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동해 프로젝트 해외 검증단 구성원이
‘아브레우와 지인’ 이어 또 다른 정황
석유공, 카르텔 의혹에 “전문가 적어”
곽원준 한국석유공사 수석위원이 지난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자문업체 ‘액트지오’의 동해 심해 원유·가스전 탐사 자료 분석 결과를 검증한 국내 자문단이 동해 심해 탐사 평가 작업을 총괄한 한국석유공사 담당자의 논문 공동저자들인 것으로 18일 확인됐다. 이 담당자는 액트지오의 ‘지명경쟁입찰 지시자’이기도 하다. 액트지오 소유주이자 고문인 비트로 아브레우와 동해 프로젝트 해외 검증단이 지인 관계였다는 사실이 밝혀진 데 이어 국내 자문단 선정 및 검증에 대해서도 공정성 의혹이 일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취재에 따르면 액트지오 평가자료를 검증한 국내자문단에는 공주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A씨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 B씨 등 3명이 포함됐다. 앞서 석유공사는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보낸 답변서에서 국내 자문단 구성과 관련해 10~20년 경력의 국립대 교수 1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 2명 등 총 3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산업부와 석유공사의 답변을 종합하면 A씨와 B씨가 포함된 국내 자문단은 지난해 11월 꾸려졌으며, 이들이 참여한 회의는 지난해 11월과 올해 4월 총 2차례 열렸다.

미국 자문업체 ‘액트지오’의 동해 심해 석유 탐사 자료 정밀 분석 결과 검증에 참여한 국내자문단 소속 A씨와 B씨는 동해 심해 탐사 평가 작업을 총괄한 곽원준 석유공사 수석위원과 2014년 논문 공저자로 나란히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게이트’ 갈무리


A씨와 B씨는 동해 심해 탐사 평가 작업을 총괄한 곽원준 석유공사 수석위원과 2014년 논문 공저자로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곽 위원은 지난 7일 열린 아브레우 ‘액트지오’ 고문의 기자회견에도 참석한 사업 관련 핵심 관계자다. 산업부는 김 의원실에 보낸 답변서에서 액트지오의 선정 배경이 된 지명경쟁입찰 지시자로 곽 위원을 적시했다. 곽 위원은 지난 14일자로 산업부의 ‘동해 심해 가스전개발 태스크포스(TF)’에 파견돼 오는 2025년 6월16일까지 동해 원유 탐사·시추 사업에 참여한다.

석유공사는 자문단 구성과 관련해 일각에서 제기되는 ‘카트텔 의혹’에 “심해 분야 전문가 풀이 매우 협소한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아브레우 고문과 해외 검증단 교수가 공동 연구로 엮이고, 해당 교수가 석유공사의 또다른 담당자와 사제 관계인데다 곽 위원과 국내 검증단 교수도 공동연구자로 묶이면서 검증단 구성의 공정성 의혹은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A씨는 그간 산업부·석유공사의 다수 사업에 외부 전문가로 참여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A씨가 학교 홈페이지에 소개한 연구개발사업 수행실적에는 ‘포항분지 해상 소규모 CO2 주입실증 프로젝트’ 등을 포함해 10개 연구과제를 통해 총 1065억3600만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예산을 확보했다고 적혔다. 특히 산업부와 과기정통부·해수부 등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동해가스전 활용 CCS 통합 실증사업’ 총괄기획연구책임자를 맡으며 490억원의 연구 예산을 확보한 것으로 소개됐다. A씨의 주요 경력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신산업육성전략 CCS분과위원장(2014~2015)’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CCUS 분과위원장(2017~2018)’ ‘한국석유공사 개혁위원회 외부자문단 위원(2018)’ ‘산업통산자원부 해외자원개발 융자심의회 위원(2020~2023)’ 등이 기재됐다.

A씨는 전공 분야이기 때문에 심해 탐사 평가 작업 검증 사업에 다수 참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15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비공개 각서를 썼기 때문에 (평가 검증과 관련해) 인터뷰에 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A씨는 그러면서 ‘심해 탐사 평가 작업에 대한 검증을 이전에도 수행한 바 있느냐’는 질문엔 “제 전공이 퇴적층서학인데 당연하지 않겠냐”고 답했다. 그는 산업부 연구사업 참여 등에 대해선 “외부 전문가로 참여했을 뿐”이라고 했다.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해외 자문단은 물론 국내 자문단 명단에 대해서도 “본인 동의 없이 공개하기 어렵다”며 비공개 입장을 고수해 왔다. 자문 내용에 대해서도 “국가 자원안보에 관한 중요 정보가 포함돼 동의 없이 공개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81 우원식 의장 아리셀 항의 방문, “유족이 크게 분노한 건 사측의 사과 부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80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 간 세븐틴 "힘겨운 시간, 동료애로 극복"... 100만 달러 기부한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9 농구선수 허웅, 협박·스토킹 혐의로 전 여자친구 고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8 북한, 오물풍선 사흘 연속 살포… 한 달 새 일곱 번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7 김건희 여사 "저도 몇년간 심하게 아팠다…정신질환 인식 개선돼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6 뉴질랜드 당국 "불닭볶음면 부작용 보고된 적 없어"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5 우원식 의장 아리셀 항의 방문, “유족이 가장 크게 분노한 건 사측의 사과 부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4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또 부양”…사흘 연속 살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3 '1명 반대로 안건 기각?'‥안건 미표결에 인권위원 6명 회의 '보이콧'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2 [단독] “아리셀 직원 지시 받았다”…‘불법 파견’ 증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1 '아동학대 피소' 손웅정 도서전서 사인회…팬들에 웃음으로 화답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70 '尹대통령 탄핵안 발의요구' 청원에 20만명 동의…법사위 회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9 “더위에 선수들 죽을 수도”…파리올림픽 덮칠 폭염 경고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8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 확인… 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7 국회의장 나서니 비로소 유가족에 직접 사과…아리셀 측 굼뜬 처신 빈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6 “화재 위험” “인명 피해 우려”… 소방당국 화성 공장 두번 경고했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5 [단독] ‘회수’ 출발 직후, 윤 개인폰 전화한 국방차관…추가통화 확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4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사망자 신원 14명 확인…11명 추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3 '1억 출산장려금' 효과?…부영그룹 공채 지원자수 5배 늘어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62 [속보] 일곱 번째 오물풍선···“경기북부 지역에서 이동 중”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