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법무부 "불법체류 문제로 태국인 K-ETA 한시면제 신중해야"
문체부 "K-ETA로 태국서 반한감정 확산"…K-ETA 한시면제 관광객 유입효과 연구용역


'예스!, 코리아트래블' 현장
(서울=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공사와 한국관광공사가 8~10일 태국 방콕의 대형 쇼핑몰 센트럴월드에서 '예스! 코리아트래블'라는 이름으로 한국 문화와 관광지를 알리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태국 최대 명절인 4월 송끄란 연휴를 앞두고 방한 붐을 조성하기 위해 준비됐다. 사진은 '예스!, 코리아트래블' 현장 모습. 2024.3.10 [한국관광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차민지 기자 = 법무부가 태국 관광객 유입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요청한 '태국인 전자여행허가(K-ETA) 한시 면제' 조치는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을 25일 밝혔다.

지난 2021년 9월 도입된 K-ETA는 112개 무사증(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국적자가 우리나라 입국을 위해 현지 출발 전 홈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고 입국을 허가받는 제도로 태국에서 지난해부터 엄격한 심사로 입국 거절 사례가 잇따르자 반한 감정의 불씨가 됐다.

법무부는 태국 관광객 K-ETA 한시 면제 요청에 대한 입장을 묻는 연합뉴스 질의에 대한 회신에서 "K-ETA는 비자 정책만으로는 출입국 관리와 불법 체류 방지에 한계가 있어 시행하는 제도로 불법 체류율이 높은 국가의 K-ETA 한시 면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족·단체여행객 중 일부 인원에 대한 K-ETA 승인 거절로 전체 방한 수요가 유실됐다는 내용의 사례는 K-ETA 시행 초기 사례로 현재는 매우 안정된 상황이며 방한 수요를 저해할 수준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ETA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운영하는 제도로 이스라엘은 오는 8월부터 시행하고 유럽 30개국은 내년 상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일본도 도입을 공식화하는 등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법무부는 "2월 개최된 제6차 한·태국 영사국장 회의 등에서 태국 정부는 우리나라 ETA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K-ETA 기준을 높여서라도 K-ETA 심사를 더 엄격히 해달라고 우리 정부에 요청했다"며 "태국 정부도 우리와 같은 ETA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부연했다.

법무부가 K-ETA 한시 면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것은 태국이 국내 불법 체류자 1위 국가이고 불법 체류자들이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로 유입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태국인 불법 체류자 수는 2015년 5만2천명대에서 지난해 9월 15만7천명으로 증가했고 총체류자의 78%가 불법 체류 상태로 여러 국가 중 압도적인 1위다.

일본·대만·홍콩·싱가포르 등 22개국은 올해 말까지 K-ETA가 한시 면제됐지만 태국은 대상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법무부 청사
법무부 청사 [법무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K-ETA로 인해 태국에서 한국 여행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어 국내 방한관광에는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짤른 왕아나논 태국여행사협회(TTAA) 회장은 "한국 여행 거부 운동이 일어나기 전 한국은 태국에서 3대 인기 여행지 중 하나였지만 그런 시절은 끝났다"며 "한국이 태국 관광객들의 신뢰를 되찾는 데 최소 1∼2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1∼4월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11만9천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1.1% 줄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외국인 관광객이 86.9% 급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태국 관광객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는 동남아 국가 중 1위였으나 올해 베트남과 필리핀에 밀려 3위에 머물렀다.

문체부 관계자는 "방한 관광 10대 시장이 회복돼 중국과 일본은 코로나19 대비 70∼80% 수준이고 다른 국가들은 100%를 넘긴 곳도 있는데 태국만 58%에 그쳤다"며 "K-ETA로 인한 반한감정 말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는 K-ETA로 타격을 받는 정도가 아니라 태국에서 반한 감정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라며 "이에 따라 국가 이미지에도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오는 9월까지 K-ETA 한시 면제의 운영 성과와 주요국 관광객 유입 효과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문체부는 올해 말까지 한시 면제되는 국가들에 대한 조치를 연장하는 것과 면제 대상 국가를 추가했을 경우 등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0 ‘만취’ 포르쉐가 경차와 충돌…18살 스파크 운전자 숨져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9 한동훈 “대통령 그런 말 하셨을거라고 안믿어”…박홍근 “생생히 전해들어”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8 [영상] 인도 뉴델리공항 천장 무너져 1명 사망…항공기 운항 지연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7 재신임 추경호, 짧은 공백에도 의원들 '상임위 배정' 불만 고조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6 법무부 "'재의요구권'이 있을 뿐‥'거부권'이란 용어는 없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5 바이든·트럼프 존중없는 난타전...언론들은 실시간 ‘팩트체크’(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4 일본산 수입식품에서 세슘 미량 검출‥수입 자진취하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3 윤 대통령, ‘이임재 음모론’도 믿었나···박홍근 “용산경찰서장 관련 대화도 있어”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2 이재명 당대표 연임 찬반 팽팽…반대 46.4% 찬성 42.1% [에이스리서치]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1 부산, 광역시 첫 '소멸위험지역'…전남 소멸위험 가장 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90 "샤워하고 나왔더니 4명이 마당에"… 한혜진, 별장 무단침입 피해에 울타리 설치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9 "'23명 사망' 아리셀, 5년간 안전점검 한 번도 안 받았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8 술 안 판다는 주인 "찔러 죽인다" 협박한 남성… 알고 보니 전과 8범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7 "오빠 갔다 올게"...휴가 중 참전 황정갑 하사 73년 만에 가족품으로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6 민주당, 전대 권리당원 표 비율 확대‥이재명 단독 출마시 경선 규칙 '미정'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5 “거짓말입니다”…미국 언론 바이든·트럼프 발언 실시간 ‘팩트체크’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4 '탄핵 위기' 방통위원장의 '기습'...MBC 이사 공모 시작에 "도둑 심의" 민주당 반발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3 "경비원 100명 해고 정당"…압구정 현대아파트 손 들어준 대법, 왜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2 법무부 "대통령 '재의요구권' 있을 뿐…거부권이란 용어는 없어" new 랭크뉴스 2024.06.28
44881 믿었던 기재부 대선배인데… JKL, 우리금융 돌연 변심에 복잡해진 셈법 new 랭크뉴스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