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휴진 신고율은 4%뿐…개인사유 내건 휴진병원 곳곳
학회참석·자신 병치료 사유 휴진 써붙여…환자 허탕
18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동네 병의원들도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원장님 치과진료’를 이유로 휴진한 서울 서대문구의 한 소아과 의원. 고경주 기자

의과대학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의정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18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동네 병의원들도 집단 휴진에 나섰다. 이날 서울 곳곳 동네 병원들에선 휴진 소식을 모른 채 병원을 찾았다가 허탕을 친 환자들의 모습이 적잖았다. 상당 수 병원은 집단휴진 참여가 아닌 ‘원장님이 아파서’ ‘원장님 학회’ 등 개인적 사정을 휴진 이유로 설명하기도 했다.

“오늘 무릎이 너무 아파서 바로 집 앞에 신경과 의원에 왔는데 휴진이네. 조금 더 걸어 올라가면 신경과가 하나 더 있는데, 거기도 휴진이면 어떡하죠? 잠깐 여기 벤치에서 쉬었다 가야겠어요.” 이날 오전 11시께 김정희(57)씨는 퇴행성 관절염이 도진 아픈 무릎을 이끌고 서울 서대문구 홍제역 인근 신경과 의원을 찾았으나 병원이 문을 닫아 헛걸음을 했다. ‘네이버지도’ 등 온라인에는 이미 전날부터 휴진 소식이 공지됐지만, 온라인 검색에 익숙치 않은 김씨는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김씨는 “옆 동네 병원에 가려면 버스 타야 하는데 타고 내릴 때마다 무릎이 너무 아파서 이왕이면 가까운 병원으로 오고 싶었다”며 “병원 휴진 뉴스는 봤지만 큰 병원들만 하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 행당동에 사는 정아무개(40)씨도 이날 콧물감기에 걸린 4살배기 딸을 데리고 동네 소아과 의원을 찾았다가 발길을 돌려야 했다. 평소 다니던 소아과가 이날 ‘집단휴진’을 이유로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제가 다니던 소아과가 닫아서 다른 소아과로 왔는데 여기도 오전만 진료한대요. 얼른 약 받아서 애 유치원 보내려고 했는데 사람이 몰려서 30분은 더 기다렸어요.” 대형 아파트 단지 사이에 있는 이 상가에는 소아과 2곳을 포함해 내과·이비인후과·안과 등 동네 의원이 11곳인데 이중 7곳이 이날 전일 또는 오전 휴진에 나섰다.

18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동네 병의원들도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원장님 정형외과 진료’를 이유로 휴진한 서울 서대문구의 한 소아과 의원. 고경주 기자

동네 병원까지 덮친 집단 휴진 흐름에 환자들의 우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동에서 만난 방양일(73)씨는 “뉴스에서 병원들 휴진한다고 해서 걱정하면서 왔는데 다행히 열려있어서 내과 진료를 받았다”며 “이게 확산될까봐 우리 딸아이가 계속 아프지 말라고, 무리하지 말라고 한다. 언제 해결될지 모르지만 아프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밖에는 답이 없다”고 말했다. 9개월 난 아들을 둔 박선영(35)씨도 “원래 다니던 소아과 원장님이 휴진하는 이유를 설명해줬는데 그분 입장에선 그럴 수 있겠다 싶었다”면서도 “아기들은 예고하고 아픈 게 아니니까 동네 병원까지 휴진을 하는 건 걱정된다”고 말했다.

18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동네 병의원들도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원장님 학회’를 이유로 오후 휴진에 나선 서울 서대문구의 한 이비인후과 의원. 김채운 기자

18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동네 병의원들도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서울 성동구의 한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오전 단축진료에 나섰다. 이지혜 기자

보건복지부에 신고된 휴진율은 4%에 불과했지만, 실제론 오전에 2시간만 진료를 하는 식으로 단축 진료를 하거나, 휴진 사유로 개인 사정을 드는 병원도 적지 않았다. 의협 주도의 집단행동이 아니라 ‘원장님이 아파서’, ‘원장님 정형외과 진료’ ‘원장님 학회’ 등을 다른 이유로 휴진한다고 밝히는 식이다. 정부가 전국 모든 병·의원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상황이라 추후 ‘불법 논란’을 피하기 위한 변칙 휴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사례까지 합하면 실제 휴진율은 더 높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8 "김혜경 책 사서 이재명 재판 비용 보태자"... 하루 500권 팔려 10배 폭증 랭크뉴스 2024.06.26
43987 복지차관, '의새' 발음 지적에 "의협 인사도 같은 발음 실수" 랭크뉴스 2024.06.26
43986 고금리에 역대급 '이자 잔치'...은행권, 작년 이자 수익만 34조 랭크뉴스 2024.06.26
43985 [단독] 소방당국, '화성 참사' 아리셀 공장 화재안전영향평가 검토 랭크뉴스 2024.06.26
43984 한동훈 만남 거절한 홍준표 “총선 쫄딱 망해놓고 또 하겠다?” 랭크뉴스 2024.06.26
43983 56년 만에 주름진 손 맞잡은 남매… 6·25 때 생이별 후 극적 상봉 랭크뉴스 2024.06.26
43982 조국 "윤 대통령의 북한 비판 메시지, 고해성사인가" 랭크뉴스 2024.06.26
43981 “비싼 집값 때문에 못살겠다”...‘탈 서울’ 급증 랭크뉴스 2024.06.26
43980 화성 화재 아리셀 '불법파견' 정황 짙어져…모회사도 의혹(종합) 랭크뉴스 2024.06.26
43979 한·미·일 북핵대표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 랭크뉴스 2024.06.26
43978 윤 대통령 “7월부터 전 국민 마음투자사업…정신건강 정책 대전환” 랭크뉴스 2024.06.26
43977 윤 대통령 "임기 내 100만 명 심리상담"‥다음 달 본격 시작 랭크뉴스 2024.06.26
43976 "의사 처방전 있어야 전자담배 산다고?" 금연법 강하게 미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4.06.26
43975 정부·여당 뜻대로 했으면…‘화성 참사’ 아리셀, 중대재해법 피할 뻔했다 랭크뉴스 2024.06.26
43974 성매매 단속하며 몰래 녹음·촬영…대법 “적법한 증거” 랭크뉴스 2024.06.26
43973 전기차로 돌아온 ‘강남 싼타페’...韓 시장 돌풍 예고 랭크뉴스 2024.06.26
43972 참사 희생자 영정 자리엔 꽃만 덩그러니…신원 확인 아직 랭크뉴스 2024.06.26
43971 尹 대통령 “임기 내 100만명 심리상담... 국민 정신건강 국가가 챙길 것” 랭크뉴스 2024.06.26
43970 급증한 화물열차 탈선, 원인은 베어링 열 손상… ‘차축 모니터링 장비’ 도입 시급 랭크뉴스 2024.06.26
43969 복지차관 “의료공백 사과”, 의협 회장 “우리 탓 아냐”···질타 쏟아진 복지위 청문회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