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호 외치는 서울대병원 의료진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오전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휴진 관련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6.1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권지현 기자 =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이 내달 4일부터 일주일간 휴진을 결의했다. 이후 휴진 연장 기간은 정부 정책에 따라 조정하기로 했다.

'빅5' 중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에 이어 사실상의 무기한 휴진을 선언한 것으로, 이런 휴진 기조가 빅5 병원 전체로 확산할지 주목된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은 17일 서울아산병원 교수 약 800명을 대상으로 향후 행동 방안에 대해 설문한 결과를 발표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369명 중 79.1%(292명)가 "7월 4일 휴진에 찬성한다"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휴진 기간을 묻는 설문에는 "일주일 휴진 후 정부 정책에 따라 연장 조정"이라는 답이 54.0%, "무기한 휴진"이 30.2%였다.

비대위 관계자는 "설문 결과에 따라 7월 4일부터의 휴진이 최종 결정됐다"고 말했다.

또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로 의료계 전면 휴진과 의사 총궐기대회가 열리는 18일 휴진 일정을 물은 결과 설문에 응한 389명 중 57.8%(225명)는 휴진을 하거나 연차를 내 진료를 보지 않는 등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는 "설문 대상 중 진료를 보는 나머지 교수 164명 중에서도 136명(82.9%)은 '사정상 실질적인 휴진은 어려웠지만 휴진을 지지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빅5' 병원 등 대형 상급종합병원들의 무기한 휴진 결정은 확산하고 있다.

서울의대 교수들은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고 연세의대 교수비대위는 27일부터의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무기한 휴진 첫날 서울대병원의 외래 진료 예약자 수는 1주 전인 지난 10일에 비해 27% 감소했다.

서울대병원 노조에 따르면 암병원 환자는 200명 이상 감소했다. 암병원 진료 환자는 평소 하루 1천80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찾은 서울대병원 암병원 내 갑상선센터와 혈액암센터는 진료 중인 의사도, 환자도 없었다. 서울대병원 암병원 갑상선센터는 애초 월요일 오전과 오후에 각각 교수 2명이 외래진료를 하지만, 이날 오후에는 텅 빈 상태였다.

진료가 전부 조정됐는지 센터 앞 벤치에 기다리는 환자도 없어 인근에 있는 위암·폐암 센터와 대조를 이뤘다.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17일 오전 서울대학교병원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쓴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이 붙어 있다.
이날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2024.6.17 [email protected]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정부가 현 의료대란과 의대교육 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할 때까지 무기한 휴진을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의협과 교수단체는 정부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전공의 행정처분 완전취소 등을 요구하고 있어 양측 타협은 난망한 상황이다.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지난 12일 입장문에서 "정부가 사직의 근본 원인을 제공했음에도 책임을 전공의들에게 돌려 전공의들은 부당한 행정 처분의 대상이 되고 있고, 행정명령 취소가 아닌 철회를 발표해 여전히 법적 책임 아래 두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정부는 "행정 처분 취소는 과거의 행위 자체를 없었던 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을 소급해서 완전히 취소하라는 요구까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빅5 중 나머지 두 곳인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을 각각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의대, 가톨릭의대는 아직 '무기한 휴진'을 결의하지는 않았지만 오는 18일 의협 휴진에 동참하고, 이후 무기한 휴진할 가능성도 있다.

가톨릭의대 교수 비대위는 정부의 대응을 지켜본 후 20일께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무기한 휴진 등을 논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대위 관계자는 "(18일 휴진은) 의협 결정에 따르는 걸로 했다"며 "아직 무기한 휴진은 검토 못 했는데,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결정에 따르되, 내부에서 이견을 조율하는 과정은 있을 듯하다"고 말했다.

전의교협은 의협 휴진에 동참하기로 결정했고,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하고 있지 않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2 서울대병원 휴진 첫날 환자들 분통 “몸 더 나빠질까 걱정” 랭크뉴스 2024.06.17
5081 이복현이 꺼내놓은 ‘배임죄 폐지론’, 폐지해야 할까? 랭크뉴스 2024.06.17
5080 서울대 이어 서울아산도… 7월 4일부터 일주일 휴진 랭크뉴스 2024.06.17
5079 '윤 대통령 명예훼손' 구속영장‥"언론 입 막는 정치 수사" 랭크뉴스 2024.06.17
5078 김정숙 여사 수사 착수한 날…"밭일에 진심" 文 올린 사진 4장 랭크뉴스 2024.06.17
5077 대구시, TK신공항 바로 옆에 4조원 ‘소형모듈원전’ 건설 추진 랭크뉴스 2024.06.17
5076 전면 휴진 하루 앞두고‥서울경찰청장 "불법 리베이트 의사 1천 명 수사" 랭크뉴스 2024.06.17
5075 [속보] 러 "푸틴, 김정은과 비공식 대화…민감사안 논의할 것" 랭크뉴스 2024.06.17
5074 네이버웹툰, 뉴욕증시 상장 후 기업가치 최대 3조7000억 추산 랭크뉴스 2024.06.17
5073 ‘통제 불능’ 최악 사태 막아라‘…AI 안전장치’ 내놓은 네이버 랭크뉴스 2024.06.17
5072 조각가 권진규 알린 동생 권경숙 여사 별세···‘필즈상’ 허준이 조모상 랭크뉴스 2024.06.17
» »»»»» 서울아산 "1주일 휴진후 연장 결정"…무기한휴진 빅5로 확산하나(종합) 랭크뉴스 2024.06.17
5070 푸틴, 18일 방북…김정은 만난다 랭크뉴스 2024.06.18
5069 규제 필요한 알리·테무…더 큰 문제는 엔비디아 독보적 지위 [조혜신이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4.06.18
5068 [사진톡톡] 7년 만에 바깥세상 만나는 백사자 랭크뉴스 2024.06.18
5067 70대 기간제에 "점심 차려라"…청주시 공무원들 갑질 논란 랭크뉴스 2024.06.18
5066 70대 기간제에 "점심 차려라"…공무원들 갑질에 청주시 발칵 랭크뉴스 2024.06.18
5065 장재훈 현대차 사장 “조지아 신공장, 전기차 생산 우선 고려” 랭크뉴스 2024.06.18
5064 ‘아버지 고소’ 박세리, 18일 입 연다…“사실관계 정확히 알릴 것” 랭크뉴스 2024.06.18
5063 최태원 이혼 판결문 수정…노소영 재산 분할액도 바뀌나 랭크뉴스 2024.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