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휴진 실행” 서울대병원 일부 교수들이 집단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에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효진 기자 [email protected]


“벼랑 끝 환자들 등 떠밀어”

의료계 내부 ‘반대’도 확산


보건의료산업 노동자들은

“휴진 관련 업무 협조 거부”

환자단체도 “명분 없어”


17일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의료계가 연쇄 집단휴진을 예고한 것을 두고 환자단체는 물론 보건의료계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의사단체, 보건의료 노동자, 환자단체는 “휴진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라며 휴진 철회를 요구했다.

의사단체인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는 이날 성명을 발표해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은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환자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일부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 그리고 그러한 언사를 투쟁 수단으로 삼아 지금도 고통 속에 있는 환자와 시민을 불안하게 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들이 의대 교수들에게 바라는 것은 지금 그들이 목표로 내세우고 있는 ‘전공의 지키기’나 진료 중단이 아니라 심각한 의료공백 상황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은 언론사에 배포한 기고문을 통해 “의사의 단체 사직과 휴진은 중증 환자들에게 사형선고와 다름없다”고 했다. 앞서 협의체는 대한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등과 함께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 움직임에 불참하기로 했다.

홍 위원장은 “뇌전증은 수술받으면 사망률이 3분의 1로 줄고,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이 50%에서 90%로 높아지는데, 지금은 전공의 사직으로 유발된 마취 인력 부족으로 예정됐던 수술의 40%도 못하고 있다”며 “전국에서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서울 6곳, 부산 1곳 등 7곳뿐으로, 대부분 뇌전증 수술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됐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10년 후에 활동할 의사 1%(1509명)가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수십만명 중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했다.

“휴진 철회” 한국노총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의료노련) 조합원들이 17일 국회 앞에서 의사들의 집단휴진 피해 사례를 보고하고 휴진 철회를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이준헌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노총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의료노련)은 이날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단체 휴진 관련 업무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신승일 의료노련 위원장은 “의사 집단휴진에 따른 진료 및 수술 연기나 예약 취소 업무가 병원노동자에게 전가되는 것을 강력하게 거부한다”며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해 환자의 진료나 치료행위에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면 그로 인한 손해배상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입장문을 내고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534 [속보] 정부 "북러 포괄전략적동반자관계에 엄중한 우려·규탄" 랭크뉴스 2024.06.20
41533 한동훈에 맞서 원희룡 등판... 나경원 윤상현 가세해 '결선 투표' 갈까? 랭크뉴스 2024.06.20
41532 [속보] 대통령실 "북러 조약 엄중 우려... 우크라에 무기 지원 재검토" 랭크뉴스 2024.06.20
41531 "날씨가 너무 더워서"...신라스테이 해운대, 야외 수영장 조기 개장 랭크뉴스 2024.06.20
41530 남현희, 서울시펜싱협회서 ‘제명’…지도자 자격 박탈 전망 랭크뉴스 2024.06.20
41529 [단독] “한 알에 500원씩”… 19금 ‘뼈말라약’ 불법판매 횡행 랭크뉴스 2024.06.20
41528 [단독] ‘물리력 10분의 1’…경찰, 내년 저위험권총 1만1500정 도입 랭크뉴스 2024.06.20
41527 "중대장, 연락도 없더니 이제야? 이런 사과는 2차 가해" 분노 랭크뉴스 2024.06.20
41526 걸그룹에 "AV 배우 데뷔해주세요"…선 넘은 '노빠꾸 탁재훈' 랭크뉴스 2024.06.20
41525 "에어컨 더 세게" vs "추워 죽겠어요"…지하철 '온도 전쟁' 피하는 '꿀팁'은 바로 랭크뉴스 2024.06.20
41524 "똘똘한 한채 잡아라"…마용성 2억씩 뛰고 과천 신고가 속출 랭크뉴스 2024.06.20
41523 “김건희 논문 검증” 약속 교수, 숙명여대 새 총장 됐다 랭크뉴스 2024.06.20
41522 美 경제까지 뒤흔드는 기록적 폭염…”열돔 몇주간 지속될 수도” 랭크뉴스 2024.06.20
41521 이주호 “의대 2026학년도 정원, 과학적인 안 제시되면 논의 가능” 랭크뉴스 2024.06.20
41520 “기피하는 응급의학과서 속죄” 불법 촬영 의대생의 ‘황당’ 진술 랭크뉴스 2024.06.20
41519 ‘화장지 좀 아껴쓰세요’까지 등장…재계에 ‘자린고비’ 열풍 랭크뉴스 2024.06.20
41518 낮 가장 긴 '하지'…한풀 누그러진 더위 이어져(종합) 랭크뉴스 2024.06.20
41517 의협 회장·전공의 대표 빠진 범의료계 조직…국면전환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4.06.20
41516 [단독] ‘수사 언급 안됨’ 국방부 회의 때 대통령실 전화 쏟아졌다 랭크뉴스 2024.06.20
41515 전제 달았지만 "금품수수 된다", 권익위가 이런 답변을‥ 랭크뉴스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