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간 소비·투자 경제 성장 핵심 축
정부, 직간접적 기업 지원 불가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재판부(부장 김시철)가 1조3808억원의 재산분할 판결을 내리면서 노 관장의 아버지인 노태우 전 대통령의 ‘기여’를 언급해 논란이 되고 있다. 대통령의 기업 지원 활동은 국가 경제를 위한 것인데, 딸의 재산이 늘어나는 결과가 됐기 때문이다.

최 회장과 노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재판부는 SK그룹의 성장 배경에 노 전 대통령의 유·무형적 지원이 있었다고 판단하고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도 재산분할 대상이 된다고 판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러신에서 열린 유세에서 마가(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모자를 쓰고 연설하고 있다./연합뉴스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대통령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책, 외교 활동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기업을 지원한다. ‘아메리카 퍼스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등의 구호를 외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해 자국 기업을 보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첨단기술의 주권을 되찾는다는 취지로 미국 최대 반도체 제조업체인 마이크론에 61억4000만달러(약 8조5125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역대 한국 대통령들도 기업 활동을 지원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나 방위산업 분야는 개별 기업이 움직여 수주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이유로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루마니아를 방문해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수주를 지원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141차례의 정상외교를 통해 인프라·방산·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UAE 바라카 원전 3호기./한국전력 제공

노태우 정부 때는 거의 모든 자원이 부족해 기업이 은행 대출을 받는 것조차 특혜였다. 노 전 대통령은 제한된 자원을 대기업에 몰아줬다. 노 전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87~1992년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대우그룹으로 매출이 7조원대에서 31조2000억원으로 4.3배 성장했다. 대우에 이어 기아(3.9배), 롯데(2.7배), 현대(2.5배)가 뒤를 이었고 SK는 1.8배 성장해 9위였다.

노 전 대통령은 대기업을 지원하고 정치자금을 받았다고 자서전을 통해 밝혔다. 정치자금을 받은 것은 문제지만, 당시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대기업을 지원해야만 했다.

그래픽=정서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크게 민간과 정부 지출(소비 및 투자)로 나뉘는데, 통상 민간 기여도가 정부 기여도를 웃돈다.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은 1.3%였는데, 민간 기여도가 1.2%포인트(P)였다. 민간 부문이 올해 1분기 GDP 성장을 대부분 이끌었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987년 이후 연간 GDP 성장에서 정부 기여도가 민간 기여도보다 높았던 때는 4차례뿐이었다. 2000년대 이전에는 1998년(민간 -5.1%P·정부 0%P) 한 번이고, 이후로는 지난해까지 2009년(민간 -1.3%P·정부 2.2%P), 2019년(민간 0.8%P·정부 1.5%P), 2020년(민간 -1.8%P·정부 1%P)이 전부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와 기업은 어느 한쪽이 특혜를 주는 게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라며 “기업은 정부의 보호가 필요하고 정부는 기업의 역동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95 “취준생들 난리났다”...현대차 ‘킹산직’, 채용 규모 파격 확대 랭크뉴스 2024.06.28
44994 “허심탄회하게 만나자” 전공의에 손내민 의협…단일대오 뭉치나 랭크뉴스 2024.06.28
44993 뒤따라 오다 ‘쾅’…고의 사고로 보험금 4억 가로채 랭크뉴스 2024.06.28
44992 국민의힘 39% 민주 28.3%…지지율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 랭크뉴스 2024.06.28
44991 대통령 독대 당일 박홍근 메모‥"윤석열, '좌파 언론이 사람 몰리게 방송" 랭크뉴스 2024.06.28
44990 ‘비정상 비행’ 뒤 산산조각…군, 북 미사일 폭발 장면 공개 랭크뉴스 2024.06.28
44989 아이 낳으면 진짜 1억 주는 '이 회사'...2030 지원자 폭증 랭크뉴스 2024.06.28
44988 [단독] 한방을 양방 치료로 속여 불법 보험금 타낸 환자 170명 송치 랭크뉴스 2024.06.28
44987 내일 중부도 장마 시작…수도권 최대 120mm 예보 랭크뉴스 2024.06.28
44986 이번엔 인도서 박항서 매직?…대표팀 감독 지원, 현지선 호평 랭크뉴스 2024.06.28
44985 이재명, 이르면 10월 첫 선고…공직선거법 사건 9월 6일 결심(종합) 랭크뉴스 2024.06.28
44984 “대통령 자격 없어”…‘윤, 이태원 참사 조작설’에 야당 총공세 랭크뉴스 2024.06.28
44983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유무죄 판단 10월 나온다···9월6일 결심공판 랭크뉴스 2024.06.28
44982 "터키 열기구 안 부럽네"…130m 하늘 위에서 한강 내려다보는 '서울달' 타볼까 랭크뉴스 2024.06.28
44981 청년층 매서운 고용 한파에…통신판매업과 '이곳' 창업 몰렸다 랭크뉴스 2024.06.28
44980 이혼 7년 만에…정가은 "전남편 '132억 사기' 연루? 난 결백" 랭크뉴스 2024.06.28
44979 흑인 아동 5명 입양해 노예처럼 부린 백인 부부…법원이 작심하며 한 말 랭크뉴스 2024.06.28
44978 野, 노란봉투법 법안 소위 회부…與 “대통령에 거부권 행사 건의할 것” 랭크뉴스 2024.06.28
44977 이재명 선거법 재판 9월 결심...10월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4.06.28
44976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9월 6일 결심…10월께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