 기관 내외 협력 수행 등을 절대평가 체계로 운영하며, 국내외 석학의 동료평가도 반영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실(NSTL) 도입 개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출연연 간 협력을 강화해 국가적 임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과학기술연구실(NSTL)을 도입한다. 산업계나 학계가 이끌기 어려운 국가전략기술 확보나 연구 인프라 운영·지원 등이 목적이며, 분야별 NSTL마다 여러 출연연이 모여 예산·인력을 투입해 공동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올해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에서 선발된 3개 연구단(이차전지, 유전자·세포치료, 가상원자로)을 NSTL로 지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연구자들 간 소통·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출연연 공동 출입증 도입, 연구자 정기 모임 강화 등도 추진된다.

파격 대우 석학이냐, 젊은 과학자 여럿이냐



현장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섞여 나온다. 한 출연연 직원은 "인건비 운용 자율성이 커지면 처우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기술료 수익이 많은 출연연이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나 인건비 인상률을 여전히 정부가 쥐고 있는데, 실행인건비 운용이 유용해진다고 처우 개선으로 이어지긴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출연연 박사 A씨는 "기술료로 석학을 영입하면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지 않겠나"라며 "그 돈으로 젊은 과학자를 여럿 영입하자는 논쟁이 있을 수 있다"고 걱정했다.

연구원들이 평가에 매몰될 거란 의견도 있다. 출연연 박사 B씨는 "연구는 오랜 시간이 필요한데 2년마다 평가를 하겠다는 것은 실패를 두려워하는 연구자를 만들고, 좋은 연구가 나올 수 없게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체 예산 규모는 앞으로 늘려나갈 것이고, 이번에는 자유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2년마다 옥죄는 방식으로 평가하지 않고, 점검 지표도 현장과 소통해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79 "이란 대선서 개혁성향 유일 후보 페제시키안, 개표초반 선두"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8 [속보]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에 尹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7 주유소 기름값 8주 만에 오름세…당분간 상승 전망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6 미 유권자 49% "민주당, 바이든 대신 다른 후보 내세워야"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5 “尹 입장 밝혀라” vs “왜곡 발언 취소”… 김진표 회고록 공방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4 박세리父 위조 알고있었다…위기의 새만금, 봐주기 의혹까지 [이슈추적]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3 주말 전국 장맛비…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 ‘폭우’ 주의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2 “요새 누가 나이키 신어요”… 하루 만에 시총 32조 증발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1 박찬대 “민심 부글부글…인내심에도 한계가 있다”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70 日 새 지폐에 '韓 경제침탈' 주역… 최고액 '1만원권'에 등장 [지금 일본에선]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9 근육량 줄어드니 자꾸 '깜빡깜빡'…이유 있었다 [헬시타임]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8 [내일날씨] 곳곳 매우 강한 비…오후에 대부분 그치고 더워져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7 尹, 제2연평해전 승전기념일에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6 “김건희가 잘못했다”는 택시기사 폭행한 60대 승객 벌금형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5 [단독] 김건희 여사 명품선물 접견 의혹 관련자 더 있다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4 [시승기] 정숙한 스포츠카 느낌의 SUV… 신형 GV70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3 尹 “오늘은 제2연평해전 승전 기념일… 평화는 말 아닌 힘으로 지키는 것”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2 “나는 이제 뭘 먹고 살아야 할까”… 16년 만에 ‘iM’으로 사명 변경하는 하이투자證의 고민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1 울고싶은 새만금…'박세리 부친' 위조사건에 테마파크는 자금난 [이슈추적] new 랭크뉴스 2024.06.29
45160 '선크림' 없이 바깥 활동 오래 하면 기억력도 떨어진다고? new 랭크뉴스 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