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실 “상속세·종부세 개편” 언급하자 세제실 출입제한
일부 세제실 소속 과에선 유류세 세율 조정·밸류업 등 공유 안 돼
기재부 고위관계자 “세법개정안 앞두고 보안 위한 조치”

기획재정부 전경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세제실이 최근 철문을 걸어 잠그고 있습니다. 오직 세제실 직원만 카드 인증 후 들어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뀐 건데요. 갑자기 왜 이렇게 ‘철통보안’ 모드가 됐을까요?

세제실 보안이 강화된 것은 대통령실에서 세제개편 이야기를 쏟아낸 이후부터입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16일 한 방송에 출연해 상속세에 대해 “최고 세율이 60%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이 26.1% 내외로 추산된다. 따라서 최대한 30% 내외까지 일단 인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아울러 피상속인 기준으로 매기는 ‘유산세’를 상속인 기준으로 매기는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것도 언급했습니다. 주식과 부동산 등에 대해서는 물려주는 시점에 과세하지 않고 추후 매각 시 차익에 세금을 매기는 ‘자본이득세’ 도입 필요성을 논하기도 했습니다.

성 실장은 9억원 이상 주택(1주택자의 경우 12억원 이상) 등에 부과되는 종부세와 관련해서도 “기본적으로 주택 가격 안정 효과는 미미한 반면 세 부담이 임차인에게 전가되는 요소가 상당히 있어 폐지 내지는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일반적 주택 보유자와 보유주택 가액 총합이 높지 않은 다주택자는 종합부동산세 대상에서 제외하고, 초고가 1주택자와 보유주택 가액 총합이 아주 높은 다주택자에 한정해 종부세를 내게 하자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주무담당부처인 기재부가 아닌, 대통령실에서 구체적인 세제개편 이야기가 나오며 7월 세제개편안에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지난 17일 기자실을 방문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도 상속세·종부세 관련 질문이 쏟아졌었죠.

최 부총리는 대통령실이 말한 기본 방향에는 동의한다면서도, 구체적인 개편 방안에 대해서는 7월 중 세법개정안을 통해 말하겠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6월 월례 기자간담회 참석한 최상목 부총리./기획재정부 제공

사정이 이렇자 기자들은 물론 공무원들 사이에서도 관심이 온통 세제실에 집중됐습니다. 세제실도 이런 관심을 의식해서인지 출입 관리를 시작했습니다. 타 부서 공무원들이나 기자들이 출입해 세법개정안 내용이 새어나가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죠.

심지어 세제실 내에서조차 부서별로 진행 중인 내용을 공유하는 일이 눈에 띄게 줄었다고 합니다. 세제실의 한 관계자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세제개편이나 밸류업 관련 업무를 할 때 부서들 사이에 교류가 있었지만, 대통령실 발표 이후 내용을 공유하는 일이 크게 줄었다”고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 17일 발표한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의 상세 내용은 담당 과가 아닌 대부분의 다른 부서에서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를 연장하면서 휘발유(25%→20%)와 경유(37%→30%)의 세금 인하 폭은 축소했습니다.

세제실은 오는 7월 연례 행사인 ‘세법개정안’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세수가 많이 줄어든 상황에서 감세 논의가 쏟아지니 고민이 많을겁니다. 기재부 내 다른 부서에서는 대부분 세제실에 세금을 깎자는 이야기만 하지 늘리자는 이야기는 하지 않습니다.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예산을 넣거나 세금을 깎아주는 방식으로 인센티브를 줘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과연 세제실이 꼭꼭 문을 잠그면서까지 작업한 세법개정안에는 감세 내용 외에 세수 유입 방안도 함께 담겨있을까요? 국가채무가 1129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중장기적 국가 재정을 위한 세제실의 고민이 잘 반영됐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45 화성 화재 참사 수사받는 아리셀 공장, ‘김앤장’ 선임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44 공수처, ‘이재명 피습 현장 물청소’ 부산 강서경찰서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43 이주민대책위 “분향소 준비하자 파출소장이 ‘나라 지키다가 죽었냐’ 막말”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42 공수처, ‘이재명 피습 증거인멸’ 혐의 부산강서경찰서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41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안 당론 채택‥"6월 국회서 통과"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40 서울 아파트값 어디까지 오를 거니?… 상승폭 2년 9개월 만에 최대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9 조국혁신당 "한동훈, 명품백 의혹을 '가방 사안'이라 불러"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8 애만 안 낳나? 결혼도 안 한다… 미혼율, 20년 새 3배로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7 [미래에너지 2024] 석유공사 “석유가스 개발, 민간에도 참여 기회 제공”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6 30년 숙원 ‘유보통합’ 청사진 제시…영유아 돌봄 대폭 지원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5 대형병원 합격한 의사 유튜버에 "배신자"…의사들 '충격 이지메'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4 ‘12사단 훈련병 사망’ 중대장·부중대장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3 "南영화 유포했다고 공개 처형…흰 결혼 드레스는 '반동' 처벌"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2 “제주 하면 흑돼지인데”…‘악취 갈등’ 어쩌나?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1 [속보]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안 당론 채택‥"6월 국회서 통과"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30 윤 장모 ‘요양급여 23억 환수’ 불복소송 각하…이미 처분 취소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29 믿는 구석 있었나… 친구 뺨 때린 장학사 아들 '논란'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28 유치원·어린이집, 이르면 2026년 통합…윤곽은 연말 드러날 듯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27 ‘경차→소형’ 캐스퍼 전기차 공개…1회 충전에 315㎞ new 랭크뉴스 2024.06.27
44426 경찰, ‘임성근 과실치사 혐의’ 수사결과 다음달 발표 new 랭크뉴스 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