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0대와 60대 이상, 20년물 청약 비중 20%대
20~40대보다 적어···10년물 64% 차지 대조
10년물보다 2000억원 이상 20년물 덜 신청
중도환매 어렵고 만기 길어···7월 물량 줄일 듯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서울경제]

이달 개인투자용 국채 첫 청약에서 발생한 20년물 미달 사태는 여윳돈이 많은 50대와 60대 이상 투자자의 극심한 외면 탓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50대와 60대 이상 투자자들은 중도 환매 시 금리·세제 혜택이 사라지는 데다 만기가 너무 길다는 이유로 개인용 국채 20년물을 10년물보다 2000억 원 가까이 적게 청약 신청한 것으로 추산됐다. 금융투자 업계는 첫 청약에서 중장년층의 실제 수요를 확인한 만큼 단독 판매 대행사인 미래에셋증권(006800)과 기획재정부가 7월물부터 20년물 발행 물량을 이달(1000억 원)보다 줄이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20일 서울경제 취재와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이 이달 13~17일 진행한 개인투자용 국채 20년물 첫 청약에는 건수 기준으로 40대가 34.5% 접수해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대 24.3%, 30대 19.1%, 20대 16.6%, 60대 이상 5.5% 순으로 청약 접수가 많았다.

이는 같은 기간 10년물 청약 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과다. 10년물에는 50대가 전체 청약 건수의 40.8%를 차지해 최대 투자 연령대가 됐다. 이어 60대 이상 23.6%, 40대 21.5%, 20대 이하 7.4%, 30대 6.7% 순으로 청약 건수가 많았다. 50대와 60대 이상의 20년물 회피 현상이 유독 심했던 셈이다. 50대와 60대 이상 비중은 개인투자용 국채 10년물 청약에서 총 64.4%에 달한 반면에 20년물에서는 29.8%에 그쳤다.

만약 모든 투자자가 동일한 금액을 투자했다고 가정하고 전체 청약액을 연령별 건수 비중으로 나눌 경우 50대는10년물에 1425억 원어치를 신청하면서 20년물에는 187억 원어치만 관심을 보였다는 결과가 나온다. 또 60대 이상은 10년물에는 824억 원, 20년물에는 42억 원만 청약한 게 된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50대와 60대 이상이 20년물에 10년물보다 총 2000억 원 이상을 덜 청약했을 공산이 크다는 뜻이다.

기재부는 애초 개인투자용 국채 10년물과 20년물은 똑같이 1000억 원어치씩 발행하기로 했다가 두 상품에 각각 3493억 원, 769억 원이 청약되자 계획을 급하게 수정했다. 20년물이 1000억 원 발행 한도를 채우지 못하자 나머지 발행 금액을 10년물에 얹어 최종적으로 10년물과 20년물을 1231억 원, 769억 원어치씩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개인투자용 국채는 투자자별로 10만~1억 원을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업계에서는 고액투자자의 분포 상 1인당 국채 청약 금액도 40대 이하보다는 50대 이상에서 더 컸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노후 대비를 눈앞에 둔 중장년층의 성향을 고려할 때 개인투자용 국채 20년물 청약 미달 사태는 예견된 결과라고 지적했다. 개인투자용 국채는 정부가 개인의 노후 대비를 위한 자산 형성을 지원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저축성 채권으로 만기까지 보유해야만 가산금리, 연 복리, 분리과세 혜택을 준다. 중도에 환매하면 표면금리가 단리로 적용되고 가산금리, 연 복리, 분리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는다. 중도 환매 가능 시점도 매입 1년 뒤부터다. 6월물 표면·가산금리 합계는 10년물이 3.690%, 20년물이 3.725%로 두 채권 간 금리 편차도 크지 않다. 불확실한 거시 경제 환경에서 10~20년 동안 돈을 묶어둬야 하다 보니 고령층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입출금이 자유로운 다른 고수익 상품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기재부도 이 같은 연령대별 투자 현황을 파악하고 7월물 물량 조절을 검토하고 나섰다. 올해 개인투자용 국채 총 발행액은 1조 원이고 6~11월 매달 청약을 받는다. 7월물 발행 계획은 28일 기재부가 공표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72 서울 주택 ‘생애 최초’ 구입자 비율, 10년만에 최대 랭크뉴스 2024.06.20
3571 예수 어린시절 가장 오래된 기록 발견된 의외의 장소 랭크뉴스 2024.06.20
3570 주말 남부지방서도 장마 시작…최대 100㎜ 이상 많은 비 랭크뉴스 2024.06.20
3569 국제마약조직의 ‘배달사고’…110만명분 코카인, 부산항으로 오배달 랭크뉴스 2024.06.20
3568 차키가 주차까지 해주다니…미래엔 생체인식 랭크뉴스 2024.06.20
3567 ‘스팸 재난’ 멈출 수 있을까···방통위, 대량문자업체 긴급 조사 랭크뉴스 2024.06.20
3566 김호중 소속사 "매니지먼트업 철수하며 사명변경…다른뜻 없어" 랭크뉴스 2024.06.20
3565 北 고교생들 목욕탕 통째 빌려 집단 성관계...마약도 해 발칵 랭크뉴스 2024.06.20
3564 尹 대통령 “3조4000억원 영일만 횡단고속도로 건설 빠르게 추진” 랭크뉴스 2024.06.20
3563 ‘얼차려 중대장’ 法출석 카메라 앞 설까…21일 구속심사 랭크뉴스 2024.06.20
3562 강제동원 피해자, 2심서 전범기업 상대 1억원 승소···결과 왜 뒤집혔나 랭크뉴스 2024.06.20
3561 "커피 배달부터 주차까지 알아서 척척"…현대차그룹, 성수서 로봇서비스 개시 랭크뉴스 2024.06.20
3560 '女나체 촬영' 명문대 의대생 "휴학해 손해, 응급의학과 가서 속죄" 랭크뉴스 2024.06.20
3559 제주 강한 장맛비 주의…중부 지역 폭염 계속 랭크뉴스 2024.06.20
3558 ‘이재명 아버지 논란’ 강민구의 해명...“영남 남인 예법이었다” 랭크뉴스 2024.06.20
3557 '민주당 아버지 이재명' 논란에…강민구 "영남 남인의 예법" 랭크뉴스 2024.06.20
3556 법원 “선감학원 피해자에 국가·경기도가 위자료 줘야” 랭크뉴스 2024.06.20
3555 좌석 따라 최대 6도 차이... '폭염' 지하철 가장 시원한 곳은? 랭크뉴스 2024.06.20
» »»»»» [단독] '큰손' 60대 이상, 개인용 국채 20년물 청약 비중 '5.5%' 최저 랭크뉴스 2024.06.20
3553 "두 번째 원자폭탄 안 돼"…한국전쟁 둘러싼 각국의 긴박한 표정 랭크뉴스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