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도,푸틴 국빈 방문 발표…작년 김정은 방러 후 9개월 만에 재회
우크라이나 사태 속 북러 군사협력 주목…19∼20일 베트남 방문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만난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AFP/크렘린풀=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서울=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오수진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을 통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하는 등 북러 관계를 격상시킬 전망이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17일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도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국가방문(국빈방문)한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러시아와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이 18일 극동지역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야쿠츠크를 방문한 뒤 저녁에 평양에 도착할 예정이다. 야쿠츠크와 평양은 비행기로 약 3시간 거리다.

푸틴 대통령은 19일 북한의 주요 방문 프로그램을 소화한 뒤 베트남도 방문할 예정이어서 그가 북한에 실제로 머무는 시간은 24시간 미만일 것으로 보인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기도 하다.

북한에 외국 정상이 방문하는 것은 북한이 2020년 코로나19로 국경을 폐쇄한 이후 처음이다.

푸틴 대통령은 2000년 러시아 지도자로선 처음 북한을 찾아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북러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지난달 집권 5기를 공식 시작한 이후 가장 먼저 중국(5.16∼17)을 찾았던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5.23∼24), 우즈베키스탄(5.26∼28)에 이어 북한을 네 번째 해외 방문지로 택했다.

2019년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에 응하지 않았던 푸틴 대통령은 이번에는 신속한 북한 답방으로 점점 공고해지고 있는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러시아와 북한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작전에 필요한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여러 중요한 문서에 서명할 계획이며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이 협정이 기존 북러 간 체결 문서들을 대체할 것이라며 "당연히 국제법의 모든 기본 원칙을 따르고 어떠한 도발적 성격도 없으며 어느 국가를 직접 겨냥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경제, 에너지, 교통, 국제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비공식 대화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북의 최대 관심사는 양측의 군사협력 수준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인공위성 기술 지원을 시사했다.

특히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이 체결한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에 포함됐다가 한러 수교로 1996년 폐기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을 되살리는 정도의 협의가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양측이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안보 협력에 합의하거나 조약까지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이어 19∼20일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초청으로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양국의 무역, 경제, 과학, 기술, 인도주의적 분야의 포괄적인 전략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키는 문제를 논의하고 국제·지역 의제에 대한 현안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응우옌 푸 쫑 서기장과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 등과 만나 양국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약 20개의 양자 간 문서를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60 [단독] 북, 금강산온천 지붕 철거에 동해선 철로 제거…금강산 ‘독자 개발’ 나서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9 최태원 회장 동거인 김희영 “비난 시선 알아…언젠가 모든 얘기할 것”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8 [속보]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또 부양”…사흘 연속 살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7 7년 만의 서해 사격훈련에 북은 오물 풍선 또 날렸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6 쿠팡, 마이크로소프트 AI 전문가 사외이사로 영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5 북한, 오물풍선 사흘연속 살포…한달 새 일곱번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4 한국인 평균 IQ, 세계 5위…'가장 지적인 국가' 1위는 바로 이 나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3 공무원증 단 ‘로봇 주무관’, 계단으로 급 뛰어내려 파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2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 사망자 “23명 전원 질식사”… 국과수 구두소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1 야당 “의대 2000명 증원, 밀실행정”…정부 “의·정 협의체서 수차례 논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0 김건희 여사 “저도 깜깜한 밤하늘이 무너지는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9 '최태원 동거인' 김희영 "오해와 비난의 시선 잘 알고 있어"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8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28일부터 7차 방류…방류량보니 ‘경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7 내년 ‘지역필수의사’ 250명 선발 추진…월 500만원+ 정착비 지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6 [속보] 합참 "北 오물풍선 다시 부양"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5 “갑자기 불 날 수 있다” 소방, 3개월 전 아리셀에 경고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4 [단독] “불황에 부업 뛴다” 보험설계사 응시자 수 10년 새 최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3 북한, 미사일 발사했다 실패 장면 곳곳에서 관측…극초음속 추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2 [속보]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1 러 “한국, 우크라에 무기 보내면 양국관계 치명적 결과”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