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공의 사직 이후 첫 대규모 집회 예고
보건의료 노동자도 “6월안 진료 정상화
이뤄지지 않으면 의사·정부에 전면 투쟁”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환자 단체 회원들이 지난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등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4달 넘게 이어지는 의료 공백에 환자단체들이 거리로 나선다. 이들은 다음달 초 정부·의사단체에 진료 정상화를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와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다음달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촉구 환자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겠다고 21일 밝혔다. 이들은 예상 참여 인원을 1천명으로 추산했다. 지난 2월 전공의 이탈 등으로 의료 공백이 시작된 뒤 환자단체들이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환자단체들은 의대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 등 의사 집단행동이 지속하는 상황을 더는 참지 않고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집회 예정일인 7월4일은 서울아산병원 소속 울산대 의대 교수들이 1주 또는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겠다고 한 날이다. 환자단체들은 집단 휴진 철회를 요구하면서 동시에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해도 응급실·중환자실·분만실 등 필수 분야는 유지하도록 의료법 등을 개정해 달라고 정부와 국회에 촉구하기로 했다. 두 단체는 “국무총리와 간담회를 했고, 국회에도 환자 목소리를 전했지만 달라진 것이 없다”며 “이제 더는 기다릴 수 없어 환자와 환자 가족이 환자 생명을 지키는 행동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공의 집단 사직이 4달을 넘기면서 의료 공백을 우려하는 환자들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23년 전 근위축측삭경화증을 진단받은 김태현 한국루게릭연맹 회장은 이날 “(의사가 환자 진료를 중단한 건) 조직폭력보다 더 심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전공의 사직 이후 ‘아프지 말아야겠다’, ‘병이 악화되면 큰일 나겠다’, ‘치료받을 권리도 없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동시에 정부의 역할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정부가 지금까지 병원들이 전공의 노동력을 착취해 쌓은 돈으로 분원 만드는 일을 방치해 왔다”며 “전공의 처우 개선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환자단체들은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정부에 주문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국외 의사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며 지난 19일 보건복지부에 면담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복지부는 보건의료 재난 위기경보가 지금처럼 가장 높은 ‘심각’ 단계일 때 국외 의사도 의료 행위를 할 수 있게 허용하는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을 지난달 입법 예고했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장은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며 “당장 중증환자를 치료할 의사를 확보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의사를 제외한 보건의료계 노동자들도 진료 정상화를 촉구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이날 “의정 갈등 해소와 전면적인 진료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의사단체는 전향적인 대화에 나서고, 국회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6월까지 진료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의사단체와 정부를 대상으로 전면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69 늙으면 왜, 한밤중에 화장실을 들락거리게 될까? 랭크뉴스 2024.06.22
3068 푸틴은 과거로, 김정은은 미래로 향했다…북러 ‘결정적 순간들’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6.22
3067 [시승기] 대형 SUV ‘3세대 트래버스’… 패밀리카로 든든 랭크뉴스 2024.06.22
3066 검사탄핵 7명 중 5명이 '이재명 방탄'…발끈한 검찰 "초헌법적 일탈" 랭크뉴스 2024.06.22
3065 '뜨거운 팩 방치'…갓 태어난 신생아 화상 입힌 간호사 벌금형 랭크뉴스 2024.06.22
3064 활동가에 “고기 먹느냐” 비아냥까지.. ‘개 식용 논쟁’은 아직 진행 중 랭크뉴스 2024.06.22
3063 돈으로 협박하냐더니...알고 보니 돈 따라 움직이는 머스크의 입 랭크뉴스 2024.06.22
3062 '살인 폭염'에 숨도 못 쉰다‥1천 명 이상 사망 랭크뉴스 2024.06.22
3061 신냉전 구도 격화 속 레드라인 넘나드는 한-러 랭크뉴스 2024.06.22
3060 유튜버 모욕한 이근, 1심서 벌금 500만원 랭크뉴스 2024.06.22
3059 '이재명 방탄' 검사탄핵 7명째 시도…검찰 내부 "초헌법적 일탈" 랭크뉴스 2024.06.22
3058 전기자동차, 겨울에만 문제? 더워도 문제!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4.06.22
» »»»»» 넉달 넘긴 의료공백에…환자단체들, 대규모 집회 연다 랭크뉴스 2024.06.22
3056 “나중에 생각하기로 하자”…감정 다스리는 세가지 방법 랭크뉴스 2024.06.22
3055 러브버그 떼, 파리보다 스트레스?…도시해충과 공존할 수 있을까[주말N] 랭크뉴스 2024.06.22
3054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얻어"…자녀 11명 됐나 랭크뉴스 2024.06.22
3053 포스코인터·SK E&S·GS에너지 '동해 가스전' 투자하나…주가 '들썩' 랭크뉴스 2024.06.22
3052 ‘채 상병 특검법’, 국회 법사위 통과 랭크뉴스 2024.06.22
3051 [금융포커스] 카카오뱅크, 해외 첫발 인도네시아서 혁신 통할까 랭크뉴스 2024.06.22
3050 유엔 총장, 북러 조약 두고 "러시아, 대북 제재 준수해야"[북러정상회담] 랭크뉴스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