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고위서 예정에 없던 사법리스크 방어 
'검찰 애완견' 연장선, "언론인분들..." 성토
민주당 지도부도 李 방어에 보조 맞춰
의료계 집단 휴진 첫날 민생 이슈는 뒷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거칠어지고 있다. 쌍방울그룹의 불법 대북 송금 사건 기소 이후 검찰과 언론을 향한 비판 강도를 높이면서다.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 방어 전면에 나서자, 당 지도부도 함께 보조를 맞추는 모양새다. 이로 인해 지난 총선 압승 이후 연금개혁 이슈를 치고 나오는 등 민생을 고리로 수권 정당의 모습을 보이고자 했던 민주당 전략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회의 초반 '민생' 강조하다 말미에 언론·검찰 비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 대표는 17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대북 불법 송금 사건의 검찰의 조작 가능성을 정면으로 거론했다. "언론인 여러분에게 물어보고 싶다. 이게 말이 된다고 보느냐"고 운을 뗀 이 대표는 "북한에 현금을 몇억, 몇십억씩 주면 유엔 제재 위반이고 국가보안법 위반임을 모르는 사람 있느냐"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참여정부 대북 특사였고 경기도의 대북 인도적 사업을 총괄한 이화영 전 부지사가 그것도 모르고 북한에 현금 50억 원을 준다고 약속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그 사람이 바보인가. 정신 나갔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상식에 어긋나는 주장을 펼치는 게 현재 벌어지는 대한민국 검찰 공화국의 실상이다. 판단은 역사가, 국민이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4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에 출석해 언론을 "검찰의 애완견"에 빗댄 발언으로 논란이 됐지만, 이에 구애받지 않고 그 연장선상의 주장을 이어간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회의 모두발언으로 '민생'에 집중했다. 폭염 등 기후 재난 대비를 강조하며 윤석열정부의 재생에너지 후퇴 기조를 비판했고, 민생 입법 처리를 위해 국회 정상화를 촉구하며 국민의힘을 압박했다. 하지만 이 대표가 회의 말미에 예정에 없던 사법리스크 방어에 열을 올리면서, 민생 이슈도 주목을 받지 못했다.

"대표 사법리스크에 민생이 블랙홀처럼 빠져들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실제 당 최고위원회의 등 공식석상에서 이 대표가 본인의 사법리스크를 직접 방어하며 목소리를 높인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그간 이 대표가 국회에서는 제1야당 대표로서 민생 이슈를 챙기며 행정부 견제에 치중하고, 사법리스크는 대체로 서초동에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지난 14일 언론을 애완견에 비유한 발언도 서초동에서 나왔고, 같은 날 최고위원회의에선 '민생' 의제만 입에 올렸었다.

이에 대해 당 대표실 관계자는 "검찰의 기소가 얼마나 엉터리인지, 또 그런 검찰의 무리한 기소를 감시하지 않는 언론에 대한 답답함이 많은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표의 애완견 발언은 현장에서 직접 대표가 즉흥적으로 추가한 표현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 측 인사는 "정치 검찰의 행태에 경종을 울리기 위한 고육책이었다"고 했다.

이 대표의 강경 드라이브에 민주당의 대응도 갈수록 세지는 모습이다. 전날 이 대표의 애완견 발언에 일부 초선 의원들이 "애완견도 모독, 기레기"(양문석)라고 막말을 쏟아낸 데 이어, 당장 이날 최고위 지도부 회의에서도 검찰의 무리한 기소를 성토하는 목소리들이 주를 이뤘다.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하지만, 민생과 사법리스크 분리 대응 전략이 흐트러지는 데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당장 이날도 의료계가 집단휴진에 돌입했고 정부의 대응에 대한 야당의 적극적 비판이 필요한 시점이었지만, 관련 발언은 7명의 최고위원 중 두 명의 입에서만 나왔고 그마저도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의 한 관계자는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민생이 블랙홀처럼 빨려드는 기분"이라고 우려를 제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357 신협 연체율, 6%대 후반까지 급등…금감원 수시검사 착수 랭크뉴스 2024.06.20
41356 북-러 조약 전문 공개…“전쟁상태 처하면 지체없이 군사 원조” 랭크뉴스 2024.06.20
41355 '세숫대야 냉면' '슈퍼라지 비빔면'…'초대형' 마케팅에 푹 빠진 편의점 랭크뉴스 2024.06.20
41354 [속보] 소프트뱅크, 라인야후 문제에 "네이버와 협의중…합의는 안 돼" 랭크뉴스 2024.06.20
41353 원희룡, 국민의힘 전당대회 출마…“당과 정부 한뜻으로” 랭크뉴스 2024.06.20
41352 [속보] 코스피 장중 2800선 돌파…2년 5개월만 랭크뉴스 2024.06.20
41351 하루에 물 1300t 빼가는 생수공장…“좀 보소, 집엔 누런 흙탕물” 랭크뉴스 2024.06.20
41350 ‘북진통일’ 밀면 러시아와 전쟁… 멀어진 ‘신의주 저녁’ 랭크뉴스 2024.06.20
41349 "제주도가 중국 섬 된 이유"…대만 언론, '헐값 투자이민' 보도 랭크뉴스 2024.06.20
41348 “또 우리은행이야? 또 국민은행이야?” [하영춘의 경제이슈 솎아보기] 랭크뉴스 2024.06.20
41347 원희룡, 국민의힘 당 대표 출마 선언…'3자 구도' 가능성 랭크뉴스 2024.06.20
41346 정부 "의료계 고집 그만…의사 특권은 소중한 생명 살리는 것" 랭크뉴스 2024.06.20
41345 [속보] 북러 "전쟁 처하면 지체없이 군사 원조 제공"…조약문 공개 랭크뉴스 2024.06.20
41344 북러 “무력침공 받으면 지체없이 군사원조 제공”…조약 전문공개 랭크뉴스 2024.06.20
41343 대전역 성심당 '월세 갈등' 새 국면 랭크뉴스 2024.06.20
41342 대북제재 위반 의심 5천t급 화물선 나포…부산항 묘박지에 정박 랭크뉴스 2024.06.20
41341 박세리, 밝은 모습 공개…눈물 흘린 이유 직접 밝혔다 랭크뉴스 2024.06.20
41340 미국 “북러 협력 심화 우려”…“냉전 이래 가장 강한 협정” 랭크뉴스 2024.06.20
41339 정부 “진료거부 등 환자 생명 위협 불법행위 정당화될 수 없어” 랭크뉴스 2024.06.20
41338 ‘전공의 집단사직 교사’ 임현택 “전공의 죄 없는 것 전국민 알아” 랭크뉴스 2024.06.20