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크리스티 경매에 나온 에르메스 히말라야 버킨백. EPA=연합뉴스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인 ‘버킨백’이 중고시장에서 매장가의 2~3배에 팔리는 것에 대해 기존 경제학 상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이상한 현상’이라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세계에서 가장 탐나는 핸드백의 미친 경제학(The crazy Economics of the world’s most coveted handbag)’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에르메스 버킨백이 ‘이상한’ 경제 법칙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일반적인 권력관계까지 뒤집어 놓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버킨백의 기본모델인 검은색 ‘버킨 25’ 백의 매장 가격은 세전 1만1400달러(약 1600만원)지만, 구매자는 이 백을 구입하자마자 곧바로 2배가 넘는 2만3000달러(약 3200만원)에 리셀러 업체에 넘길 수 있다.

프리베포터 등 주요 리셀러 업체는 가방을 매입하자마자 거의 곧바로 소셜미디어(SNS)나 라스베이거스의 팝업 매장을 통해 3만2000달러(약 4500만원)에 판매한다.

이에 WSJ는 해당 버킨백의 제조 원가는 1000달러(약 140만원)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마진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희소한 버킨백을 손에 넣고 싶어하는 부유층이 워낙 많은 탓에 돈 많은 고객이라 할지라도 매장에서 버킨백을 손에 넣기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다.

기다리는 것을 좀처럼 인내하지 못하는 초부유층 고객들도 에르메스 매장에서만큼은 오랜 기간 대기하는 것을 감내한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버킨백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일단 매장의 판매 직원과 좋은 관계를 쌓아야 한다고 한다. 수많은 대기자 명단 중 누구에게 버킨백을 판매할지를 일차적으로 담당 점원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에르메스 매장에선 상대에게 먼저 깍듯한 인사를 건네는 것은 직원이 아닌 고객이라고 WSJ은 전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손꼽힐 만한 갑부 고객이 직원과 친해지기 위해 집에서 직접 구운 쿠키를 가져오기도 했다고 한다. 일부 고객은 버킨백을 손에 넣기 위해 값비싼 비욘세 콘서트 티켓이나 호화 여행 상품권을 주거나 아예 현금 봉투를 건네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담당 점원과 좋은 관계를 쌓은 뒤에는 에르메스 매장에서 구매 이력을 쌓아야 한다. 실크 스카프, 시계 등 버킨백이 아닌 다른 에르메스 제품에 큰돈을 지출해야 비로소 버킨백을 구매할 ‘자격’을 갖췄다고 직원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명품가방 리셀러 업체 ‘매디슨 애비뉴 쿠튀르’의 주디 테일러 창업자는 버킨백을 정식 판매장에서 빨리 구매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에르메스에서 판매하는 값비싼 보석이나 가구 등에 막대한 돈을 지출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버킨백이 프랑스 본사에서 개별 매장에 도착하면 매니저는 개별 판매 직원에게 가방을 배정하고, 각 직원은 저마다 관리하는 대기고객 명단 중 ‘구매 자격’을 갖춘 고객을 선별해 매니저의 판매 승인을 받는다고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 비버리힐즈의 에르메스 매장. EPA=연합뉴스

구매자는 한 해 버킨백을 2개까지만 살 수 있는데 지난해 미국 마이애미 에르메스 점포의 한 직원은 한 고객에게 그보다 많은 버킨백을 판매했다가 해고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일부 구매자는 버킨백의 경우 ‘색상 선택권’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에 드는 색상을 구매하기 위해 리셀러 마켓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때로는 구매자가 원치 않는 제품을 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 구매자는 8만7500달러(약 1억2200만원)짜리 에르메스 카누를 산 뒤 버킨백 희귀 모델을 구입할 수 있었다고 한다.

미 캘리포니아의 소비자 2명은 지난 3월 에르메스의 이 같은 판매 방식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한 끼워팔기에 해당한다며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사람들이 버킨백을 바라는 이유는 높은 가격과 희소성 탓에 부의 상징이 됐기 때문이다. SNS에서는 연예인이나 유명 인사들이 버킨백을 들고 있는 장면의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도한 이목 끌기로 미국 대중의 입방아에 자주 오르내리는 유명 인플루언서 킴 카다시안의 경우 다양한 버킨백을 수집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버킨백을 든 모습이 자주 촬영되는 인사 중 하나다.

WSJ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지위를 상징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평가했다.

에르메스는 버킨백이 리셀러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것을 막고자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버킨백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쉽게 선택할 수도 없다. 이에 대해 WSJ은 “버킨백 생산량 증가는 리셀러들이 되팔기에 나설 유인을 없애겠지만, 동시에 버킨백의 가진 신비로움도 파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84 [단독] 초등 여학생 앞 '음란행위' 뒤 도망친 남성‥경찰 추적 중 랭크뉴스 2024.06.24
2283 “또 중국인 관광객?”…‘컵라면 산’ 쌓인 제주 편의점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6.24
2282 지붕 뚫고 날아온 ‘우주쓰레기’, 나사에 1억 소송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6.24
2281 [단독] “조국 아들 인턴” 허위 발언 최강욱, ‘벌금 80만원’ 불복 상고 랭크뉴스 2024.06.24
2280 ‘주춤해진 성장세’...위기 극복 외치는 2024 CEO ‘경영 키워드’[2024 100대 CEO] 랭크뉴스 2024.06.24
2279 윤 대통령 지지율 32.1%…11주 연속 30% 초반대[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6.24
2278 尹지지율 32.1%…국힘 36.2% 민주 37.2% 혁신당 10.7%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6.24
» »»»»» 이 가방이 대체 뭐라고…1600만원에 사서 곧장 되팔면 2배 랭크뉴스 2024.06.24
2276 또 軍 사망사고…51사단서 20대 일병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4.06.24
2275 남부지방에 오후 시간당 10~20㎜ 호우…'황사비' 주의 랭크뉴스 2024.06.24
2274 살인더위에 '성지순례' 사망자 1,300명 넘었다…83% 사우디 미허가자 랭크뉴스 2024.06.24
2273 여당 당권주자들 '채상병 특검' 이견‥한동훈 '특검 찬성'에 3인 맹폭 랭크뉴스 2024.06.24
2272 [벤처하는 의사들] “핵융합 일으키는 플라즈마로 암세포 잡는다” 랭크뉴스 2024.06.24
2271 ‘수리온·KF-21 기밀 판매’ 텔레그램…군·국정원·경찰 합동 수사 랭크뉴스 2024.06.24
2270 "의총서 7개 받을지 결정"‥"안 받으면 18 대 0" 랭크뉴스 2024.06.24
2269 마을 잠기고 사망자 속출해도‥검색하면 '미담'뿐 랭크뉴스 2024.06.24
2268 악성 임대인들 평균 19억 떼먹어‥707억 안 주고 버티기도 랭크뉴스 2024.06.24
2267 '폭염 참사' 사우디 메카 성지순례 사망 1300명 넘어 랭크뉴스 2024.06.24
2266 우크라, 크름반도 미 장거리 미사일로 공격해 민간인 사망 랭크뉴스 2024.06.24
2265 서울 학생 문해·수리력 검사, 올해 2배 이상 확대 실시 랭크뉴스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