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호 외치는 서울대병원 의료진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오전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휴진 관련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6.1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권지현 기자 =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이 내달 4일부터 일주일간 휴진을 결의했다. 이후 휴진 연장 기간은 정부 정책에 따라 조정하기로 했다.

'빅5' 중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에 이어 사실상의 무기한 휴진을 선언한 것으로, 이런 휴진 기조가 빅5 병원 전체로 확산할지 주목된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은 17일 서울아산병원 교수 약 800명을 대상으로 향후 행동 방안에 대해 설문한 결과를 발표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369명 중 79.1%(292명)가 "7월 4일 휴진에 찬성한다"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휴진 기간을 묻는 설문에는 "일주일 휴진 후 정부 정책에 따라 연장 조정"이라는 답이 54.0%, "무기한 휴진"이 30.2%였다.

비대위 관계자는 "설문 결과에 따라 7월 4일부터의 휴진이 최종 결정됐다"고 말했다.

또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로 의료계 전면 휴진과 의사 총궐기대회가 열리는 18일 휴진 일정을 물은 결과 설문에 응한 389명 중 57.8%(225명)는 휴진을 하거나 연차를 내 진료를 보지 않는 등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는 "설문 대상 중 진료를 보는 나머지 교수 164명 중에서도 136명(82.9%)은 '사정상 실질적인 휴진은 어려웠지만 휴진을 지지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빅5' 병원 등 대형 상급종합병원들의 무기한 휴진 결정은 확산하고 있다.

서울의대 교수들은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고 연세의대 교수비대위는 27일부터의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무기한 휴진 첫날 서울대병원의 외래 진료 예약자 수는 1주 전인 지난 10일에 비해 27% 감소했다.

서울대병원 노조에 따르면 암병원 환자는 200명 이상 감소했다. 암병원 진료 환자는 평소 하루 1천80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찾은 서울대병원 암병원 내 갑상선센터와 혈액암센터는 진료 중인 의사도, 환자도 없었다. 서울대병원 암병원 갑상선센터는 애초 월요일 오전과 오후에 각각 교수 2명이 외래진료를 하지만, 이날 오후에는 텅 빈 상태였다.

진료가 전부 조정됐는지 센터 앞 벤치에 기다리는 환자도 없어 인근에 있는 위암·폐암 센터와 대조를 이뤘다.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17일 오전 서울대학교병원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쓴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이 붙어 있다.
이날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2024.6.17 [email protected]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정부가 현 의료대란과 의대교육 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할 때까지 무기한 휴진을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의협과 교수단체는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전공의 행정처분 완전취소 등을 요구하고 있어 양측 타협은 난망한 상황이다.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지난 12일 입장문에서 "정부가 사직의 근본 원인을 제공했음에도 책임을 전공의들에게 돌려 전공의들은 부당한 행정 처분의 대상이 되고 있고, 행정명령 취소가 아닌 철회를 발표해 여전히 법적 책임 아래 두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정부는 "행정 처분 취소는 과거의 행위 자체를 없었던 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을 소급해서 완전히 취소하라는 요구까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빅5 중 나머지 두 곳인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을 각각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의대, 가톨릭의대는 아직 '무기한 휴진'을 결의하지는 않았지만 오는 18일 의협 휴진에 동참하고, 이후 무기한 휴진할 가능성도 있다.

가톨릭의대 교수 비대위는 정부의 대응을 지켜본 후 20일께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무기한 휴진 등을 논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대위 관계자는 "(18일 휴진은) 의협 결정에 따르는 걸로 했다"며 "아직 무기한 휴진은 검토 못 했는데,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결정에 따르되, 내부에서 이견을 조율하는 과정은 있을 듯하다"고 말했다.

전의교협은 의협 휴진에 동참하기로 결정했고,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하고 있지 않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35 "범죄 조회 깨끗" '밀양 성폭행' 가담 부정에... "판결문에 이름 있는데?" 진실공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4 "1억5000만원 위약금 물더라도 취소"…집값 치솟는 1기 신도시 무슨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3 경찰·노동부, '31명 사상' 화성 화재 아리셀 압수수색(종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2 모처럼 '아기울음' 커졌다…4월 출생아 19개월 만에 증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1 '젊은 공무원 잡으려면 31만원 올려야···' 공무원 노조 임금 인상 요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30 "계약금 2배 주고 취소"…치솟는 1기 신도시 아파트 가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9 [현장] "신원 확인 대체 언제" 애타는 유족… 영정 없이 국화만 놓인 분향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8 황정음 고소한 상간녀 누명 여성…"돈 목적 아냐" 1390자 호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7 심경 밝힌 강형욱, “길에서 마주치면 어떤 말씀이든…”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6 [속보] 경찰, ‘31명 사상’ 화성 화재 관련 아리셀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5 "금두꺼비도 하늘은 못이겨"…부산 해수욕장 비명 터졌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4 [지평선] 누가 그나마 더 멀쩡한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3 [속보] 경찰, ‘화성 일차전지 화재’ 공장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2 “이주노동자 ‘안전제일’ 구호 외치는 게 교육 전부”…재해 무방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1 청문회도 ‘의새’ 공방… 복지차관 “의협 간부도 같은 실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20 ‘롯데 3세’ 신유열 시대 본격화… 日 지주사 이사로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19 유부남에 자녀도 있는데‥제자에게 연애편지? '발칵'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18 [단독]보증금 떼먹은 악성임대인 ‘일벌백계’한다더니···형사조치 6% 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17 “책의 매력 온 나라에”…정부 지원 끊긴 서울국제도서전 ‘북적’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16 [2보] 경찰·노동부, 화성 화재 관련 아리셀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