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토, 3년 연속 윤 대통령 초청... 기시다는 참석
외신,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 가능성에도 주목
안보실장 "푸틴, 뒤에선 '걱정할 일은 아니다' 얘기도"
지난해 7월 11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이 빌뉴스 나토 정상회의장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개별 맞춤형 파트너십 프로그램(ITPP)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빌뉴스=서재훈 기자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에 준하는 조약을 체결하자 윤석열 대통령이 투트랙 대응에 분주하다. 국제사회와 결속하고 대러 메시지 수위를 높이는 '단호한 대처'로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위협에 맞선 내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번 회의는 7월 9,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미국과 서방국가, 아시아태평양 파트너국(AP4·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이 모여 북러 조약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조치를 논의하는 첫 번째 자리다. 나토는 올해에도 AP4 국가들을 초청했다. 다만 윤 대통령 참석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3일 KBS 일요진단에 나와 “(나토 정상회의에서 북·러 문제가) 당연히 다뤄질 것”이라며 “러북 군사협력 문제는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도 있어서 한반도와 동북아 문제 만이 아니라 유럽을 포함한 국제문제가 돼있다”고 지적됐다. 북러 밀착을 우리 정부만 우려하는 게 아니라는 설명이다.

정부는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상징하는 대서양 안보 문제와 북러 조약으로 확인된 인도·태평양 안보 문제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위협이라는 점을 부각시킬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대서양 안보와 인도·태평양 안보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선도적으로 밝힌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나토 정상회의에선 아무래도 북한과 러시아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늘리자는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나토는 정부가 러시아를 압박하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 특히 지난해 체결한 한-나토 11개 분야 맞춤형 파트너십 프로그램(ITPP)을 눈여겨볼 만하다. 11개 분야에는 국군 전력이 나토가 주도하는 훈련에 참여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는 사이버훈련 등에 제한적으로 참여했던 기존 협력을 넘어서는 안보협력으로서, 정부가 이를 통해 러시아를 향한 압박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가 적지 않다.

한미일 공조도 러시아에 맞설 우리의 카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밝히면서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의가 성사될지에 관심이 쏠려있다. 당초 대통령실은 북러 정상회담 전까지는 나토 정상회의 계기 한미일 정상회의에 부정적이었다. 최대한 올해 안에 국내에서 한미일 정상회의를 열겠다고 했지만 북러 밀착이 시점을 앞당기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어떠한 지원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러시아가 극도로 경계하는 살상무기 지원도 마찬가지다.

이처럼 정부는 러시아를 겨냥한 외교수단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면서 동시에 '관리'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러시아와 최악의 상황은 피하자는 것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최근 한국의 '살상무기 지원 불가 방침 재검토' 발언에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장 실장은 “앞에서는 그렇게 이야기하고 뒤에서는 한국이 그렇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하는 얘기도 같이 하고 있다”며 "푸틴이 (북한과 맺은) 조약 내용을 저희한테 설명하는 것도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러관계를 복원·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하라는 말씀을 다시 드리고 싶다"면서 '선을 넘지 말라'고 경고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22 [2보] 5월 생산 0.7%↓…소비·투자까지 10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21 ‘꿈의 비만약’ 위고비, 뇌 신경회로 자극해 포만감 높인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20 흑인 아동 5명 입양한 백인 부부, 창고에 가둔 채 노예처럼 부렸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9 묘 빼앗긴 부친 숨지자, 두 딸 처절한 복수혈전…왕도 감동했다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8 '가족이라고 못 봐줘'… 유류분 이어 친족상도례도 손질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7 아리셀 분향소 앞 "나라 지키다 돌아가셨나"…경찰 "깊이 반성"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6 팔짱 끼고 사과하더니…“망하게 한다고 말한 적 없어” [잇슈 키워드]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5 석탄 49% 캐낸 88살 탄광 문 닫는다…내후년엔 1곳뿐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4 [인터뷰] 나토 수장 "韓 우크라 무기지원 합법…북러와 동일시 시도 틀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3 볼리비아, 쿠데타 시도 관련 17명 체포…“3주 전부터 모의”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2 당대표 후보에 줄서기?‥'러닝메이트' 논란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1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년 9개월 만에 5000건대… 악성 미분양은 ‘여전’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10 마약류 씨앗·장비 해외직구... 대마·양귀비 직접 키우는 '마약 농부' 폭증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9 ‘나스닥 상장’ 김준구 웹툰엔터 “우린 웹툰계의 넷플릭스…지적재산권이 무기”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8 “CG인 줄”…미 축구장 집어삼킨 너비 30미터 싱크홀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7 28일 낮 최고기온 33도 무더위··· 곳곳에 소나기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6 “매물로 거론되는 곳들은 딱히”… SK그룹 구조조정 관망하는 사모펀드들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5 네이버웹툰 나스닥 등판 첫날 10% 급등…기업가치 4조원(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4 美유권자 40% "트럼프가 바이든보다 TV토론 더 잘할 것" new 랭크뉴스 2024.06.28
44703 네이버웹툰, 나스닥 상장 첫날 10% 급등...기업가치 4조 new 랭크뉴스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