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33년 가동 목표…내륙에 원전 건설 첫 추진
현행법 ‘안전’ 우려 원전 근처에 공항 못짓는데
대구시 “현행법 대형원전 중심…법 개정하면 돼”
“냉각수로 낙동강 물 활용”…식수원 오염 우려도
대구 군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화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광역시가 대구경북(TK) 통합 신공항 인근에 조성되는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소형모듈원전(SMR) 건설을 추진한다. ‘원전 확대’ 기조를 내세운 정부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소형모듈원전을 포함시키자, 대구시가 광역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직접 건설에 나서겠다고 유치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안전성 실증이 이뤄지지 않은데다, 발전에 필요한 냉각수를 끌어오는 과정에 식수원 오염 우려도 있어 벌써부터 지역사회에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17일 대구시청에서 ‘680MW급 소형모듈원자로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은 첨단산업단지 내에 에스엠알 건설을 위한 부지 적합성 및 경제성 등 타당성 조사, 주민 수용성 제고 등에 두 기관이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번 협약은 대구경북신공항과 군위산업단지에 필요한 전력을 수급하려는 대구시와 안정적으로 소형모듈원전 건설 부지를 확보하려는 한수원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다. 대구시는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인공지능(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을 유치해 ‘에스엠알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두 기관은 2026년까지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8년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표준설계 인가를 받은 뒤 착공을 시작해 2033년부터 상업 발전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세워 총사업비 4조원을 직접 조달하는 한편, 군위첨단산업단지 내 에너지생산단지(50만㎡) 중 약 16만㎡ 부지를 유상 매입해 소형모듈원자로 건설 공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아직 개발 중인 소형모듈원전이 안전하다고 단언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미국 웨스팅하우스 엔지니어 출신인 서균렬 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소형원자로 여러 개를 붙여 발전량을 키우는 방식은 원자로가 하나인 대형원전보다 이론적으로 방사능 물질 노출과 외부 변수로 인한 위험성이 클 수밖에 없다”며 “대형원전은 수십년간 안전 문제를 보완해왔지만, 소형모듈원전은 아직 상용화된 모델이 없어서 안전성을 보완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게다가 바다를 끼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원전과 달리 내륙에 건설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륙에 원전을 건설하기 위해선 안전성 확보를 비롯해 냉각수 조달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더 많다. 특히 대구시는 이번에 대구경북통항신공항 인근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소형모듈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행법(원자력안전법)은 시설 안전을 위해 원전 반경 16㎞까지 공항 건설을 제한하고 있다.

대구시 쪽은 일단 원전 냉각수 조달과 관련해 “낙동강과 군위댐 물을 가져올 계획”이라며 “사용한 냉각수는 필요한 절차를 거쳐 방류해 방사능이나 고온 문제들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원전 근처에 공항을 건설할 수 없도록 한 현행법과 관련해서도 “기존 법령은 대형 원전 중심이라 검토를 거쳐 소형모듈원전에 맞춘 법 개정을 준비할 것”이라고도 했다.

지역 사회에선 벌써부터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이번에 추진되는 에스엠알은 국내 기술로 처음 설계해서 처음 시공한다는 것인데 군위가 온갖 시행착오와 위험한 상황들을 전부 떠안는 테스트베드가 되는 것”이라며 “대구시는 주민의 안전은 팽개치고 돈으로 지역민을 헛된 꿈으로 부풀게 하는 장밋빛 포장과 발표에만 힘 쏟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원전 냉각수로 낙동강 물을 쓴다는 계획을 두고 “식수원인 낙동강을 방사성 물질로 오염시킬 수 있어서 지역 주민 반대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의견 수렴도 없이 지자체장이 나서서 소형원전 유치를 선언해 지역주민들이 황당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52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 사망자 “23명 전원 질식사”… 국과수 구두소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1 야당 “의대 2000명 증원, 밀실행정”…정부 “의·정 협의체서 수차례 논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50 김건희 여사 “저도 깜깜한 밤하늘이 무너지는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9 '최태원 동거인' 김희영 "오해와 비난의 시선 잘 알고 있어"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8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28일부터 7차 방류…방류량보니 ‘경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7 내년 ‘지역필수의사’ 250명 선발 추진…월 500만원+ 정착비 지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6 [속보] 합참 "北 오물풍선 다시 부양"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5 “갑자기 불 날 수 있다” 소방, 3개월 전 아리셀에 경고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4 [단독] “불황에 부업 뛴다” 보험설계사 응시자 수 10년 새 최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3 북한, 미사일 발사했다 실패 장면 곳곳에서 관측…극초음속 추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2 [속보]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1 러 “한국, 우크라에 무기 보내면 양국관계 치명적 결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40 [단독] 손웅정 고소 학부모 “지옥 같은 시간…피해자 더 없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9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 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8 [1보]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7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6 9·19 군사정지 후 첫 실사격 훈련…군사적 긴장 높아지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5 도봉산역~영등포역, 올 10월부터 자율주행 버스 다닌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4 국방부 법무관리관실, 사실상 "임성근 혐의자 빼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33 "상속세는 엄마가 다 내세요" 불효자식의 노림수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