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차관급 외교·국방 ‘2+2’ 협의체
중국 “한반도 문제 해결 위한 역할 할 것”
외교안보대화 정례화 합의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회의실에서 외교안보대화를 시작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한국과 중국의 외교·국방 ‘2+2’ 외교안보대화가 18일 서울에서 개최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해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할 예정이다. 한·중 회담에서도 북·러 밀착과 관련한 논의도 이뤄졌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과 외교안보대화를 진행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과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등도 참석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과거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열린 바 있으며 이번에는 9년 만에 차관급으로 격상돼 처음 개최됐다.

회담의 주요 의제는 한·중 양자 관계, 한반도 정세,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이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진행하는 만큼, 북·러 협력도 한·중 회담의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특히 북·러가 정상회담을 통해 체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등이 한반도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얘기도 오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날 회담에서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와 오풍 풍선 살포, 위성항법장치(GPS) 교란 등으로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뤄진 것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은 또 중국에 “이번 방북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러·북 간 불법적 군사협력의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한국은 북·러 간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의 긴장 조성은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 만큼, 중국이 한반도 평화·안정과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중국 측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고 하면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측은 그간 북·러 정상회담을 두고 “러·조 간의 양자 왕래”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북·러 밀착이 동북아 정세의 불안정성을 가중할 수 있고,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축소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중은 앞으로 외교안보대화를 정례적으로 개최키로 했다. 양측은 양국 고위급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을 평가하고, 이런 교류·협력의 모멘텀을 살려 양측 관계를 보다 건강하고 성숙한 방향으로 발전시키자는 데도 공감했다. 또 1.5트랙(반민반관) 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등도 이행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양측은 변화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국방 당국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라며 “지난해 개최된 국방 장·차관급 회담에 이어 고위급 교류·소통의 모멘텀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중은 우크라이나 및 중동 정세, 미·중 관계 등 지역 및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외교·안보 분야의 다양한 현안을 두고 허심탄회한 소통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쑨웨이둥 부부장과 장바오췬 부주임을 접견했다. 조 장관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우려를 표명했고, 중국 측은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02 "천공이 오 씨나 육 씨였으면 어쩔 뻔"‥의정 갈등 장기화에 여당서도 비판 new 랭크뉴스 2024.06.27
44201 “살다살다 '얼음거지' 볼 줄은”…영화관 기계서 얼음 털어간 남성 ‘공분’ new 랭크뉴스 2024.06.27
44200 [사설] 전략산업 지원에 여야 없다…K칩스법 조속히 개정하라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9 [단독] 이러다 또 터질라…아리셀공장 ‘불탄 배터리’ 결국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8 위기의 한국 사장님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3배 급등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7 미 반도체·에너지 기업 3곳, 한국에 8500억 투자한다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6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추가 신원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5 97㎝ 세계 최장신 개 '케빈', 기네스북 등재 2주 만에 하늘나라로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4 북, 탄도미사일 시험발사…한미일 훈련 견제 노린 듯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3 거친 파도 앞에서 ‘입맞춤’하던 간큰 커플 결국 …비극의 순간 맞았다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2 국민의힘 의원들 “법사위·과방위 안 가게 해주세요”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1 러시아 '간첩 혐의' WSJ 기자 첫 재판… 외신들 "유죄 인정 거의 확실"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90 아이 낳으면 1억 준다는 이 회사, 공채 뜨자 난리났다…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7
44189 나토 새 수장에 뤼터 네덜란드 총리... 10년 만에 교체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8 日 엔화 달러당 160.39엔까지 하락, 38년 만에 최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7 석달 전 “아리셀 3동 급격한 연소 위험”…소방당국 경고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6 농구선수 허웅 "사생활 폭로 빌미 금전 협박" 전 여자친구 고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5 페인버스터 쓸 수 있나?‥복지부 오락가락에 산모·병원 혼란 가중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4 "1년치 음식값 내줘"…스위프트, 英 푸드뱅크에 통큰 기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3 14년 만에 ‘자유의 몸’…위키리크스 어산지, 고국 호주 도착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