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실이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창구인 '국민제안'의 성과를 홍보하면서, 명칭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제기됐던 '김건희법'을 직접 거론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어제 보도자료를 내고 "온라인 소통 창구인 '국민제안'이 개설 2주년을 맞았고, 전 정부 국민청원 답변율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인 94.6%의 답변과 조치가 이뤄졌다"며 어린이 보호구역 등 속도제한 탄력적 운영, 한부모 가족 자녀 지원 등 정책 과제로 이어진 사례들을 열거했습니다.

대통령실은 그러면서 마지막에 "매년 2천여 통 이상 대통령에게 오던 편지들이 더 이상 오지 않아 역설적으로 주목받은 사례도 있다"며 '김건희법'을 우수 사례로 언급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세계 각국의 외국인들이 개 도살과 식용을 금지해달라는 편지를 윤 대통령에게 꾸준히 보내왔다"며 "그런데 올해 2월 별칭 김건희법으로 불리는 개식용 금지 특별법이 제정된 뒤 관련 편지들이 한 통도 오지 않고 있어 국가 이미지에도 긍정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실이 공식 홍보 자료에서 '별칭 김건희법'이라는 표현을 쓰며 김 여사의 주도를 강조한 겁니다.

동물보호 단체들의 문제제기를 토대로 여야 의원들이 앞다퉈 발의하고 법안도 여야 합의로 처리된 이 법을 두고 '김건희법'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건 지난해 8월 24일.

당시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개 식용 종식을 위한 초당적 의원모임을 발족하면서 "동물단체 사이에서 ‘김건희 법'으로 불린다는 이야기가 들릴 정도"라고 주장한 겁니다.

그러나 동물관련 단체들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고 여당 내에서도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법률에다 대통령 부인의 이름을 붙이는 건 과문한 탓인지 본 적이 없다"며 "대통령을 신적 존재로 천재적 아부를 하던 자들이 이제는 대통령 부인에게까지 천재적 아부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90 우의장 "4년 중임제 개헌, 지금이 적기…尹대통령 결단이 중요" 랭크뉴스 2024.06.24
2189 "이 시국에"…138만 유튜버 '군인 조롱' 논란에 사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6.24
2188 ‘오물풍선’ 속에 함께 담겨온 북한의 민낯 랭크뉴스 2024.06.24
2187 음주 뺑소니에 쓰러진 체육교사의 꿈…20대, 5명에게 생명 나눠 랭크뉴스 2024.06.24
2186 "센강에 똥 싸자"…파리올림픽 앞두고 좌절·분노의 캠페인 랭크뉴스 2024.06.24
» »»»»» "김건희법으로 국가 이미지 긍정" 낯간지런 홍보에 유승민 소환 랭크뉴스 2024.06.24
2184 [속보] 화재 진압 힘든 리튬전지 공장서 불…1명 사망·19명 고립 랭크뉴스 2024.06.24
2183 화성 일차전지 공장 화재...“내부에 19명 고립된 것으로 추정” 랭크뉴스 2024.06.24
2182 "특검 좋아 빠르게 가! 8명쯤은 설득하겠지" 압박 들어간 이준석 랭크뉴스 2024.06.24
2181 “신동빈, 회장서 물러나야”...주총 앞두고 다시 복귀 노리는 신동주 랭크뉴스 2024.06.24
2180 175원으로 1㎞ 내 드론 여러대 동시 격추…영국 국방부 공개 랭크뉴스 2024.06.24
2179 [팩트체크] 치솟는 밥상 물가에 한은 vs 농식품부 설전… 누구 말이 맞나 랭크뉴스 2024.06.24
2178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 9명 사상…정부, 중대본 가동 랭크뉴스 2024.06.24
2177 여중생과 성관계 대학생, 1심서 징역 4년 선고 랭크뉴스 2024.06.24
2176 지인이 몰래 차 몰다 사고…대법 “차주인도 일부 책임” 랭크뉴스 2024.06.24
2175 ‘집단휴진’ 서울대병원 의사 수사 착수…리베이트 119명 입건 랭크뉴스 2024.06.24
2174 화성 일차전지 제조공장서 큰 불, 1명 사망·6명 중경상·19명 고립 추정 랭크뉴스 2024.06.24
2173 [법조 인사이드] ‘최태원-노소영 이혼 판결’ 이후 판사들 사이에 인기 높아진 가정법원 랭크뉴스 2024.06.24
2172 경기 화성 리튬 전지 제조공장서 화재…현재 사상자 4명 랭크뉴스 2024.06.24
2171 “난 호텔에 살아”…공공요금 상승에 日서 인기 끄는 ‘호텔 구독 서비스’ 랭크뉴스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