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정은, 최고 예우로 밀월 과시
'유사시 자동개입' 부활도 주목
첨단 군사기술 이전은 없을 듯
韓中은 외교안보대화로 '맞불'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우주기지에서 만나 웃으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 평양을 방문한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방문한다고 17일 발표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이같은 내용을 러시아와 동시 발표하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확인했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기도 하다.

관심은 단연 의제다. 전문가들은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하는 평양 선언이 채택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는 러시아와 한국, 러시아와 중국과의 관계와 비슷한 격이 된다.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에 합의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우리 정보 당국은 양국이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 협력을 맺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1961년 북한과 소련은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을 포함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조소 동맹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소련 해체 후 러시아 측의 통보에 따라 1996년 폐기됐다. 2000년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 때 양국 ‘우호, 선린, 협조 조약’을 맺었지만 자동 군사 개입 조항 대신 ‘쌍방 중 한 곳에 침략 당할 위기가 발생한 경우 (중략) 쌍방은 즉각 접촉한다’는 내용만이 담겼다.

다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이 들어간 상호방위조약 혹은 군사동맹을 맺을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미국·일본·중국 등 주변국의 안보 체계가 바뀌는 것이고 북한과 러시아의 고립을 심화시키는 일이기 때문에 자동 군사 개입을 발표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군사 협력을 강화한다는 모호한 문장이 추가될 수 있고 그조차도 공개를 안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자동 군사 개입까지는 아니지만 침략 위기 시 ‘즉각 접촉한다’는 문구보다는 높은 수위의 표현으로 현 조약이 수정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아울러 북한은 러시아에 첨단 군사기술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러시아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7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북한에 가장 진보된 군사기술을 이전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말했다. 최첨단 기술을 이전하면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잃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추후를 위해 러시아가 첨단 군사 기술의 북한 이전 카드를 아껴둘 것이란 뜻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푸틴 대통령에게 2019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북했을 때만큼의 최고 수준 예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양 순안공항에서 김 위원장이 직접 푸틴 대통령을 맞이하고 공항에서 숙소로 이동할 때는 카퍼레이드도 할 수 있다.

한편 정부는 18일 한중 고위급 외교안보대화를 서울에서 개최한다. 우리는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이 수석대표로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참여하며 중국에서는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을 수석대표로 장바오췬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테이블에 앉는다. 북한과 러시아는 북중러 대 한미일 구도를 만들고 싶어 하지만 중국은 신냉전 구도를 탐탁지 않게 보고 있으며 이에 북중 사이에서도 미묘한 이견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18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7 국회 복지위 청문회에서 의대 증원 갈등 책임 공방··· 임현택 막말 사과 요구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6 아무 때나 자르는 ‘일회용 인간’…이주노동자 불법파견 해놓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5 영정도, 위패도 없지만 잇단 추모 발길…이 시각 임시분향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4 23명 전원 질식사…화성 화재 사망자 국과수 구두소견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3 “자기야, 나의 여신님”…교총 회장, 제자에 부적절 편지 논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2 홍준표 “완전한 자치권 주장은 과욕…TK특별시 만들어 서울·대구 양대 축 발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1 신범철 전 국방차관, 채 상병 사건 이첩·회수 날 윤석열 대통령과 3번 통화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10 “이게 모두 복지부 탓”vs “병원 떠난 의사가 잘못”…출구 없는 의료공백 사태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9 서북도서 6년 만에 해병대 포성... 北 도발과 南 대응으로 한반도 격랑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8 청문회서 만난 의·정, “백지화 없다”·“정부 탓” 도돌이표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7 [단독] 대통령실, 유재은에게 직접 전화‥대통령실 기록 회수 주도 정황 짙어져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6 나경원 “핵무장, 당대표 되면 당론 추진”…뜨거워지는 국힘 전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5 전 국방차관,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날 尹대통령에 2차례 전화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4 "뭘 떨어? 떳떳하면 가만 있어요"‥화장실 다녀왔다 날벼락?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3 구미시 '로봇 주무관' 계단서 추락…"업무 스트레스 심했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2 “검찰청 폐지”…조국혁신당 ‘검찰개혁 4법’ 띄웠다, 구체 내용은?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1 김건희 여사 “저 역시 깜깜한 밤하늘 무너져내리는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100 김건희 여사, 정신건강 간담회서 "무너져 내리는 듯한 불안감 경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9 정신질환자 만난 김여사 "비슷한 경험한 친구로 여러분 찾을 것"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