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에서 자생하지 않는 관상용 열대어 '구피' 여러 마리가 경기도의 한 주택가 인근 공원 저수지에서 화려한 외형을 뽐내고 있다. 열대어가 서식하는 위치가 알려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사육을 포기한 어류를 방류하러 온다는 지적이 있어 구체적인 취재 장소는 비공개한다.


관상용 열대어 '구피' 여러 마리가 18일 경기도의 한 주택가 인근 공원 저수지에 무리 지어 서식하고 있다. 이 무리도 누군가가 기르다 방류한 몇 개체들이 번식을 거듭해 성장했을 것이다.


교배를 거듭해 상대적으로 발색이 떨어진 구피들 가운데 화려한 꼬리를 지닌 구피 한 마리가 있다. 이 구피는 유기된 지 얼마 안 됐을 가능성이 높다.


새끼손가락만 한 물고기 한 마리가 재빠르게 물살을 가로지르자 그 뒤를 붉은 물결이 뒤따른다. 파랑과 초록을 오가는 수면을 깨뜨리는 것은 이질적이도록 화려한 색의 지느러미 한 줄기다. 흙, 이끼, 부유물처럼 무채색 일색의 세상이기에 더 눈에 띄는 이 작은 생명체들은 원래 국내에서 자생하지 않는 외래종 관상어 ‘구피’다. 대중적인 관상어로 꼽히는 구피는 자연 상태에서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열대어종이지만, 이날 기자가 본 구피는 남미의 하천이 아닌 대한민국 경기도의 한 공원 저수지 수면을 가르고 있었다.

“저 사람들 물고기 찍으러 왔나 보네.”

“저게 다 누가 와서 버리고 간 거 아녀…”

무심히 한 마디씩 던지는 지역 주민들에게는 한반도에서 헤엄치는 열대어 무리보다 카메라 든 취재진이 더 눈에 들어오는 듯했다. 이따금 저수지 주위 산책로를 걷다 열대어 무리를 관찰하는 주민들도 있었지만 공원을 찾은 주민들 대부분에게 ‘버려진 열대어가 바글바글한 풍경’은 이미 일상이었다.

이곳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열대어가 있는 풍경’을 찾을 수 있다. 각 지역 커뮤니티에는 ‘아이와 함께 구피를 잡으러 갈 건데, 000에 지금도 구피가 많이 있냐’는 질문이 주기적으로 올라온다. 주거 지역 인근 접근성이 좋은 도심 하천이나 공원의 인공저수지가 주된 지목 장소다. 기르던 물고기 개체수 조절에 실패하거나 사육을 포기한 개인들이 유기(방류)한 생명체들은 서식하기 좋은 환경에서 번식해 군집을 이루었다.

다양한 색의 구피가 18일 한 공원 내 인공 저수지에서 무리 지어 헤엄치고 있다. 열대어가 발견되는 저수지·하천은 물고기를 쉽게 유기할 수 있는, 주거 지역과 인접한 곳이다. 임은재 인턴기자


공원 저수지의 구피들이 조경용 바위에 낀 이끼 등을 보금자리로 삼아 서식하고 있다.


연중 따뜻한 수온이 유지될 경우 해를 넘겨 열대어들이 살아남기도 하는데, 인근 반도체 공장에서 더운 냉각수가 흘러나와 겨우내 구피 서식이 가능해진 경기도의 한 하천은 ‘구피천’으로 불리며 ‘명소’가 된 지 오래다. 취재진이 현장을 찾은 18일 밤에도 서너 무리의 시민들이 하천에 발을 담그고 열대어를 잡고 있었다.

공원 연못에 화사함을 불어넣어 주고, 농지 옆 하천을 체험활동 지역으로 변모시켜 주는 등 우리 주위에 자리 잡은 열대어는 그저 아름답게만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형형색색의 관상어로 수놓인 수면은 작은 생명과 함께 버려진 도덕의 결과물이다.

구피천 일대 생태를 조사하는 관계자들은 "구피천이 유명해진 이후 유기 빈도가 늘었다"고 언급했다. 가장 유명한 구피천뿐만 아니라 매년 다른 도심 하천·저수지에서 열대어 목격담이 새로 나오는 것은, 누군가 계속해서 키우던 물고기를 버리고 있다는 뜻이다. 일부 수역에서는 구피보다 체급이 크고 덜 대중적인 어종의 영상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파되기도 했다. 취재진 역시 이번 취재를 위해 찾은 공원 저수지를 2년 전에도 찾았는데, 당시에는 보지 못했던 외형의 구피들을 올해는 대량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구피 한 쌍이 18일 서식지인 실개천에서 입을 맞추고 있다. 주위에 우거진 수초 사이사이 다른 구피들이 몸을 숨기고 휴식을 취하고 있다.


