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월 4일부터 최소 1주일 휴진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휴진선언에 참석한 교수, 전공의, 의대생들이 곽재건 소아흉부외과 교수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집단 휴진’에 들어가면서, 다른 대학병원 교수의 동참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세브란스병원에 이어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7월4일부터 최소 1주일 휴진에 뜻을 모았다. 이들은 서울대병원 교수들처럼 휴진은 하지만 중증 환자 등의 진료를 유지하는 방식을 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반면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예고한 집단 휴진의 개원의 참여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린다.

다른 교수들 “서울대병원 상황 따라 판단”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위원장은 이날 한겨레에 “서울대병원 상황을 보고 있다”며 “병원별로 (무기한 집단 휴진을) 이야기하는 한편, 전의비 차원에서 어떻게 할지도 논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전의비에는 20여개 의대 교수들이 참여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울산대 의대) 교수들은 7월4일부터 휴진에 돌입하기로 했다. 이른바 ‘빅5’ 병원 가운데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27일부터)에 이어 세번째다. 이날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서울아산병원 교수 36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해 79.1%(292명)가 7월4일 휴진에 찬성했고, 휴진 기간은 ‘1주일 실시 후 정부 정책에 따라 연장’이 54%로 ‘무기한’(30.2%)보다 많았다고 밝혔다. 이 병원 전체 교수는 임상교수까지 더하면 500명이 넘는다.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의 교수들은 서울대병원 상황을 보며 내부 논의를 할 계획이다.

다른 의대 교수들이 휴진에 들어갈 경우, 서울대병원처럼 응급실·중환자실 진료나 수술은 유지한 채 신규 진료나 수술을 줄이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교수들은 외래 진료를 휴진·축소하고, 중환자·응급실 진료 등은 유지했다. 최창민 전의비 위원장은 “교수들이 각자 맡은 중증 환자를 안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서울대병원 휴진이 얼마나 이어지느냐에 따라 다른 의대 교수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첫날 진료거부 참여율은 물론 둘째 날 참여율이 어떻게 변하는지가 (무기한 집단 휴진 확산에) 중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다만, 당장 교수들이 직접 환자 예약 일정을 조정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장기화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서울대 비대위 교수들도 17~22일 외래 진료 등 일정 조정을 직접 하거나 비대위 차원에서 했다. 정부도 병원이 집단 휴진을 그대로 둘 경우 의료 공백으로 발생한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건강보험 선지급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병원을 압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8일 개원의 휴진은 전망 엇갈려

의협이 예고한 18일 집단 휴진에 개원의 참여 정도는 전망이 엇갈린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는 “(집단 휴진 찬반) 투표 결과가 높아(찬성률 73.5%) 이전에 없던 수준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 지역의사회 회장은 “환자들을 힘들게 할 생각은 없어 휴진을 최소화할 것”이라면서도 “집회 참여율은 굉장히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집회가 짧게 진행돼 잠시 집회 참여 뒤 진료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2020년 집단 휴진 당시 1차(8월14일) 휴진율은 32.6%에 달했지만, 2차(8월26~28일)에는 6.5%까지 떨어진 바 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의료계 불법 진료거부에 대한 비상 대책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정부는 17~18일 의원급 의료기관에 업무개시명령을 전달하고, 18일 오전 지자체를 통해 휴진을 확인하고, 무단 휴진이 의심되는 의료기관은 오후 현장 채증을 할 계획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43 ‘대전 초등교사 사망’ 악성민원 학부모 모두 불송치…교원단체 반발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42 퀴어축제 막아 배상 판결 받은 홍준표 “항소해 다시 판단 받겠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41 조국혁신당 “검찰 해체, 검사는 행정부 공무원으로…사표 내면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40 조규홍 "의대 증원, 백지화 없다‥'2천 명' 증원 자신이 직접 결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9 “훔친 돈 갚으라” 사장 살해하고 사고사 위장한 30대 직원 구속기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8 "내가 더 명심"… 비전 사라지고 '명비어천가'만 남은 전당대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7 허재 아들 허웅 "전 여친 고소…결별 뒤에도 수년간 금전 협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6 야권 “‘대통령 격노설’ 경로에 김건희 있는지 밝혀야”…임성근·도이치 주가조작범 관계 의혹 제기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5 "범죄 조회 깨끗" '밀양 성폭행' 가담 부정에... "판결문에 이름 있는데?" 진실공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4 "1억5000만원 위약금 물더라도 취소"…집값 치솟는 1기 신도시 무슨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3 경찰·노동부, '31명 사상' 화성 화재 아리셀 압수수색(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2 모처럼 '아기울음' 커졌다…4월 출생아 19개월 만에 증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1 '젊은 공무원 잡으려면 31만원 올려야···' 공무원 노조 임금 인상 요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0 "계약금 2배 주고 취소"…치솟는 1기 신도시 아파트 가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9 [현장] "신원 확인 대체 언제" 애타는 유족… 영정 없이 국화만 놓인 분향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8 황정음 고소한 상간녀 누명 여성…"돈 목적 아냐" 1390자 호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7 심경 밝힌 강형욱, “길에서 마주치면 어떤 말씀이든…”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6 [속보] 경찰, ‘31명 사상’ 화성 화재 관련 아리셀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5 "금두꺼비도 하늘은 못이겨"…부산 해수욕장 비명 터졌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4 [지평선] 누가 그나마 더 멀쩡한가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