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도 "푸틴 국빈방문" 발표…작년 김정은 방러 후 9개월만에 재회
우크라이나 사태 속 북러 군사협력 주목…19∼20일 베트남 방문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만난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AFP/크렘린풀=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서울=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오수진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한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방문한다고 17일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도 "푸틴 대통령이 북한이 국가방문(국빈방문)한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러시아와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

양측은 푸틴 대통령의 북한 내 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18일 극동지역 사하(야쿠티야) 공화국 야쿠츠크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혀 이 일정 직후 북한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19일 베트남을 방문하는 만큼 그가 북한에 실제로 머무는 시간은 약 하루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기도 하다.

당시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에게 북한에 방문해달라고 초청했고, 푸틴 대통령은 이를 수락했다.

북한이 백화원 영빈과 김일성 광장 등에서 손님맞이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고 러시아와 북한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하루 앞둔 이날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북한에 외국 정상이 방문하는 것은 북한이 2020년 코로나19로 국경을 폐쇄한 이후 처음이다.

푸틴 대통령은 2000년 러시아 지도자로선 처음 북한을 찾아 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북러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지난달 집권 5기를 공식 시작한 이후 가장 먼저 중국(5.16∼17)을 찾았던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5.23∼24), 우즈베키스탄(5.26∼28)에 이어 북한을 네 번째 해외 방문지로 택했다.

2019년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에 응하지 않았던 푸틴 대통령은 이번에는 신속한 북한 답방으로 점점 공고해지고 있는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러시아와 북한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국제사회 대부분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세를 강하게 비판하는 것과 달리 북한은 러시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북한은 크림반도를 포함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영토 병합을 인정한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작전에 필요한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의 제재로 고립 위기인 러시아는 조건 없는 지지를 보내는 북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이에 대한 보답 성격으로도 풀이된다.

이번 방북의 최대 관심사는 양측의 군사협력 수준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인공위성 기술 지원을 시사했다.

특히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이 체결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에 포함됐다가 한러 수교로 1996년 폐기된 자동군사개입 조항을 되살리는 정도의 협의가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2000년 체결된 북러 '우호·선린·협조 조약'에는 자동군사개입 조항 대신 '쌍방 중 한 곳에 침략당할 위기가 발생할 경우 (중략) 쌍방은 즉각 접촉한다'는 내용만 담겼다.

우리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양측이 '유사시 자동군사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안보 협력에 합의하거나 조약까지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의 북한 노동자 고용도 예상 의제 중 하나다. 북한 노동자 수급 계약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에 저촉되지만 러시아는 특별군사작전으로 폐허가 된 지역을 재건하는 데 북한 노동자를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이어 19∼20일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초청으로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이 베트남에서 양국의 무역, 경제, 과학, 기술, 인도주의적 분야의 포괄적인 전략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키는 문제를 논의하고 국제·지역 의제에 대한 현안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푸틴 대통령은 응우옌 푸 쫑 서기장과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 등과 만나 양국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여러 양자 간 문서를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95 해병대, 7년 만에 서북도서 포격 훈련…한미 공군 공중훈련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4 찢어질 듯한 포 소리…연평도 주민들 “이러다 일 날까 두려워”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3 38세 '롯데 후계자' 신유열…한일 양국에서 '지주사' 임원 맡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2 손흥민 아버지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 "죄송... 그러나 고소인 주장 사실 아냐" 반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1 ‘바이든-날리면’ 재심 청구, YTN은 인용·MBC는 기각한 방심위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90 “올림픽 출격합니다”…‘부친 고소’ 눈물 흘린 박세리 근황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9 "광화문 초대형 태극기 시대착오적" vs "국기 게양도 못 하나" 갑론을박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8 한동훈표 ‘제3자 추천 특검’… 野 일각에선 “받자”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7 [속보] 세브란스병원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그대로 실행”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6 참사 석달 전 “아리셀 3동 위험”…소방당국 경고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5 [단독] 채 상병 사건기록 이첩-회수 두고 분주했던 대통령실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4 목 확 꺾인 ‘링컨 조형물’…美덮친 ‘최강 폭염’ 얼마나 뜨겁길래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3 “주차 등록비 5만원 내세요”...아파트 안내문에 택배기사 ‘황당’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2 오픈AI, 다음 달부터 중국서 접속 차단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1 윤 대통령 “정신건강 정책 대전환…사회적 시선 개선해야”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80 최태원 동거인 “궁금한 모든 것, 이야기할 때가 올 것”···첫 언론 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79 軍, 백령·연평도서 290발 쐈다… 7년 만에 훈련 재개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78 ‘세계 최강’ F-22 랩터, 한달만에 한반도 출격…한미 연합 ‘쌍매훈련’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77 "저한테 미친여자라 그랬죠?" 당황한 임현택 "어‥" 하더니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4.06.26
44076 세브란스병원 교수들, 내일부터 '무기한 휴진' 강행 new 랭크뉴스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