구피 한 쌍이 18일 서식지인 공원 저수지에서 입을 맞추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한된 수역에서만 서식이 가능한 특성상 아직까지 열대어에 의한 생태 교란 징조는 없지만, 방류는 지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생명 경시 풍조 확산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복잡한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은 누구도 확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박영준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선임연구원은 “겨울을 버티며 개체수를 늘릴 수 있는 종은 그리 많지 않은데, 그런 종들은 교란 생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면서도 “외래 질병 확산에 대한 위험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끝까지 책임지고) 키울 자신이 없다면 키우면 안 된다”는 인식 확산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키우기 시작했다면 성별 분리 사육 등을 통해 책임질 수 있는 수준의 개체수 관리 역시 필수다. 이미 개체수 조절에 실패했다면 "자연 환경에 풀어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주변 수족관이나 업체 등에 인계해달라"고 당부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18일 한 주거지역 인근 물가에서 촬영된 관상용 열대어 구피가 화려한 색을 뽐내고 있다.


편집자주

시선을 사로잡는 이 광경, '이한호의 시사잡경'이 이번 회차를 끝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더 좋은 사진과 글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023 죽은 호랑이 박제, 불곰 안락사…'충격' 서울동물원 진짜 고민은 랭크뉴스 2024.06.02
39022 "관측 센서 오류났나?" 53도 폭염 인도, 이틀새 40명 숨졌다 랭크뉴스 2024.06.02
39021 '희망 고문' 논란 아파트 사전청약 폐지…MB 때와 달랐던 것[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랭크뉴스 2024.06.02
39020 SK ‘경영권 분쟁’ 불씨 재점화?...노소영 입장 바꿨다 랭크뉴스 2024.06.02
39019 러, 우크라 에너지시설 공습…서방 무기 ‘본토 공격’ 허용에 경고 랭크뉴스 2024.06.02
39018 잊힐 뻔한 2020통의 편지... 14년 묻혔던 한중일 타임캡슐[문지방] 랭크뉴스 2024.06.02
39017 이종섭은 왜 '사단장 휴가·출근' 유독 챙겼나…증폭되는 의문 랭크뉴스 2024.06.02
39016 고3 100명 중 1.3명씩 의대 진학 가능… 강원, 학생수 대비 지역인재 규모 1위 랭크뉴스 2024.06.02
39015 "펑하더니 쓰레기 쏟아져"… 도로·앞마당까지 덮친 북한 '오물 풍선' 랭크뉴스 2024.06.02
39014 "北 오물 풍선 불쾌∙불안…정부 못 막나, 빨리 대책 세워라" 랭크뉴스 2024.06.02
39013 추경호 "국민 살림살이·안전에 문제 생기면 적기 해법 제시" 랭크뉴스 2024.06.02
39012 北 오물 풍선에 자동차 유리 파손… 경찰 “피해보상 규정 없어” 랭크뉴스 2024.06.02
39011 5월 증시…한 달새 360개 종목 신저가 기록 랭크뉴스 2024.06.02
39010 주민들 "北 오물풍선 불쾌∙불안…정부 못 막나, 대책 세워달라" 랭크뉴스 2024.06.02
39009 홍준표 "3억 원 주면 10% 조작 제의…응답률 15% 이하 여론조사 발표 금지해야" 랭크뉴스 2024.06.02
39008 조국 "감옥 가면 스쾃·팔굽혀펴기 하겠다… 내 일은 당이 해줄 것" 랭크뉴스 2024.06.02
39007 북, 오물풍선 720여개 또 살포…한미 국방장관 "정전협정 위반"(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2
39006 이복현 “금투세 유예말고 폐지 후 재검토가 합당” 랭크뉴스 2024.06.02
39005 합참 “북, ‘오물 풍선’ 720개 부양”…1차 때의 2.8배 랭크뉴스 2024.06.02
39004 민주 "국민의힘 시간끌면 법대로 원구성‥18개 상임위 다 가져올 수도"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