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삼성전자, SK, LG 등 재계 총수들이 잇따라 미국 출장길에 오르고 있다. 글로벌 산업 환경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AI 기술력과 인력이 몰린 미국 실리콘밸리를 찾고 있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22일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지난 4월 미국 새너제이 엔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회동한 지 2개월 만에 또다시 미국을 찾는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뉴스1

최 회장은 앞서 지난 6일에는 대만을 찾아 글로벌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의 웨이저자 이사회 의장(회장)과 만나 “인류에 도움되는 AI 시대 초석을 함께 열어가자”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이번 출장에서 실리콘밸리에 있는 주요 빅테크와 AI 메모리 관련 협력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를 비롯해 AMD, 인텔 등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과 만남도 예상된다.

최 회장의 이번 출장에는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주선 SK하이닉스 사장 등 경영진이 동행했다.

SK그룹은 반도체부터 서비스까지 AI 생태계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시스템 구현에 필수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서버 구축에 최적화된 고용량 DDR5 모듈, 엔터프라이즈 SSD(eSSD) 등을 생산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생성형 AI 서비스 ‘에이닷’으로 개인비서 기능을 제공하면서 4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이재용 삼성(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미국 출장을 통해 AI 관련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미래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뉴스1

지난 13일 귀국한 이 회장은 미국 동·서부를 가로지르는 2주간의 출장에서 글로벌 CEO들과 중장기 비전을 공유하고 미래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 11일(현지 시각)에는 미국 서부 팔로 알토에 있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의 자택으로 초청받아 단독 미팅을 했다. 지난 2월 저커버그 CEO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삼성 영빈관인 승지원에서 회동한 지 4개월 만이다.

두 사람은 AI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소프트웨어(SW)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CEO, 앤디 재시 아마존 CEO 등도 만나 AI 반도체 협력 강화를 요청했다.

구광모 LG 대표(오른쪽)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반도체 설계 업체 '텐스토렌트'의 CEO '짐 켈러'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LG 제공

구 회장은 지난 17일부터 나흘간 미국 테네시와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북미 현지 사업과 미래준비 현황을 점거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는 LG 사업장 외에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AI 스타트업을 찾아 AI 분야 최신 기술 동향을 살폈다.

구 회장은 ‘반도체 전설’로 불리는 짐 켈러 텐스토렌트 CEO와 만나 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산업 영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AI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를 찾아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원’의 구동을 살펴보기도 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 2022년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기공식에서 기념 연설을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조만간 미국 출장길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10월 조지아주에 HMGMA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인데, 정 회장이 직접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정 회장은 2022년 10월 HMGMA 기공식에 이어, 작년 9월에도 조지아주를 방문해 직접 현장을 점검한 적이 있다.

재계 관계자는 “오는 9월 미국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기업들이 투자가 늘어나는 등 AI, 반도체 분야의 본격적인 상승 사이클 전환이 예상된다”라며 “AI 캐즘(초기 시장 성장 단계와 대중화 시기 사이 발생하는 정체)을 벗어날 기회인 만큼 AI 생태계 선점을 노린 총수들의 미국 방문이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31 전국 의대 교수 25일 사직서 제출... 찬성률 최대 98% 랭크뉴스 2024.03.16
45630 서울 은평구 ‘20대 여성 사망’…40대 용의자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4.03.16
45629 불법촬영 신고한 지인에 흉기 보복…7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4.03.16
45628 초일류를 꿈꾸던 삼성, 10분으로 정리하는 ‘황금기’ [창+] 랭크뉴스 2024.03.16
45627 [단독] ‘노무현 불량품’ 양문석에 이재명 “문제 안 돼” 일축 랭크뉴스 2024.03.16
45626 금수저는 명품백 대신 문화를 과시한다, ‘야망계급론’[책과 삶] 랭크뉴스 2024.03.16
45625 [속보] 與 ‘막말 논란’ 장예찬 부산 수영구 공천 취소 랭크뉴스 2024.03.16
45624 사회 정의마저 재벌 위세로 구현…‘재벌×형사’가 씁쓸한 이유 랭크뉴스 2024.03.16
45623 이재명 “정봉주, 살점 뜯는 심정…박용진, 2등은 없다” 랭크뉴스 2024.03.16
45622 [속보] 국민의힘, '막말 논란' 장예찬 부산 수영 공천 취소 랭크뉴스 2024.03.16
45621 與, '막말 논란' 장예찬 공천 취소…"국민정서 반하는 발언" 랭크뉴스 2024.03.16
45620 "어머, 여긴 그런말하면 싸워" 충청·호남·토박이 섞인 계양을 [총선 격전지를 가다] 랭크뉴스 2024.03.16
45619 “현주엽 훈련 불참하고 먹방” 의혹에… 드디어 입 열었다 랭크뉴스 2024.03.16
45618 與, ‘막말 논란’ 장예찬 부산 수영구 공천 취소 랭크뉴스 2024.03.16
45617 [속보] 국힘, 장예찬 공천 취소…‘서울시민, 일본인 발톱의 때’ 등 논란 랭크뉴스 2024.03.16
45616 ‘담뱃재와 소독약’ 아드벡의 강력한 풍미…호불호 갈리지만 [ESC] 랭크뉴스 2024.03.16
45615 [속보] 국민의힘 공관위, '막말 논란' 장예찬 공천 취소 의결 랭크뉴스 2024.03.16
45614 [단독] 대한용접협회 “의사들, 용접 우습게 생각하는듯… 쉬운 일 아냐” 랭크뉴스 2024.03.16
45613 이재명, 박용진 공천 승계 불발에 "차점자가 우승자 안돼" 랭크뉴스 2024.03.16
45612 국민의힘, '막말 논란' 장예찬 부산 수영 공천 취소 랭크뉴스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