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33년 가동 목표…내륙에 원전 건설 첫 추진
현행법 ‘안전’ 우려 원전 근처에 공항 못짓는데
대구시 “현행법 대형원전 중심…법 개정하면 돼”
“냉각수로 낙동강 물 활용”…식수원 오염 우려도
대구 군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광역시가 대구경북(TK) 통합 신공항 인근에 조성되는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소형모듈원전(SMR) 건설을 추진한다. ‘원전 확대’ 기조를 내세운 정부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소형모듈원전을 포함시키자, 대구시가 광역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직접 건설에 나서겠다고 유치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안전성 실증이 이뤄지지 않은데다, 발전에 필요한 냉각수를 끌어오는 과정에 식수원 오염 우려도 있어 벌써부터 지역사회에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17일 대구시청에서 ‘680MW급 소형모듈원자로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은 첨단산업단지 내에 에스엠알 건설을 위한 부지 적합성 및 경제성 등 타당성 조사, 주민 수용성 제고 등에 두 기관이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번 협약은 대구경북신공항과 군위산업단지에 필요한 전력을 수급하려는 대구시와 안정적으로 소형모듈원전 건설 부지를 확보하려는 한수원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다. 대구시는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인공지능(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을 유치해 ‘에스엠알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두 기관은 2026년까지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8년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표준설계 인가를 받은 뒤 착공을 시작해 2033년부터 상업 발전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세워 총사업비 4조원을 직접 조달하는 한편, 군위첨단산업단지 내 에너지생산단지(50만㎡) 중 약 16만㎡ 부지를 유상 매입해 소형모듈원자로 건설 공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아직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이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미국 웨스팅하우스 엔지니어 출신인 서균렬 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소형원자로 여러 개를 붙여 발전량을 키우는 방식은 원자로가 하나인 대형원전보다 이론적으로 방사능 물질 노출과 외부 변수로 인한 위험성이 클 수밖에 없다”며 “대형원전은 수십년간 안전 문제를 보완해왔지만, 소형모듈원전은 아직 상용화된 모델이 없어서 안전성을 보완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게다가 바다를 끼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원전과 달리 내륙에 건설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륙에 원전을 건설하기 위해선 안전성 확보를 비롯해 냉각수 조달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더 많다. 특히 대구시는 이번에 대구경북통항신공항 인근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소형모듈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행법(원자력안전법)은 시설 안전을 위해 원전 반경 16㎞까지 공항 건설을 제한하고 있다.

대구시 쪽은 일단 원전 냉각수 조달과 관련해 “낙동강과 군위댐 물을 가져올 계획”이라며 “사용한 냉각수는 필요한 절차를 거쳐 방류해 방사능이나 고온 문제들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원전 근처에 공항을 건설할 수 없도록 한 현행법과 관련해서도 “기존 법령은 대형 원전 중심이라 검토를 거쳐 소형모듈원전에 맞춘 법 개정을 준비할 것”이라고도 했다.

지역 사회에선 벌써부터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이번에 추진되는 에스엠알은 국내 기술로 처음 설계해서 처음 시공한다는 것인데 군위가 온갖 시행착오와 위험한 상황들을 전부 떠안는 테스트베드가 되는 것”이라며 “대구시는 주민의 안전은 팽개치고 돈으로 지역민을 헛된 꿈으로 부풀게 하는 장밋빛 포장과 발표에만 힘 쏟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원전 냉각수로 낙동강 물을 쓴다는 계획을 두고 “식수원인 낙동강을 방사성 물질로 오염시킬 수 있어서 지역 주민 반대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의견 수렴도 없이 지자체장이 나서서 소형원전 유치를 선언해 지역주민들이 황당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01 김건희 여사 “저 역시 깜깜한 밤하늘 무너져내리는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0 김건희 여사, 정신건강 간담회서 "무너져 내리는 듯한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9 정신질환자 만난 김여사 "비슷한 경험한 친구로 여러분 찾을 것"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8 해병대, 6년10개월만에 NLL 포사격 훈련···접경지 긴장 고조되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7 “2000명 증원, 尹의 일방적 결정 아닙니까?” 캐물은 野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6 ‘푸틴 저격수’ 네덜란드 총리, 나토 차기 사무총장에…10월 취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5 해병대, 7년 만에 서북도서 포격 훈련…한미 공군 공중훈련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4 찢어질 듯한 포 소리…연평도 주민들 “이러다 일 날까 두려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3 38세 '롯데 후계자' 신유열…한일 양국에서 '지주사' 임원 맡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2 손흥민 아버지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 "죄송... 그러나 고소인 주장 사실 아냐" 반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1 ‘바이든-날리면’ 재심 청구, YTN은 인용·MBC는 기각한 방심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0 “올림픽 출격합니다”…‘부친 고소’ 눈물 흘린 박세리 근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9 "광화문 초대형 태극기 시대착오적" vs "국기 게양도 못 하나" 갑론을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8 한동훈표 ‘제3자 추천 특검’… 野 일각에선 “받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7 [속보] 세브란스병원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그대로 실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6 참사 석달 전 “아리셀 3동 위험”…소방당국 경고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5 [단독] 채 상병 사건기록 이첩-회수 두고 분주했던 대통령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4 목 확 꺾인 ‘링컨 조형물’…美덮친 ‘최강 폭염’ 얼마나 뜨겁길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3 “주차 등록비 5만원 내세요”...아파트 안내문에 택배기사 ‘황당’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2 오픈AI, 다음 달부터 중국서 접속 차단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