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IMD, 28위서 20위로 껑충
기업효율성·인프라 대폭 상승
경제성과·정부효율성은 주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이 올해 20위에 올라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사진=IMD

[서울경제]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올해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조사 대상 67개국 중 20위로 평가했다. 1997년 평가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순위로 30-50클럽(국민소득 3만 달러·인구 5000만 명 이상 구가)가운데선 미국에 이어 2위였다. 기업 효율성과 인프라 부분에서 크게 상승하며 전체 순위를 상승시켰다. 다만 경제성과 분야에서는 2단계 하락했다.

18일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2020년부터 2년 간 23위를 유지했던 한국은 2022년 27위로 순위가 크게 하락한 뒤 지난해에도 한 단계 순위가 내려왔지만 올해 8단계 상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기업효율성(33→23위)과 인프라(16→11위)가 대폭 상승하며 전체 순위를 끌어올렸다. 경제성과(14→16위)와 정부 효율성(38→39위)은 소폭 하락했다. 지난해 한국을 역전한 카타르(12→11위)와 사우디아라비아(17→16위) 모두 한 단계씩 상승해 올해도 한국을 앞섰다. 다만 지난해 한국을 앞섰던 바레인(25→21위)과 말레이시아(27→34위)는 따돌리는 데 성공했다.

한국은 기업효율성 부문 전 분야 순위가 상승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세부지표 중에는 전반적 생산성 증가율(28→15위), 인재유치(14→6위), 기업의 민첩성(28→9위), 국민의 유연성·적응성(30→14위) 등의 순위도 크게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역시 모든 분야 순위가 상승했다. 기본인프라(23→14위), 기술인프라(23→16위), 과학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이 큰 폭 상승했다. 세부지표 중에는 유통인프라 효율(8→3위), 우수 엔지니어 가용성(47→29위), 대학교육지수(22→12위) 등의 순위가 올랐다.

반면 경제성과 분야는 2계단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투자(총고정자본형성, 51→40위) 등 국내경제(11→7위) 부문 순위가 상승했으나, 국제무역(42→47위) 부문이 하락하며 이를 상쇄시켰다. 국제무역 세부지표 중 전반적 무역수지(54→49위) 순위는 상승했으나, 민간서비스수지(38→62위) 순위가 큰 폭 하락했다.

IMD 국가경쟁력 한국 순위변화 추이 . 자료:기재부


정부효율성 분야는 1계단 하락했다. 5개 부문 중 재정(40→38위), 제도여건(33→30위), 기업여건(53→47위), 사회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상승했으나, 조세정책(26→34위) 부문 순위가 큰 폭 하락하며 역시 상쇄시켰다. 세부지표 중에는 정부부채 실질증가율(56→43위)과 GDP 대비 재정수지(24→20위) 순위 등 재정건전성 지표, 관료주의(60→54위), 자본시장 접근성(27→20위), 보조금의 공정경쟁⋅경제발전 왜곡(45→30위), 기회균등(40→23위), 남녀 실업률 격차(37→21위) 등의 순위가 큰 폭 상승했지만 조세정책(26→34위) 부문은 2022년 기준 GDP 대비 총 조세(32→38위)⋅소득세(35→41위)⋅법인세(48→58위) 등 조세부담 증가로 순위가 크게 하락하게 됐다.

IMD는 스위스 로잔에 위치한 비영리 사립 경영대학원으로 1979년부터 주요국 경쟁력 순위를 매기고 있다. 1위는 지난해 4위였던 싱가포르가 차지했다. 스위스, 덴마크, 아일랜드, 홍콩 등이 그 뒤를 이었다. IMD는 한국 순위를 1989년부터 발표했는데 역대 최고는 2011~2013년의 22위, 최저는 1999년 41위다.

국가별 순위변동표. 자료:기재부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39 “훔친 돈 갚으라” 사장 살해하고 사고사 위장한 30대 직원 구속기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8 "내가 더 명심"… 비전 사라지고 '명비어천가'만 남은 전당대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7 허재 아들 허웅 "전 여친 고소…결별 뒤에도 수년간 금전 협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6 야권 “‘대통령 격노설’ 경로에 김건희 있는지 밝혀야”…임성근·도이치 주가조작범 관계 의혹 제기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5 "범죄 조회 깨끗" '밀양 성폭행' 가담 부정에... "판결문에 이름 있는데?" 진실공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4 "1억5000만원 위약금 물더라도 취소"…집값 치솟는 1기 신도시 무슨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3 경찰·노동부, '31명 사상' 화성 화재 아리셀 압수수색(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2 모처럼 '아기울음' 커졌다…4월 출생아 19개월 만에 증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1 '젊은 공무원 잡으려면 31만원 올려야···' 공무원 노조 임금 인상 요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0 "계약금 2배 주고 취소"…치솟는 1기 신도시 아파트 가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9 [현장] "신원 확인 대체 언제" 애타는 유족… 영정 없이 국화만 놓인 분향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8 황정음 고소한 상간녀 누명 여성…"돈 목적 아냐" 1390자 호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7 심경 밝힌 강형욱, “길에서 마주치면 어떤 말씀이든…”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6 [속보] 경찰, ‘31명 사상’ 화성 화재 관련 아리셀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5 "금두꺼비도 하늘은 못이겨"…부산 해수욕장 비명 터졌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4 [지평선] 누가 그나마 더 멀쩡한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3 [속보] 경찰, ‘화성 일차전지 화재’ 공장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2 “이주노동자 ‘안전제일’ 구호 외치는 게 교육 전부”…재해 무방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1 청문회도 ‘의새’ 공방… 복지차관 “의협 간부도 같은 실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0 ‘롯데 3세’ 신유열 시대 본격화… 日 지주사 이사로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